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애인 일자리 정책평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연백

Advisor
이석원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2020. 2. 이석원.
Abstract
Policies for the disabled can be considered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ersonal daily life, education, housing, transportation, gender and social class, but the most important areas are jobs. In terms of the basic goals of the policy for the handicapped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ans to do so, the actual basic goal of the policy for the handicapped is to ensure the minimum basic standard of living for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 as family members. In other words, income should be guaranteed to lead to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Two policy measures may be considered to ensure income. The plan is to deliver various cash and spot benefits at the social welfare service level in a social However, this raises the question of how to guarantee the efficiency of the delivery system, along with the sufficiency of that pay level. Another policy support that has recently come under the spotlight is to remove or ease various discrimination and obstacles that restrict the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n the labor market, allowing the disabl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and establish their status as an independent social worker through jobs. This means that disabled people who are willing to work are guaranteed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with non-disabled people, and that they are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where they coexist with non-disabled people through employment, thus providing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social integration as well as self-realization and income acquisition.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isabled people may be placed in blind spots of the social safety net,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emphasis on independence of disabled people may increase the level of risk burden o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method i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s more empirical than theoretical. This is because the importance of wages earned through ones own work rather than social benefits may be desirable in terms of the overall composition of income or the securing of the working rights of the disabled individual, but it is difficult to make unilateral judgments considering the ease of reality facing them as a disabled person.
In this study, we want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based on a clear assessment of disabled jobs. The analysis of jobs for the disabled is analyzed in previous preceding studies in terms of employment patterns, such as wage work, self-employed people, unpaid family employees and economically inactive people, and the quality of jobs for the disabled is assessed beyond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such as regular workers, irregular workers, commercial workers and daily. We want to evaluate the impact of policy,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job market by classifying decent jobs as job openings.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which variables are related to person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policy factors, we want to analyse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quality of job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analysis purposes, the handicapped employment panel data were analyzed using eight-year panel data from year 1 (2008) to year 8.
The quality of jobs was classified into good job concepts and five jobs were divided into multi-portrait panel analyses.
After verifying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possibility of working for office workers, it was analyzed that the policy factor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job counseling, employment inform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project, and that the support for job placement had a negative impact. However, the use of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indicating the need to strengthen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Personal factors were analyzed due to significant effects of high school graduates, college graduates, certificates, computer skills, English skills, and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stresses. In social factors, the departments of physical disability, mental disability, and basic life insurance benefits were affected negatively, and the daily needs of other people and the experience of job discrimination were significant. It was analyzed that the size of asset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to expand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s an office worker, especially psychological coaching training that can enhance computer, English skills, and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skills.
The panel polynomial logarithm analysis results for service workers analyzed that the benefits of providing job information and experience of using vo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licy factors, but it was found that job search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In the case of personal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whole process, especially on obtaining certificates,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stress, and computer skills. For social factors, all types of disabilities, including physical, sensory and mental disorders, have negative effects, and women are more likely to work in service jobs, the report showed. Experiences in job discrimination, marital status and daily needs of other people have significant effects, the report showed. For the control variables, the asset size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analysis shows that in order to expand employment as a service worker, among human capital factors, policy support for expansion of the ability to use computers and policy support that can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should be provided together.
Also, providing job inform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dicating the need to expand job information services suitable for the disabled.
Panel multiple route analysis results for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fessionals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the experience of using vocational training for policy support variables, but the employment assistance variable was negatively affected. For personal factors, a number of variables, such as academic background, computer skills, English skills, adaptability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For social variables, male, job discrimination experience, marital status, basic life insurance benefits, and other people's need for hel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For the control variables, the asset size,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negative effects.
In the case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ore men with high physical strength and disabled people with experience in job discrimination are employed, rather than individual factors, the report showed. The use of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is also analyzed to show positive effects, so customized vocational training methods should be sought considering physical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polynomial panel logit analysis of functional workers showed that for policy variables, job interview support and job placement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while other variabl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case of personal factors, the existence of certificates, computer skills, personal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social factors, mental disability and basic life insurance benefit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and in gender cases, they had negative effects. It was analyzed that the age and size of the asse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rol variables and that the size of the asse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eligious presence.
It was found that the existence or absence of a certificat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peration of a functiona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unctionary) because it is a job that requires the handling of the machine. In the case of functional workers, it is necessary to expand policy support for job information provision and job counseling by finding suitable jobs that may have less impact on disability. In particular, policy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given that the policy variables have not had a significant impact.
