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컬 레슨에서 나타난 가창 교수-학습의 음악교육적 해석 : An Analytical Study on Music Education of Teaching-learning for Singing from Vocal Less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수

Advisor
조용환; 오희숙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2020. 2. 조용환
오희숙.
Abstract
Abstract
An Analytical Study on Music Education of Teaching-learning for Singing from Vocal Lesson

Singing is a musical domain which we can easily experience in our lives. Among many educational experiences existing in our society, singing and learning vocalism are embedded in our daily lives as natural behavior. Nevertheless, vocalism does not work out very well when it is offered as a school curriculum and makes students dislike it. Accordingly, this study began to find vocalism done in a covert manner in a place we can easily see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current sing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eaching-learning for singing by observing the lessons which are done between a vocalist teacher and learners and to grope for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us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ppropriate to research a small-scale group. For research sit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instructor's studio and concert hall from March 2017 to April 2019.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one instructor, one male learner and one female learner. The lessons were regularly observed once a week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studio and concert halls wherever needed.
From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what do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background of teaching-learning for singing in the vocal lesson? Second, what kind of methods and structures of teaching-learning did occur during vocal lesson? Third, what implications are there in terms of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singing?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teaching-learning for singing for the participants a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n chapter III,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problems the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lacing singing as central to their lives using a life history approach. The songs and lives were always affecting the participants, not separated in the environment. Sometimes the participants learned 'wrong ways' or did not learn 'what they want'. This study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in meeting and separating with the instructors, and making mistakes and failures in order to find necessary learning.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conducted the necessary learning to find more clearly through the repeated trial and error.
In chapter 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aching-learning sides that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taught and learned the songs in terms of 'Lead' and 'Matching'. The 'Lead' is an expression of 'a leading instructor'. In 'Sound',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from the sound" like talking" with which was importantly dealt in the participants' lessons and the sound by "vocal and classical vocal". In 'Pronunciation', this study was to the method of pronouncing lyrics by "Korean vocalists" from the instructor's point of view. In 'Sound', "Like talking" demonstrated how the instructor, Sim-Song Pyo, explained in line with ways we 'talk' naturally in our daily lives. In 'Comparison', this study was to explain it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learning sounds which could be ambiguous in singing by dividing the method of making sounds by Sim-Song Pyo into "vocal and classical vocal". In 'Pronunciation', Pyo explained how the pronunciation in the instructor's singing could be related to cultural experiences.
'Matching' refers to 'meeting learners' needs' and is a process of negotiating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s. In 'Negotiation', "meeting halfway" of learning occurred as learners in particular conditions by meeting halfway with the instructor. A learner, named Mi-Rae Lee decided to practice singing during the break and practiced basics and scales during the semester. Another learner, Pyo-Hyun Cho, decided to repeat the sound practice as basic according to situations. In 'Change', teaching-learning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intuitive methods to feel 'senses' through hands, faces and hearts with the changes of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by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In 'Human',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were instructor's efforts to understand learners from their perspective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sincere advice and actions based on the instructor's experience helped learners to believe in the former's sincere teaching and to establish desirable human relationships.
To look 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structure closely a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n chapter V,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by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by dividing them into 'dependence' and 'independence'. Pyo-Hyun Cho with 'dependent tendency' was engaged in 'teacher-centered' learning in which the instructor's abilities mattered most. 'Teacher-centered' represented a vertical instructional structure in which Cho learned 'only what was given and taught by the instructor all the time'. 'Repetition effect' showed that both Cho and Pyo had experienced learning effect through 'repetition'. Repetition appeared in a form of the instructor's capturing, guiding, judging and giving feedback. 'Exploration and reflection' illustrated the instances of where learners could distinguish and perceive that they could accomplish what were not possible before. However, even in a 'teacher-centered' method, conversations occurred. The learning problems that arose in the conversation with the instructor were also continually extended apart from learning contexts. In 'Dependent tendenc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active help centered on the instructor had positive effect on the teaching-learning with the 'dependent tendency' if a learner could learn by himself/herself even though she/he was willing to work.
