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과 요인 탐색 : Exploration on the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Factors of Secondary School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의창-
dc.contributor.author김혜연-
dc.date.accessioned2020-05-07T04:37:51Z-
dc.date.available2020-05-07T04:37:5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03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6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2020. 2. 최의창.-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identity of secondary school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teacher identity-building for secondary school female PE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teacher identity for secondary female PE teachers?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female PE teachers' teacher identity?
In order to carry out research, literature review on the meaning, concept, perspectiv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identi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conceptual framework was conducted and utiliz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1 months from January 2019 to November 2019 follow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The criteria for selecting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onsidered whether they belonged to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hared their ow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others, and whether they had more than four years of experience. Six secondary school female P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I looked deeply into their lives and their experiences in teaching.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followed the procedure of the abduction. Codes and narrative stories were made from the raw data to categorization. For the trustworthiness, triangulation, member check, confession of my bias, and peer review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ethic, study have been review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university.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pecific triggers or inflection points that allowed them to shape their present appearance as teachers, and formed their own teachers' identities through the phase of emergence, tension and negotiation. In the emergence phase, the researchers had different ages, careers and situations, but when they got jobs as teachers, their teacher identity started to emerge. Having the life experience of feeling the pleasure of movement and teaching led to the action of the decision to become a teacher. Since becoming a teacher, the teacher's identity has slowly changed as the process of aging combined with frequent demonstrations in the class. A mother teacher with a child has also reconstructed teacher identity. In the tension phase,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the tension between discipline and education and the tension between work and role, and the absence of real me. They went through a process of self-awareness of my goal as an educator in the negotiation phase, changing the teaching design, organizing the priorities of work, feeling a sense of belonging in a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pursuing self harmonization through relationships.
Second, data was coded into a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n the formation of teacher identity and 11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rel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 elements, the key factors that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in as the three phases of identity were selected. The key factors that affected the emergence of teacher identity were the goal awareness of personal factors, the mentor of relation factors, the hierarchical university cultur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key factors that affected teacher identity tensions were the teachers beliefs and the parents and students of relation factors, and the work overload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key factors that affected the negotiations on teacher identity were the teachers belief of personal factors, the student response and colleagues of related factors, and the democratic, autonomous and cooperative culture of environmental factors.
Third, secondary female PE teachers were overcoming gender expectations. It showed teachers breaking vertical hierarchy, playing more proactive roles while working, forming comfortable and friendly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differentiating themselves with girl-crush images. Next, they shared their knowledge and life through community relationships. They showed sign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by sharing and pursuing community. Also, teacher practiced student centered teaching. They showed aspects of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Working-Life-Balance(WLB), changing female studentss percep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revitalizing the school sports culture and fostering wholenes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research. First, the suggestion for the formation and practice of desirable teacher identity wa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teacher belief in the hope of desirable growth for students, along with for policy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activ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operation of autonomous and democratic school culture.
Second, the suggestion for negotiating teacher identity for secondary school female PE teachers was that they need to have an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fears of demonstrations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age, and that they need to belong to a community that allows them to maintain their identity as educators. Third, for suggestions of future researche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qualitative study of microscopic approach about factors that cause identity tension, select a small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to explore the teacher identity formation process in depth through long-term terminating research, and study the possibility of the next phase of teacher identity negotiation.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과 요인을 탐색하고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는 첫째,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로 선정하였다.
교사 정체성에 관한 선행 연구물을 검토하여 정체성의 의미, 개념, 관점, 형성과정,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틀을 구성하여 자료수집 및 분석에 활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총 11개월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으로 교사학습공동체 소속여부, 자신의 교육활동 공유여부, 4년차 이상의 경력여부를 고려하였다. 연구 참여제의에 수락해준 중등 여자체육교사 6명의 생애경험과 교직 생활 중에 겪었던 체험들을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었다. 자료 수집은 깊이 있는 면담을 위하여 개방형 설문을 활용, 심층면담, 현지 문서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개연적인 삼단논법의 절차를 따랐고 연구 진실성을 위해 연구자의 주관성 고백,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진행하였다. 연구윤리 준수를 위하여 서울대 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거쳤다.
연구 결과 및 논의 첫 번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로서 현재 모습을 형성하게 한 구체적인 계기나 변곡점을 겪었고, 교사 정체성 출현, 긴장, 협상이라는 국면을 거치면서 교사 정체성을 형성해나갔다. 출현 국면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나이, 경력, 마주한 상황은 제각기 달랐으나 교사라는 직업을 갖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교사 정체성이 나타났다. 움직임 본능과 가르침의 즐거움을 느껴본 생애 경험은 교사가 되고 싶다는 결심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교사가 된 이후, 나이를 먹을수록 진행되는 신체적 노화와 시범을 중시하는 교과 특성이 맞물리면서 교사 정체성이 천천히 변화하였다. 아이를 둔 엄마교사는 기존의 교사 정체성이 재구성되기도 하였다. 긴장 국면에서 훈육과 교육 사이의 긴장, 업무와 역할사이의 긴장, 진정한 나의 부재를 경험하면서 갈등하였다. 협상 국면에서 교육자로서의 목표 자각하기, 수업 디자인에 변화 주기, 업무의 우선순위 구조화하기, 민주적 학교문화에서 소속감 느끼기, 관계를 통해 통합적인 나 추구하기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및 논의 두 번째, 교사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념 틀로 데이터를 코딩하였고 11가지의 요소를 개인요인, 관계요인, 환경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각각의 요인들 중에서 정체성 출현, 긴장, 협상의 세 국면 중에 비교적 영향을 더 끼쳤던 핵심 요인을 선별하였다. 교사 정체성 출현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은 개인 요인의목표의식, 관계요인의스승님의 존재, 환경요인의체육과 문화였으며 교사 정체성 긴장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은 개인요인의교사신념, 관계요인의학부모와 학생, 환경요인의업무가 몰리는 구조였다. 교사 정체성 협상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은 개인요인의교사신념, 관계요인의학생의 반응과 동료, 환경요인의민주, 자율, 협력적 문화였다.
연구 결과 및 논의 세 번째,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 및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나타난 특징으로 중등 여자체육교사는 성별적 기대를 극복하고 있는 존재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수직적인 위계구조 깨기, 일할 때 더 주도하는 적극적인 역할 수행하기, 학생들과 편안하고 친근한 관계 형성하기, 걸크러시 이미지로 차별화 주기 등의 모습을 보였다. 다음 특징으로 함께함으로 앎과 삶을 나누는 존재였다. 나눔으로 성장하기, 공동체성 추구하기 등의 모습을 보였다. 다음 특징으로 학생을 중심에 두고 실천하는 존재였다. 워라벨의 의미 되새기기, 여학생 인식 바꾸는 수업하기, 학교체육문화 활성화와 인성함양을 통해 학생 변화를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 번째, 바람직한 교사 정체성 형성 및 실천을 위한 제언으로는 학생의 바람직한 성장을 희망하는 교사 신념의 확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와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학교 문화 운영을 위한 정책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두 번째,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협상을 위한 제언으로는 예비교사교육 단계에서 시범에 대한 극복경험이 필요함을, 교육자로서의 감각을 잃지 않고 달려갈 수 있도록 해주는 공동체에 소속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세 번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정체성 긴장을 발생시키는 계기 및 요인에 대한 미시적 접근의 질적 연구가 필요하고, 소수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장기간의 종단연구를 통해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해야 하고, 교사 정체성 협상의 다음 단계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 문제 5
4. 용어의 정의 6
5. 연구의 제한점 6

