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라 관음신앙 연구 : A study on Silla Avalokitesvara faith : focusing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valokitesvara-hierophany
관음성현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금란

Advisor
윤원철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종교학과,2020. 2. 윤원철.
Abstract
관음보살은 하화중생의 실질적인 구현자로서, 대승불교권에서 가장 대중적인 귀의와 지지를 받아온 신성(神聖)이다. 불과위(佛果位)에 버금가는 지상(地上)의 대보살로, 숙세(宿世)에 이미 성불한 정법명여래로, 무엇보다 삼신(三身)을 구족하여 중생의 근기와 원망에 따라 무수한 응화신을 나투어 제도 교화하는 구제자로 상정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처럼 신변(身變)의 관념을 토대로 확인되는 관음보살 제도방편의 특징을 관음성현(觀音聖顯)으로 정의하고, 그것이 신라라고 하는 시대와 문화를 관통하여 역사적, 사회문화적 실재로 작동해온 과정을 추적하고 신앙의 성격과 신행의 특징을 논구했다.
신라 사회에서 관음신앙은 특유의 현실 이익적 성격으로 가장 대중적인 지지를 받으며 불교 신행의 토착화를 주도하였다. 관음보살은 화엄사상과 『법화경』 「보문품」을 토대로 현세 및 차방주재(此方主宰)의 타력 신성으로, 또 밀교의 영향 안에서 법신 비로자나불과 불이(不二)의 권화로서 붓다에 버금가는 독립적인 존격으로 자리매김했다. 『삼국유사』는 신라인들에게 감득된 관음성현의 양태가 크게 진신(眞身)과 화신(化身)으로 범주화되고 있으며, 각각의 층위에서 특수한 신행 문화가 창출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진신성현 신앙은 의상, 범일, 보천 등 엘리트 수행자의 자내증(自內證)을 기반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낙산 신앙은 관음보살의 외래성(外來性)을 소거시키고 본래 이 땅에 상주하는 본연 보살의 관념을 부각하고 있다. 또 화엄법계관을 토대로 왕경 중심의 불국토관을 극복하고 이후 곳곳에 건립되는 불보살 영장(靈場)의 원형으로서의 상징성을 담지하고 있다. 오대산 신앙 역시 각 대에 성현한 불보살 진신의 만다라적 총화를 보여준다. 여기서 관음보살 주처인 동대는 별도의 상수(上首)를 두지 않는, 비로자나불과 불이(不二)의 존격으로서 신라 사회에서 관음보살의 독립적 위상을 확인시켜 준다.
화신성현 신앙은 이 땅 민중의 삶 속에 화광동진하는 관음보살 구제 활동의 역동성을 보여준다. 체용 구조로 확인되는 성현의 메커니즘에서 화신은 특정 주처의 진신이나 존상의 위신력을 증험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무엇보다 성현의 양태가 범속한 신라 기층민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신라 관음신앙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곁을 살아가는 가족, 선우, 지인이 곧 관음보살의 현신일 수 있다는 믿음을 정초하였다.
신라인들에게 관음신앙은 현기현응의 구원재로 수용되었으며, 공능을 촉발하는 행법으로 칭명은 물론 진언 지송, 향화, 독경, 예참, 조상 등 오늘날 불교 신앙에서 확인되는 신행과 의례의 전반적인 형식이 신라 불교 안에서 구축되었다. 관음보살의 존격과 행법의 측면에서 밀교의 영향이 나타나지만, 신라 불교의 헤게모니를 주도했던 화엄 사상을 바탕으로 현교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기능의 측면에서 관음신앙은 왕실 수호 및 호국의 기제로 그 성격이 점차 강화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득자(得子), 치병(治病), 재난 구호 등과 같은 현실적 문제는 물론, 생천이나 왕생의 조인(助因)으로서 죽음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구원재로 자리매김했다. 나아가 성불, 성도의 조인(助因)으로서 화엄을 비롯해 이후 한국불교의 주류로 성장한 선종에 이르기까지 학파와 종파를 관통하는 실천도로 원용되었다.
일연은 『삼국유사』에 이 땅 민중들에 의해 창출된 불교 신앙문화와 불보살 구제 활동의 역동적 드라마를 그려내고 있다. 그가 살았던 고려 당대의 피폐한 사회 정황 속에서 국가와 불교, 민중과 불교의 이상적 관계를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고, 당대 및 차후의 불교의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관음신앙은 이와 같은 일연의 의도 안에서 그가 현창(顯彰)했던 조동오위(曹洞五位)의 실천 지향에 상응하는 방편으로서 세간 대중을 섭화하는 실질적인 기제로 부각 되고 있다.
