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ssociation of adherence to the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 with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 유방암 경험자들의 암 경험자를 위한 지침 수행 정도와 삶의 질과의 연관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다혜

Advisor
이정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2020. 2. 이정은.
Abstract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in women worldwid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guideline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re important because survivor rate of breast cancer has increased. Compliance with guidelines regarding healthy lifestyle behaviors may be beneficial for a better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dherence to the American Cancer Society (ACS)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 total of 618 breast cancer survivors aged 30 to 81 year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tage I to III primary breast cancer and had surgery at least a year before enrollment were included.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to evaluate HRQoL, and adherence scor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 which were released by the ACS. The ACS guidelines are comprised of the following three components: (1) achieving and maintaining a healthy body weight; (2) engaging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3) following the ACS Guidelines o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for Cancer Prevention; achieving a dietary pattern that is high in vegetables, fruits, and whole grains and low in processed and red meat. The least-squares means (LS-mean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of the HRQoL score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quintiles of adherence scores using the generalized linear models (GLMs). Multiple comparisons were additionally adjusted using a false discovery rate (FDR) and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values<0.1. The adherence scores ranged from 3 to 12. Higher adherence scores were associated with improved physical component summary, physical functioning, bodily pain, and vitality; LS-means (95% CIs) of the lowest and the highest quintiles of adherence scores: for the physical component summary, 46.29 (44.76–47.83) and 48.99 (47.34–50.63; p for trend<0.001), respectively; for the physical functioning, 44.08 (42.47–45.69) and 47.30 (45.58–49.03; p for trend<0.001), respectively; for bodily pain, 47.27 (45.25– 49.29) and 49.91 (47.74–52.08; p for trend=0.01), respectively; for vitality, 45.37 (43.05–47.68) and 48.56 (46.07–51.04; p for trend=0.02), respectively. These associations were mainly driven by the associations among survivors with stage II– III cancer and premenopausal status at diagnosis. When we examined each component of the ACS guidelines (physical activity, diet, and BMI),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associated with improved physical component summary, physical functioning, bodily pain, general health, and vitality scores, which were mainly driven by breast cancer survivors with stage II–III or premenopausal status at diagnosis. Furthermore, the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diet scores and the HRQoL were only foun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stage II–III breast cancer or premenopausal status. Higher BMI scores were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component summary and physical functioning,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with stage I breast cancer or postmenopausal status at diagnosis. In summary, better adherence to the ACS Guidelines o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for Cancer Survivors was associated with better HRQoL among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This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dherence scores and the HRQoL scores was more pronounced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with stage II–III cancer compared to those with stage I cancer.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whether adherence to these guidelines improves the HRQoL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유방암은 국내외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여성암이다. 유방암 경험자들의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한 건강 관리 지침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단면연구에서는, 한국인 유방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미국 암 협회 (the American Cancer Society, 이하 ACS)에서 발표한 암 생존자들을 위한 지침 수행 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이하 HRQoL)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미국 암 연합위원회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의 병기 분류에 따라 1기에서 3기의 유방암을 원발암으로 진단받았으며, 유방암 수술일자로부터 생존 기간이 1년 이상인 618명 (연령 30–81세)의 유방암 경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참여자들의 HRQoL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어판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이하 SF-36)가 사용되었으며, 지침 수행 점수는 ACS에서 제안한 암 생존자들을 위한 영양 및 신체 활동에 대한 지침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을 기반으로 계산되었다. ACS 지침은 다음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1) 건강한 체중을 달성하고 유지할 것; (2)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실천할 것; (3) ACS의 암 예방을 위한 영양 및 신체활동 지침을 기반으로, 채소, 과일, 전곡류를 많이 포함하며 가공육 및 적색육을 적게 포함하는 식이 패턴을 유지할 것. 일반화 선형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도 점수의 오분위수에 따라 HRQoL의 최소 제곱 평균과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유방암 병기 및 진단 시 폐경 상태에 따라 추가로 층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ACS 지침의 각 요인 (신체활동, 식이, 체중)과 유방암 경험자들의 HRQoL의 연관성 또한 살펴보았다. 따른 다중 비교 (multiple comparisons)의 문제를 추가적으로 보정하기 위해 false discovery rate (이하 FDR) 방법을 이용하였고 FDR<0.1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지침 수행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적 요소 요약, 신체적 기능, 신체 통증, 활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요소 요약 점수의 경우, 최소 제곱 평균 (95% 신뢰구간)은 최하위 오분위수에서 46.29 (44.76–47.83) 이고 최상위 오분위수에서 48.99 (47.34–50.63; p for trend<0.001)였다. 신체적 기능 점수의 경우, 최소 제곱 평균 (95% 신뢰구간)은 최하위 오분위수에서 44.08 (42.47– 45.69)이고 최상위 오분위수에서 47.30 (45.58–49.03; p for trend<0.001)였다. 신체 통증 점수의 경우, 최소 제곱 평균 (95% 신뢰구간)은 최하위 오분위수에서 47.27 (45.25–49.29) 이고 최상위 오분위수에서 49.91 (47.74–52.08; p for trend=0.01)였다. 활력 점수의 경우, 최소 제곱 평균 (95% 신뢰구간)은 최하위 오분위수에서 45.37 (43.05–47.68) 이고 최상위 오분위수에서 48.56 (46.07–51.04; p for trend=0.02)였다. 이러한 연관성들은 주로 유방암 병기가 II 혹은 III인 대상자들에서의 연관성으로부터 기인한 것이었다. ACS 지침의 각 요인들과 유방암 경험자들의 HRQoL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신체활동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요소 요약, 신체적 기능, 신체 통증, 일반적 건강, 활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는 유방암 병기가 II 혹은 III인 대상자들로부터 기인한 것이었다. 식이 점수와 HRQoL 사이의 양의 상관 관계 역시 유방암 병기가 II 혹은 III인 대상자들에게서만 발견되었다. 또한 BMI 점수가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요소 요약, 신체적 기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지만, 유방암 병기가 I이었던 대상자들에게서는 유의한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유방암 생존자들의 암 경험자들을 위한 ACS 지침의 수행 정도가 증가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양의 상관관계는 유방암 병기가 I인 대상자들과 비교하여서, 유방암 병기가 II 혹은 III인 대상자들에게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암 경험자를 위한 지침 수행 정도가 유방암 경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전향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