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ovarian cancer in the Korean Epithelial Ovarian Cancer Study (Ko-EVE) : 한국형 난소암 연구 (Ko-EVE)에서의 난소암과 위험 요인의 연관성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소슬

Advisor
박수경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대학 의과학과,2020. 2. 박수경.
Abstract
한국형 난소암 연구 (Ko-EVE)에서의 난소암과 위험 요인의 연관성 연구

서론
난소암은 여성의 암 사망 원인 중 7번째에 해당한다. 세계적으로 난소암 관련된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는 발표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유럽 연구에 해당하며 특히 한국의 경우 난소암에 관한 위험 요인 관찰 연구가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식, 호르몬 치료, 생활습관, 가족력 등의 다양한 요인과 난소암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형 난소암 연구 (Ko-EVE)에서의 난소암 환자군 530명과 도시기반코호트 (HEXA)의 여성 중 80,979명이 연령과 입적년도에 따라 제한되었다. 환자군에는 일차 난소암 발생자이며 임상병기가 1기부터 3기에 해당하는 상피성 난소암 환자가 포함되었다. 선택 편향 최소화 위하여 restriction과 입적년도와 수입에 따른 빈도 매칭을 사용하였다. Restricted자료의 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하여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으며 매칭된 자료의 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 방법에는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결과
초경 연령이 이른 여성 (OR=1.48, 95% CI=1.05-2.09), 마지막 출산 연령이 늦은 여성 (OR=1.68, 95% CI=1.07-2.64)의 경우 높은 난소암 위험을 보였다. 생활 습관 관련 요인의 분석 결과로는, 과거 흡연자 (OR=3.69, 95% CI=1.75-7.78), pack year가 10 이상인 여성 (OR=3.14, 95% CI=1.32-7.44), 과거 음주 경험자 (OR=11.20, 95% CI=6.75-18.59), body mass index (BMI)가 18.5 kg/m2 미만인 여성 (OR=1.80, 95% CI=1.04-3.13)이 높은 오즈비를 보였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여성 (OR=3.92, 95% CI=2.47-6.21), 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여성 (OR=33.65, 95% CI=9.67-117.13) 이 각각의 가족력이 없는 여성에 비교하여 높은 난소암 위험을 보였다.
또한, 감소된 난소암 위험이 출산력이 있는 여성 (OR=0.24, 95% CI=0.16-0.37), 특히 2명 이상의 아이를 출산한 경험이 있는 여성 (OR=0.23, 95% CI=0.15-0.35) 에서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하여, 인공 유산 경험 (OR=0.66, 95% CI=0.48-0.91)이 있는 경우에도 인공 유산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감소된 난소암 위험을 보였다. 호르몬 관련 요인 분석 결과, 경구 피임약 복용 경험이 있는 여성 (OR=0.59, 95% CI=0.41-0.87), 경구 피임약을 10개월 이상 복용한 여성 (OR=0.59, 95% CI=0.41-0.87), 난관 결찰/절제술 (OR=0.17, 95% CI=0.10-0.31), 자궁 적출술 (OR=0.34, 95% CI=0.19-0.62)을 받은 적 있는 여성에서 각각의 요인 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하여 낮은 오즈비를 보였다. 생활 습관 요인 분석에서는 땀이 날 정도의 규칙적 운동을 한 번에 한 시간 반 이상 (OR=0.60, 95% CI=0.41-0.86), 일주일에 5번 이상 (OR=0.41, 95% CI=0.28-0.60), 일주일에 2시간 이상 (OR=0.47, 95% CI=0.35-0.61) 하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난소암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후 호르몬 대체 치료의 경우,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OR=0.51, 95% CI=0.32-0.80) 없는 경우보다 더 낮은 오즈비를 보였지만 충분한 정보 수집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호르몬 대체 치료가 난소암 위험에 대하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결론
국내에서 최초로 난소암 위험 요인에 대한 관찰 연구를 시행한 결과, 출산력, 경구피임약 복용, 인공 유산, 난관 결찰/절제술, 자궁 적출술, 규칙적인 운동이 상피성 난소암에 대하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출산력, 경구피임약, 규칙적 운동의 경우, 출산 아이 수의 증가, 장기간 경구피임약 복용, 긴 시간과 잦은 빈도의 운동에 따라 보호 효과도 함께 커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반면에 이른 초경, 늦은 마지막 아이 출산 연령, 흡연, 음주, BMI 18.5 kg/m2 미만, 유방암 가족력과 난소암 가족력은 난소암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난소암, 생식 요인, 위험 요인, 환자-대조군 연구, Frequency matching, Logistic regression, 역학, 한국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ovarian cancer in the Korean Epithelial Ovarian Cancer Study (Ko-EVE)