Avalokitesvara is the most representative Bodhisattva worshiped to be the actual savior who implemented 'hahwajungsaeng(下化衆生)', the idea of Mahayana Buddhism. As a great Bodhisattva achieved Trikāya(三身), Avalokitesvara was considered to have become a Buddha in the past life or reach a similar status with Buddha. Also was regarded as a savior of all beings and all worlds by manifesting many incarnations corresponding to their character and the content of wishes. I conceptu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relief of Avalokitesvara as 'Avalokitesvara-hierophany(觀音聖顯)' on the basis of hierophanic machanism of being incarnatio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illa(新羅) Avalokitesvara faith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working of Avalokitesvara-hierophany in the Silla society, as a socio-cultural reality.
As a deity fulfilling not only worldly desires to be saved from difficulties, but also religious metaphysical goal of spiritual enlightenment, Avalokitesvara was a most popular Bodhisattva in Silla and East Asian Buddhism. Especially in a Silla society, Avalokitesvara was recognized as a temporal and independent savior on the basis of the Hwaeom thoughts(華嚴思想) and 『Beobhwagyeong(法華經)』 「Bomunpum(普門品)」. And it was believed almost in the same status with Vairocana Buddha(毗盧遮那佛) Under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Popularized as a means of fulfilling whishes of common people, Avalokitesvara faith contributed to the naturalization of Buddhist faith on Silla society. 『Samguk-yusa』 presented two kinds of body, Jinsin(眞身,True Body), Hwasin(化身, Nairmāṇikakāya), as manifestations of Avalokitesvara which had seen by Silla people. And on that basis of each, a characteristic culture of Avalokitesvara faith was created.
Jinsin-hierophany(眞身聖顯) beliefs was developed through religious experiences of elite monks like Uisang(義湘), Beomil(梵日), Bocheon(寶川). As a most representative case, Naksan faith had eliminated the exogenism of Avalokitesvara and made up an idea that it was a sacred deitey originally resided in Silla. Also, overcoming royal district-centered idea that consider Silla as Buddha's Land, it became a symbol of the Buddhist pure lands wherever that after created on various places in this country. Hwaeombeobgyegwan(華嚴法界觀) was based on this idea. 'Odaesan faith', another case, showed a mandala-like integration of Buddhas and Bodhisattvas' manifestions by Jinsin-hierophany on every mountaintop of five directions. Within the structure of Odaesan faith , the dwelling place of Avalokitesvara was east and showed an independent status of Avalokitesvara by no setting a superior Buddha over it.
Hwasin-hierophany(化身聖顯) beliefs showed a dynamic relief activities of Avalokitesvara in the lives of Silla people. In the mechanism of hierophany, Hwasin(化身)'s function was to prove powers of not only a Jinsin(眞身) reside in a specific place but also efficacy of sacred images of Avalokitesvara set in temples. Above all,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 was that aspects of Hwasin(化身) were the images of the common people of Silla. Through this, the belief that family, friends, and acquaintances who live together with could be the embodiment of Bodhisattva was grounded.
The kinds of practicing ways which Silla people carried out to invoke the power of Avalokitesvara were various; Invocation of Bodhisattvas name, Chanting mantra and sutra, Adoration, Offering incense, flowers and foods, and Making statue etc. All of these are performed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as well. Although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was reflected in worship ritual and the status of bodhisattva, the character of Silla Avalokitesvara faith had a strong tendency of expository teaching(顯敎) based of Hwaeom thought.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 of Avalokitesvara faith was to authorize of Royalty and protect Silla country from attacks of foreign enemies. And it covered not only realistic problems such as childbirth, curing diseases, and disaster relief, but also postmortem salvation like to be born in heaven or pure land. Furthermore, as a means to reach Buddhahood, it was used as a practice mechanism penetrating Hwaeom(華嚴), Seon(禪) and most of Buddhist schools and sects in Korean Buddhism.
Ilyeon(一然) depicted a dynamic panorama about the Silla Buddhist culture by focusing on the relief work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in 『Samgug-yusa』. He identified Silla Buddhism as the ideal type in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Buddhism, the people and Buddhism and suggested the roles and directions of Buddhism to go in his period and afterward. In Ilyeons intention, Avalokitesvara faith was emphasized as a practical relief means of all beings corresponding to Jodong-owi(曹洞五位) thoughts that he had espoused.

Keywords: Silla Buddhism, Avalokitesvara(Avalokitēśvara), Avalokitesvara faith, Avalokitesvara-hierophany, Jinsin(眞身,True Body), Hwasin(化身Nairmāṇikakāya), Samguk-yusa
Student Number: 2011-30861.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81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7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