On the other hand, 'Independent tendency' was Mi-Rae Lee's learning tendency which liberally absorbed knowledge in a less subjugated manner. In 'Student-centered', Mi-Rae Lee is currently in a teaching-learning relationship and accepted opinions of the outside world. Such perception of hers showed the horizontal structure that learners took from choosing what they thought was necessary. In 'Self-subjectivity, Mi-Rae Lee's intervention of self-interest brought about a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Eventually, it led to a difference in level, which could cause conflicts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s. In 'Mutual attunement', the subject or initiative of class could have changed. Sometimes, the learners moved their learning in the direction based on her interests and the instructor accepted them. According to such "independent tendency," the instructor's question had the effect on helping learners learn clear and self-knowledge.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independent tendency' followed the flow of learners while reflecting the instructor's opinions at the same time, which resulted in interaction between them after all.
In the chapter VI, based on the participants' data from 2017 onwards, singing education could obtain Idealtypus like ideal type as 'interaction' heading for the better learning through the trial and error under the instructor and learner's life and environment, and followed by 'try to do' which handled the perception of own sounds and meaning of singing experience. In 'from singing to music education', there was discussion that it needed to lead and help the learner in order that the music educator could train the essential factors in singing. The singing education show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tained the instructor's empirical knowledge, the learner's level to accept it, and the learner's environmental situation. The instructor and learner presented its vertical structure and horizontal structure by interaction at each level. Two learners were taught the boundary of discrepancy with the 'mutual depend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structure like teaching-learning surroun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all crossed over the environment of the outside world. Accordingl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singing education should have human sides in understanding the learner as well as guiding him/her and learning each other in order the learner could subjectively feel the deep phase of sound experience under the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and learner.
To conclude, this researcher applied the learning process to make sound and learn the senses from such research performance in order to reflect it on the design by expanding the whole singing lesson, and to record and compare the changes that happened by the learner's age and development period by practicing a method of making a sound. In this way, this researcher has come to the implications that the process of singing education as shown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practice of singing, and that the instructor and learner's learning by teaching together to proceed was a value to proceed the music education.
국문초록

가창은 우리의 삶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는 음악 영역이다. 많은 교육의 현상 중에 노래를 하고 배우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위로 우리 삶에 녹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창이 학교교육으로 이루어질 때에는 즐겁게 되지 못하고 오히려 싫어하게 되는 현상을 본다. 이에 우리가 보지 못하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가창교육을 찾아 발견하고 교육에 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보컬리스트의 레슨을 관찰하여 가창 교수-학습을 발견하고 음악교육적인 의미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하기 위하여 선택한 방법은 소규모의 집단을 연구하는 데 적합한 질적 연구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는 2017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교수자의 작업실과 공연장에서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교수자 1명, 남자 학습자 1명, 여자 학습자 1명이었다. 수업은 매주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관찰하였고 면담은 작업실과 공연장에서 필요할 때마다 시행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보컬 레슨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어떠한 가창 교수-학습 배경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보컬 레슨 과정에서 어떠한 교수-학습의 방법과 구조가 나타는가? 셋째, 가창 교수-학습의 현장으로 본 보컬 레슨은 음악교육적으로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 이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참여자들의 가창 교수-학습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III장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노래를 삶의 중심으로 삼게 되면서 겪게 되는 문제들을 생애사적인 접근으로 살펴보았다. 환경 속에서 노래와 삶은 따로 분리되지 않고 참여자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잘못된 것을 배우기도 하고 원하는 것을 배우지 못하기도 한다. 참여자들에게는 필요한 학습을 찾기 위해 교수자들과 만나고 헤어지며 실수와 실패를 거듭하는 과정이 나타났다. 반복되는 시행착오에서 참여자들은 필요한 배움을 더 분명하게 찾아가는 학습을 하고 있었다.
IV장에서는 두 번째 문제인 참여자들의 가창 교수-학습 방법과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노래를 가르치고 배우는 교수-학습의 측면들을 이끎과 맞춤으로 살펴보았다. 이끎은 이끄는 교수의 표현이다. 소리에서는 참여자들의 학습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말하는 것처럼 내는 소리와 보컬과 성악이 소리 내는 방식이 다른 점을 비교하고, 발음에서는 우리나라 보컬들인 참여자들인 가사를 어떻게 발음하는지 교수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소리에서는 교수자인 표심송이 우리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말하는 것을 소리 내는 것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있었다. 비교에서는 표심송의 소리 내는 방식을 보컬과 성악으로 나누어 자칫 모호하게 될 수 있는 노래에서 소리 학습을 좀 더 이해 가능한 방향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음에서는 교수자의 노래에서 발음이 문화적인 체험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맞춤은 맞추는 학습으로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만나서 만들어 나아가는 학습의 흐름이었다. 절충에서는 학습자들이 처한 상황에서 교수자와 합의하며 학습의 합의를 하는 과정이 일어났다. 학습자인 이미래는 방학 때 노래를 연습하기로 하고 학기 중에는 기초와 음계 연습을 하기로 한다. 학습자인 조표현은 상황에 따라 해오던 연습을 기초인 소리 연습으로 돌아가서 다시 하기로 한다. 변화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학습의 방향을 수정하면서 손과 얼굴, 가슴의 감각을 같이 느껴야되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교수-학습이 바뀌었다. 인간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편에서 학습자를 이해하려고 애쓰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교수자의 경험에서 나오는 진심어린 조언과 행동은 학습자들에게 교수자의 가르침을 진심으로 믿으며 따르게 하는 인간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았다.
