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창의적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사고-창조 기반 경험 디자인 : Experience Design of Thinking & Creation for Building a Creative Identi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노현지-
dc.date.accessioned2020-05-19T08:02:34Z-
dc.date.available2020-05-19T08:02:3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104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79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4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2020. 2. 김수정.-
dc.description.abstractCreativity is a unique feature that only human beings hold as the lord of cre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utmost capability that has been the driving force of developing human history up to date. The interest in human creativity has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anticipated rapid changes that would come with the adva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on, the human is expected to lead lives in a whole new way, on a cyber-physical system that enables to control things intelligently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 through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When it is realized that human labor, including knowledge-based labor, is replaced by machines, many of the current jobs that we know of are expected to disappear. And then new types of human activities will emerge by establishing with creativity and open-minded ideas and thought. As creativity becomes the core competence of the human in the future, psychologists and educators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study of creative thinking and human 'identity' as the subject of creation and creativity. The future will certainly bring a convenient life for humanity, but it may also lead to unexpected chaos. Those who will create opportunities in this trend are the ones who hold a firm self-identity. The person who feels anxiety in the existing social system and wishes to seek self-efficacy and find his/her way from imagination to realty are required to retain a solid self-recognition as a creative being.
Recently, in psychology and education, a specific concept that connects the two academic fields has proposed, which is called 'Creative Ident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reativity of human beings, which would not be replaceable by machines, humans 'self-identity' and 'self-esteem' which evaluate its identity positively give an effect. The static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is backed by various studies. Self-esteem is 83% related to achievement, 83% to empathy, and 100% to leadership. Especially in this current trend of rapidly changing society, it requires building up a firm self-identity and strong self-esteem that appreciates its value and competence. In this regard, 'creative self-identity' refers to awareness about the self which is expressed by exercising creativity, and which is regarded as a very critical feature of the talent in the society to come. American psychologist N. Branden also claimed that creativity is one of the features of positive self-identity.
Identity issues have not been addressed in design in the past. However, when you look at a design where expression and presentation matter, other fields such as art, music, and dance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treat self-identity issues. When you examine the theories of art therapy, you may end up with the conclusion that the act of creation itself is already effective to treat 'identity therapy'. By doing so, the assumption that the creative act of design may bring in the same effect is feasible. The design was originated from a Latin word that implies the meaning of 'planning,' but its concept we commonly used in current society was derived in the modern era to use for the mass production system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us, conventional design has often been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planning and its implementation to produce goods and services, and this designing activity was critical in modern societies where production and consumption matters. However, the reason why design gained the spotlight in modern society is its creative features of design based on unique ideas and methods and regarded as one of the know-how of the production. For example, '1 + 1 =?' has one correct answer, but the question like 'what kind of ballpoint pen is convenient to use?' can draw up tens of thousands of different answers. Design as a way of findings solutions through open thinking began to apply to the way of creation and innovation in various areas of society. Therefore, the design is understood as systematic thinking in modern society that has gained attention as a mea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Therefore, the design will return to etymological meaning from its modern concept, and its role will be extended to every aspect of life as a philosophical and fundamental concept.
In recent U.S D-School's design your-self projects and others, cases have begun to be found where the design was used as a tool for finding self-ident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creative and effective method through adapting design-specific methodology, beyond existing research on the design or existing expressive therapy.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design that may function as a tool for discovering 'self-identity' and for developing a 'creative self', which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future society to come. The research aims to design design experiences based on the 'creative thought and creation' process that helps users form 'creative self-identity'. It explores psychological concepts such as self-awareness, understanding, and empathy through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then related to design actions to experience oneself that has a creative competence. The concept of research is based on psychology, but the design of research will be based on experience design and service design based on design science. The experience to be designed is realized by exhibition-based experiences with exhibitions and workshops, and workbook-oriented experiences with workbooks, and a multi-media strategy that connects app and educational space, and social network services.
Through this approach, this paper will examine the fundamental meaning of what design is all about as an expression of creativity. When every one participates in production in the era of design, the design will be referred to similarly a word of creative thinking and the action of design will be considered to be common things to everyone. As the expertise as designers used to be special and exclusive skills in the past, but now became general and common and design thinking is required to become an extended area. A series of design processes that include creative plan and implement and express outwardly will gradually become common and ordinary to everybod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lead daily lives in the coming future as a creative person by sharing the power of self-discovery that has been gained from the life of the design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ideas originated from personal experience be evolved to certain perspectives that would be beneficial to others.