장애인 정책은 개인 일상생활, 교육, 주택, 교통, 성별, 사회적 계급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분야는 일자리이다. 장애인 정책의 기본 목표와 이를 위한 수단의 적합성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장애인 정책의 실질적인 기본 목표가 장애인 및 장애인을 가족구성원으로 둔 가구의 최소한의 기초생활수준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즉 최소한의 생활수준을 영위할 수 있는 소득이 보장되어야 한다.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정책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사회적 급여 방식으로 각종 현금 및 현물급여를 사회복지 서비스 차원에서 전달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이 경우 그 급여 수준의 충분성과 함께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 주목받는 또 다른 정책지원은 장애인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약하는 각종 차별과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완화함으로써 장애인이 능동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게 하고, 일자리를 통해 독립된 사회인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일할 의사가 있는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취업기회를 보장받고, 취업을 통해 비장애인과 공존하는 환경을 제공받음으로써 자기실현과 소득획득은 물론 사회 통합의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장애인의 독립성을 강조할수록 장애인 개인의 위험부담 수준이 높아 질 수 있다는 점과 함께 장애인이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어떤 방안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지는 이론적이기보다는 실증적인 문제이다. 사회적 급여보다는 스스로의 근로를 통하여 얻는 임금의 중요성이 소득 전체의 구성에서나 장애인 개인의 근로권 확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지만, 장애인으로서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일방적인 판단을 내리기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일자리에 대한 명확한 평가를 바탕으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애인 일자리의 분석을 이전 선행연구들에서 임금근로, 자영업주, 무급가족종사, 비경제활동 인구 등 취업형태에 국한에서 분석하고, 정규직, 비정규직, 상용직, 일용직 등 취업상의 지위에 한정하여 영향요인 분석을 넘어 장애인 일자리의 질(quality)을 평가하고자 한다. 괜찮은 일자리를 취업직종으로 분류하여 취업직종에 미치는 정책적, 개인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개인요인, 사회적요인, 정책요인에 어떤 변수들이 관계되어 있는지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분석하고, 이들 요인들이 장애인의 일자리의 질(quality)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자료를 제1차 연도(2008년)부터 제8차 연도까지 8개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일자리의 질(quality)를 괜찮은 일자리 개념으로 분류하여 5개 직종으로 구분하여 다항로짓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무직종사자에 종사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책요인은 직업상담, 취업정보, 직업능력개발 사업참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취업알선 지원여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직업훈련이용경험여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업훈련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개인요인은 고졸, 대졸, 자격증소지, 컴퓨터 활용능력, 영어활용능력, 대인및조직적응력이 유의미한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요인의 경우 장애유형 중 신체장애, 정신장애, 기초생활보장수급여부는 부정적인 영향을 타나내고, 일상생활 타인의 도움 필요도와 취업차별경험은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 중 자산규모와 직업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사무직종으로 장애인 취업 확대를 위해서는 직업훈련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하며 특히 컴퓨터, 영어활용능력 및 대인 및 조직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심리코칭훈련이 강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다항로짓분석결과는 정책요인의 경우 취업정보제공 수혜여부와 직업훈련이용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취업알선 지원여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요인의 경우 학력은 전 과정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격증 획득, 대인관계및조직적응력과 컴퓨터 활용능력이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요인의 경우 신체장애, 감각장애, 정신장애 등 모든 장애유형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성이 서비스직에 종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차별경험과 결혼여부, 일상생활 타인의 도움필요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의 경우 자산규모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서비스직으로의 취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요인 중 자격증, 컴퓨터활용능력에 확대를 위한 정책지원과 대인관계 및 조직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서비스판매직은 취업정보제공이 가장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에 알맞은 취업정보 제공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농림어업숙련직에 패널다항로짓분석결과는 정책지원변수의 경우 직업훈련이용경험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으나, 취업알선지원변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개인요인의 경우 학력, 컴퓨터활용능력, 영어활용능력, 적응력, 주관적 건강상태 등 다수의 변수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변수의 경우 남성, 취업차별경험, 결혼여부, 기초생활보장수급여부, 타인의 도움필요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의 경우 자산규모, 전반적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관계, 직업만족도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농림어업수력직의 경우 개인요인보다는 체력이 높은 남성, 취업차별경험을 겪은 장애인이 더 많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이용경험 여부도 양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 신체조건을 감안한 맞춤형 직업훈련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기능직종사자의 다항패널로짓분석결과는 정책변수의 경우 구직직업상담지원과 취업알선지원여부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변수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개인요인의 경우 자격증 유무, 컴퓨터 활용능력, 개인관계 및 조직적응능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요인의 경우 정신장애와 기초생활보장수급여부가 부정적인 영향, 성별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의 경우 연령과 자산규모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종교유무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원장치기계조작조립직(이하 기능직)의 경우 기계를 다루어야 하는 직종이기 때문에 자격증 유무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직종사자의 경우는 장애의 영향이 덜 미칠 수 있는 적합직종을 발굴하여 취업정보제공 및 직업상담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정책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점에서 향후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808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