이론적 배경 7
1. 교사 정체성의 의미 7
가. 교사 정체성 개념 7
나. 교사 정체성 관점 10
2. 교사 정체성의 특성 14
가.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 14
나. 교사 정체성 특징 17
다. 개념적 틀 19
3. 선행연구 검토 21
가. 일반 교사 21
나. 여자체육교사 24

연구방법 30
1. 연구 설계 및 절차 30
가. 연구 패러다임과 논리 30
나. 내러티브 탐구 31
다. 연구 절차 및 단계 34
2. 연구 참여자 35
가. 연구자로서의 나 35
나. 연구 참여자 37
3. 자료 수집 40
4. 자료 분석 및 해석 42
5.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 44
가. 연구의 진실성 44
나. 연구의 윤리성 46

연구결과 및 논의 47
1.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 47
가. 정체성 출현 48
1) 나는 체육교사 48
2) 나는 나이 먹는 교사 51
3) 나는 아이를 둔 엄마 54
나. 정체성 긴장 56
1) 훈육과 교육 사이의 긴장 57
가) 질서와 실기 57
나) 운동과 수업 60
2) 업무와 역할사이의 긴장 62
가) 교육자 외의 역할기대 62
나) 업무 처리사로서의 역할기대 64
다) 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66
3) 진정한 나의 부재 68
다. 정체성 협상 70
1) 교육자로서의 목표 자각하기 70
2) 수업 디자인에 변화주기 72
3) 업무의 우선순위 구조화하기 76
4) 민주적 학교문화에서 소속감 느끼기 79
5) 관계를 통해 통합적인 나 추구하기 81

2.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86
가. 교사 정체성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 요인의 구성 87
나. 교사 정체성 형성 국면별로 미친 영향 요인 89
1) 교사정체성 출현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 89
가) 개인요인 - 목표의식 89
나) 관계요인 – 스승님의 존재 91
다) 환경요인 – 체육과 문화 93
2) 교사정체성 긴장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 96
가) 개인요인 - 교사신념 96
나) 관계요인 – 학부모와 학생 98
다) 환경요인 – 업무가 몰리는 구조 103
3) 교사정체성 협상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 105
가) 개인요인 - 교사신념 105
나) 관계요인 – 학생의 반응과 동료 109
다) 환경요인 – 민주, 자율, 협력적 문화 114

3.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 특징 117
가. 성별적 기대를 극복하고 있는 존재 117
나. 함께함으로 앎과 삶을 나누는 존재 121
1) 나눔으로 성장하기 121
2) 공동체성 추구하기 123
다. 학생을 중심에 두고 실천하는 존재 125
1) 워라벨의 의미 되새기기 125
2) 여학생 인식 바꾸는 수업하기 128
3) 학교체육문화 활성화와 인성함양 131

결론 및 제언 134
1. 결론 134
2. 제언 135
가. 바람직한 교사 정체성 형성 및 실천을 위한 제언 135
나.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협상을 위한 제언 137
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38


참고문헌 140
부록 154
Abstract 16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96-
dc.title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과 요인 탐색-
dc.title.alternativeExploration on the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Factors of Secondary School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yeye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체육교육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036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036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