-
dc.description.abstract창의성은 만물의 영장으로서 인간이 가진 고유한 특성이며 과거로부터 인류의 발전을 견인해온 핵심적인 능력이다. 최근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뜨거워진 것은,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여러 가지 급격한 변화 때문이다. 가까운 미래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통해 실제와 가상의 현실을 오가며 사물을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상 물리 시스템을 토대로 전혀 새로운 방식의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지식 노동을 포함한 인간의 노동이 기계에 의해 대체되는 기술이 현실화되면, 우리가 아는 수많은 직업들이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인간의 활동은 열린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일들을 기획해 가는 창조성을 기반으로 펼쳐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앞두고 창의성을 연구하던 심리학자와 교육학자들은 최근 창조적 사고와 창조의 주체로서의 인간의 정체감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새로운 변화가 인류에게 가져올 편리한 미래에 대한 기대를 목소리만큼, 급격한 변화로 인한 혼란이 야기될 것이라는 우려도 붉어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혼란한 사회에서 중심을 잃지 않고, 변화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어 가려면 흔들리지 않는 정체성을 필수적이다. 이러한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최근 창의성과 자아정체감 , 이 둘 간의 연결고리를 잇는 개념이 등장했는데, 이것이 바로 창의적 정체성(Creative Identity)이다. 여기서 창의적 자아정체감이란 창의성을 발휘할 때의 자아와 관련된 자기인식을 말하며, 이는 새로운 사회의 인재에게 매우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진다.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 고유의 창조성이 발현되는 과정에는 인간 본연의 자아정체감, 그리고 그 정체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자아 존중감과 등이 영향을 미친다. 자존감과 창의력의 정적관계는 여러 연구들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자존감은 성취도와 83%, 공감능력과 83%, 리더십과는 100%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심리학자 너새니얼 브랜든(N. Branden) 역시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의 특징으로 창의성을 언급한 바 있다.
자아정체성과 관련된 주제는 과거 디자인이 다뤄오던 문제는 아니었다. 하지만 기타 다른 미술, 음악, 무용 등 표현 문화 분야의 개념들은 정체성 치료에 접목되며 발전한 바 있다. 이렇게 발전된 예술치료 분야의 이론을 살펴보면, 창조의 행위는 이미 그 자체로 정체성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결론지어져 있다. 그렇다면 디자인의 창조 행위 역시 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디자인은 원래 계획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이지만 현재 일반 사회에서 통용되는 디자인의 개념은 산업혁명 이후의 대량생산 체계를 위해 설계된 근대적 개념이었다. 그래서 종래의 디자인은 흔히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한 계획과 실현을 담당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이러한 역할은 생산과 소비를 주축으로 한 근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디자인이 각광을 받게 된 것은 이러한 생산의 노하우로서 구축된 사고와 방법들 때문이 아니라, 그 안에서 발휘된 창의성 때문이다. 1+1은 2라는 하나의 답을 가지지만 사용하기 편리한 볼펜의 형태라는 질문에는 수만 가지의 답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렇게 열린 사고를 통해 비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는 방법으로서 디자인은,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으며 각 분야로 응용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현대 사회의 디자인은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각광받는 사고체계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이제 창의적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가야하는 현 인류에게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보여 진다.