Introduction
Ovarian cancer is the seventh leading cause of cancer-death in women. It has been reported that risk factors related to ovarian cancer globally. However, even though there were a few researches about risk factors of ovarian cancer, most of them are the studies of Europe. In Korea, observational study of ovarian cancer risk profiling has been never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ssociation between ovarian cancer and various factors such as reproductive, hormonal treatment, lifestyle, and family history in Korea.

Methods
A total of 530 ovarian cancer cases in the Korean Epithelial Ovarian Cancer Study (Ko-EVE) and 80,979 controls in the Health Examinee (HEXA) study were primary selected. Eligible criteria of cases were incident cases diagnosed as primary ovarian cancer and confirmed histologically as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and stages one to three. We did restriction of age and enrollment year and frequency matching of enrollment year and household income to minimize selection bias and to regulate the distribution of potential confounders.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 used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in restricted design,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in matched design.

Results
As a result of our study, early age at menarche (OR=1.48, 95% CI=1.05-2.09), late age of the last childbirth (OR=1.68, 95% CI=1.07-2.64), past cigarette smoking (OR=3.69, 95% CI=1.75-7.78), smoking pack-year ≥ 10 pack-years (OR=3.14, 95% CI=1.32-7.44), past drinking (OR=11.20, 95% CI=6.75-18.59), BMI <18.5 Kg/m² (OR=1.80, 95% CI=1.04-3.13),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OR=3.92, 95% CI=2.47-6.21), and family history of ovarian cancer (OR=33.65, 95% CI=9.67-117.13) were shown as definite risk factors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On the other hand, parity (OR=0.24, 95% CI=0.16-0.37), number of parity ≥ 2 (OR=0.23, 95% CI=0.15-0.35), artificial abortion (OR=0.66, 95% CI=0.48-0.91), HRT (OR=0.51, 95% CI=0.32-0.80), tubal ligation (OR=0.17, 95% CI=0.10-0.31), OC use (OR=0.59, 95% CI=0.41-0.87), oral contraceptives (OC) use duration ≥ 10 months (OR=0.59, 95% CI=0.41-0.87), hysterectomy (OR=0.34, 95% CI=0.19-0.62), regular exercise ≥ 1.5 hour/time (OR=0.60, 95% CI=0.41-0.86), regular exercise ≥ 5 times/week (OR=0.41, 95% CI=0.28-0.60), regular exercise ≥ 2 hours/week (OR=0.47, 95% CI=0.35-0.61) were shown as protective factors definitely for epithelial ovarian cancer. In the case of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it was shown as a protective factor (OR=0.51, 95% CI=0.32-0.80). However, it cannot be said it is a definite protective factor because the information on HRT was not clear.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observational study of profiling ovarian cancer risk in Korea, we suggest that parity, artificial abortion, OC use, tubal ligation, hysterectomy, and regular exercise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for ovarian cancer. Moreover, especially for parity, the duration of OC use and regular exercis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ity, longer duration of OC use, and more and longer hours of regular exercise have more preventive effects for ovarian cancer. We also propose that early age at menarche, late age of last childbirth, cigarette smoking, alcohol drinking, BMI <18.5 kg/m2, and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are risk factors for ovarian cancer. Especially for cigarette smoking, a smoking pack-year of 10 pack-years or more has a higher risk for ovarian cancer. In the case of postmenopausal replacement therapy, we have to investigate further to include hormones.

Keywords
Ovarian neoplasms, Reproductive factor, Risk factor, Frequency matching, Case-control study, Logistic regression, Epidemiology, Korea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