두 번째 문제인 교수-학습 방법과 구조를 더 잘 보기 위하여 V장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노래를 가르치며 배우는 구조를 의존과 독립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의존 지향의 경향을 보이는 조표현의 학습에서는 교수자의 능력이 중심이 되는 교수 중심의 학습을 하고 있었다. 교수 중심에서는 조표현의 학습이 A로 주입하면 A로 하려는 수직적인 구조가 나타났다. 반복 효과에서는 조표현과 표심송이 학습을 반복을 하면서 나타나는 효과를 보았다. 반복은 교수자가 포착하고 안내하고, 판단하고, 피드백을 주는 형태로 나타났다. 탐구 반성에서는 안 되었던 것을 되는 것으로 구별하고 인식하는 발견이 있었다. 교수 중심의 학습이라도 대화는 이루어졌다. 교수자와 대화에서 일어난 학습 문제는 학습 장소를 떠나도 계속 진행되는 연장이 일어났다. 의존 지향의 경향을 보이는 교수-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의지가 있다 하더라도 스스로 학습을 촉진하지 못하면, 교수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을 적극적으로 돕는 것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독립 지향은 다른 것에 덜 예속된 상태로 자유롭게 지식을 흡수하는 이미래의 학습 경향이었다. 학생 중심에서는 이미래가 현재 교수-학습 관계에 있으면서 외부세계의 의견을 수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학습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하여 취하는 수평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자기 주관에서는 학습자인 이미래가 자기 주관의 개입으로 해석의 차이를 가져오고 수준의 차이로 이어져 교수자와 충돌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상호 조율에서는 수업의 주제나 주도권이 바뀔 수도 있었다. 학습자는 관심이 흐르는 방향으로 학습을 이동하고 교수자는 수긍하기도 한다. 독립 지향의 학습에서 교수자의 질문은 학습자가 하고 있는 학습을 분명하게 하면서 자기 지식으로 만들게 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독립 지향의 경향은 학습자의 흐름을 따르면서 교수자의 의견도 반영시키며 교류하는 학습 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VI장에서는 참여자들이 했던 경험과 레슨을 통하여 가창 교수-학습의 음악교육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2017년부터 그동안의 참여자들의 레슨으로 본 가창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삶과 환경 사이에서 시행착오를 거치며 나은 배움을 향해 나아가며 각자 다른 상호작용속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다음 자기 소리의 인식과 가창 체험의 의미를 다룬 해보는 것을, 가창에서 음악교육으로에서는 이러한 성과를 통해서 음악교육자는 가창의 본질적인 요소를 훈련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이끌 수 있고 도와주어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는 논의를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보여준 가창학습은 교수자의 경험적 지식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학습자의 수준과 학습자의 환경적 상황이 들어 있었다. 교수자와 학습자는 각자의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하면서 수직적 구조와 수평적 구조를 보여준다. 교수자와 두 학습자는 상호의존하고 상호이해하며 불일치의 경계면을 좁혀가는 학습을 한다. 연구참여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교수-학습이라는 구조는 외부세계의 환경과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로써 가창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소리 체험의 깊은 단계를 학습자가 주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학습자를 이해하고 함께 학습해 나아가는 인간적 측면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감각으로 소리 내고 익히는 학습 과정을 가창수업 전체로 확대하여 설계에 반영해보거나, 소리 내기의 방식을 연습하면서 학습자의 연령과 발달 시기에 따라 일어나는 변화를 기록하고 비교해볼 수 있도록 적용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을 통해 본 가창학습의 과정은 노래부르기의 실천이며,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교학상장하며 나아가는 것이 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가치라는 함의에 도달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6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