최근 미국의 D-School의 design your-self 프로젝트 등에서는 디자인을 자기 발견의 도구로서 연구한 사례 등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디자인에 대한 기존 연구, 혹은 기존 표현 치료 연구에서 나아가 디자인 고유의 방법론을 통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되어줄 것으로 믿는다. 그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창의적 자아정체성의 형성을 위한 사고-창조 과정의 디자인 경험을 설계하는 경험디자인 분야의 작품논문으로 제안된다. 자기 인지, 이해 공감 등 심리적 개념들을 디자인 사고 과정을 통해 탐색하고 이를 디자인 행위와 연결하여 창조자로서의 자기 자신을 경험하는 과정을 연구했다. 다수의 연구 개념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지만, 연구의 설계는 디자인학을 기반으로 경험디자인,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 설계되는 경험은 전시와 워크숍을 중심으로 한 전시 중심 경험과 워크북을 중심으로 하는 워크북 중심 경험을 앱과 웹, 교육 공간,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매체와 연결하는 다매체 전략을 통해 실제적인 디자인을 구현하여 제시하였다. 또 사용자의 반응을 관찰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어 연구의 발전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모두가 생산에 참여하는 만민 디자이너 시대에 들어서게 되면 디자인은 창의적 사고와 같은 개념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며, 그 행위는 일상적인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과거 디자이너가 독점하던 생산적 전문성이 일반화되고 디자인 사고가 적용되는 분야들도 확대되면서, 디자인은 무엇인가를 창의적으로 계획하고 실현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연스럽게 일상에 녹아들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발전되어 창조자로서의 일상을 살아갈 미래의 인류에게 디자인 교육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디자인 치료의 분야를 개척하는 단초로 발전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디자이너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경험한 자기 발견의 힘을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하며, 연구 아이디어가 다른 이들에게 창의적 자아정체감에 도움이 되는 관점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2
1.1.1 한국인의 폐쇄적 자아정체감의 문제 2
1.1.2 사회의 변화와 창조적 자아정체감의 중요성 4
1.1.3 디자인의 변화와 다양한 가능성 6
1.2 연구의 목적 8
1.3 연구의 방법 10
1.4 용어의 정의 12
1.4.1 창의성 12
1.4.2 자아정체감 13
1.4.3 디자인 사고 14
1.4.4 창조와 창의 15
1.4.5 경험 디자인 15
2. 문헌연구 16
2.1 창의성과 자아정체감의 정적 상관관계 17
2.2 창의적 자아정체감 20
2.2.1 창의적 자아정체감의 정의 20
2.2.2 창의적 자아의 특성 21
2.2.3 창조적 경험의 가치 23
2.3 창의적 자아의 창조적 경험으로서의 디자인 26
2.3.1 사례 연구 26
2.3.2 창의적 자아정체감과 관련된 디자인의 특징 28
3. 사고-창조 경험 디자인의 원칙과 전략 33
3.1 경험 디자인의 목표와 환경에 따른 원칙 34
3.1.1 경험 디자인의 목표: 충분히 창조적인 사람 34
3.1.2 경험 디자인의 환경: 충분히 창조적인 경험 37
3.1.3 경험 디자인의 원칙: 3F 원칙 40
3.2 경험 디자인의 시각화 전략 42
3.2.1 경험의 구체화를 위한 조형적 시각화 요소 42
3.2.2 3 F 원칙의 시각적 적용 45
3.2.3 시각적 3F 원칙을 적용한 브랜드 경험 요소 52
3.2.4 경험 디자인의 시각적 분위기 55
3.3 경험 디자인의 사용자 전략 56
3.3.1 사용자 세분화와 확산적 타켓팅(targeting) 56
3.3.2 핵심 타겟 : 230대 여성 58
3.3.3 중심 타겟 : 가족과 아동, 중요한 타인 63
3.3.4 확장 타겟 : 공동체 65
4. 사고-창조 경험 디자인의 구조 67
4.1 경험 디자인의 미디어 구조 68
4.1.1 360 Holistic Media 모델 68
4.1.2 개별 미디어의 역할 72
4.1.3 경험의 연계 82
4.2 경험 디자인의 콘텐츠 구조 83
4.2.1 창조적 경험의 콘텐츠 83
4.2.2 자기 탐색의 주제에 따른 디자인 사고의 도구 발굴 87
4.2.3 콘텐츠별 디자인 사고-창조 과정의 구성 89
5. 사고-창조 경험 디자인의 전개 93
5.1 전시 중심의 디자인 97
5.1.1 자기 인식 97
5.1.2 자기 공감 100
5.1.3 자기 치유 110
5.2 워크북 중심의 경험 디자인 125
5.2.1 자기 이해 125
5.2.2 자기 통합 132
5.3 워크숍 중심의 경험 디자인 137
5.3.1 자기 성장 137
5.3.2 자기 돌봄 144
5.4 시나리오 151
5.4.1 전시 중심의 사용자 시나리오 151
5.4.2 워크북 중심의 사용자 시나리오 154
5.4.3 워크샵 중심의 사용자 시나리오 157
6. 사용자 연구 159
6.1 디자인 경험의 실험 관찰 160
6.2 파일럿 실험 1차 162
6.2.1 실험의 설계 162
6.2.2 실험의 실시 163
6.2.3 실험 결과 164
6.3 파일럿 실험 2차 169
6.3.1 실험의 설계 169
6.3.2 실험의 실시 169
6.3.3 실험의 결과 172
6.4 효과성 검증 176
6.4.1 검증 도구 176
6.4.2 실험의 실시 178
6.4.3 실험의 결과 179
7. 결론 184
7.1 종합 185
7.2 연구의 한계 188
7.3 연구의 확장 가능성 189
7.3.1 디자인 교육으로의 확장 189
7.3.2 정체감 치료로의 확장 191
참고서적 197
Abstract 207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45.2-
dc.title창의적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사고-창조 기반 경험 디자인-
dc.title.alternativeExperience Design of Thinking & Creation for Building a Creative Identi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0-02-
dc.contributor.major시각디자인-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104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104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