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계학습을 활용한 지도 일반화 개선 방안 연구
건물과 도로 객체의 선택적 삭제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은

Advisor
유기윤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도 일반화지도 갱신다축척 데이터베이스기계학습수치지형도digital mapmachine learningmap generalizationmulti-scale databaseupdating map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2020. 8. 유기윤.
Abstract
현재 우리나라의 1:25,000 수치지형도는 1:5,000 수치지형도를 축소 편집하여 생성하고 있다. 축소 편집은 대축척 지도로부터 소축척 지도를 만드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지도 일반화(map generalization) 기법을 적용하게 된다. 그동안의 지도 일반화는 객체의 기하학적 특징들을 활용하여 일반화하는 기하학적 일반화 방법, 혹은 규칙기반(rule-based) 방법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축소 편집 과정은 축소 편집 관련 규정에 따르는 일종의 규칙기반 방법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규정집의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은 부분들이 다수 존재하여 편집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다. 축소 편집 시에 제작자의 주관이 개입될수록 소축척 지도 품질의 일관성을 담보해 주지 못하며, 편집자 개인의 역량에 따라 일반화의 품질이 좌우된다는 단점이 있다.
지도 일반화에 관한 연구에서도 사람의 개입이 지도 일반화의 결과물을 일관적이지 못하게 한다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도 일반화의 연구 흐름은 자연스럽게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료 취득 및 처리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지도 일반화 품질의 일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이에 앞서 사람의 개입이 지도 일반화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얼마나 주고 있는지에 대해 정량적으로 밝혀진 연구사례나 실증사례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며, 구축된 지도 일반화 결과물의 분석을 통해 기존의 규정을 보완하는 등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려는 시도 또한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개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반화 품질의 차이를 기계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정량화하고, 나아가 이를 활용하여 일반화된 지도의 품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5,000 수치지형도에서 1:25,000 수치지형도로의 축소 편집 시 건물과 도로의 선택적 삭제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학습된 모델을 서로 다른 여섯 명의 지도 제작자가 제작한 지역에 적용하여 건물과 도로객체의 선택적 삭제 여부에 대한 예측률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예측률 간의 차이와 그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지도 제작자 간의 편집 방법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해 학습 모델에 사용된 네 개의 알고리듬 – 의사결정 나무(decision tree), k 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 SVM(Support Vector Machine),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 별로 건물과 도로에 대해 각각 예측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 생성된 모델을 6개 실험지역에 적용하여 예측률을 측정하였고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을 통해 예측률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임을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대상 지역의 특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같은 제작자가 편집한 서로 다른 지역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하고 통계 검증을 통해 지역의 특징이 제작자 간 차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물의 경우 지역별로 드러난 정확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으나, 도로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별로 드러난 차이보다 제작자별로 나타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도로객체에 대해서도 제작자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정성적(시각적) 분석 결과, 건물의 경우 도심지역의 소건물들에서, 도로의 경우 진입로 등의 소로에서 객체의 선택적 삭제에 제작자별 차이가 드러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기계학습 기법의 지도 일반화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해 도심과 비도심 지역에 대해 각각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예측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계학습 기법을 통해 객체의 선택적 삭제 과정에서 주된 영향을 주는 속성들과 객체 선택에 필요한 설정값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계학습 알고리듬이 지도 일반화 과정에서 축소 편집 규정을 보완할 수 있으며, 특징별로 기계학습 기법을 통해 객체의 선택적 삭제에 기초적 활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기계학습 기법의 적용을 통해 지도 제작자 간의 편차를 정량화하는 것에서 나아가 지도 제작 또는 지도 일반화 과정에 대한 검수 프로그램으로써 활용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객체를 확대하고 알고리듬의 예측률을 상승시키면 현재의 지도 축소 편집 과정을 제작자의 개입 없이 자동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1:25,000 digital maps in Korea are created by editing 1:5,000 digital maps. This editing is a process of making a small-scale map from a large-scale map, and in this process, a map generalization technique is inevitably applied. In the past, the generalization of maps has been mainly based on a geometric generalization method, which is generalized using geometric features of objects, or a rule-based method. Currently, the process of reducing editing in Korea is performed through a kind of rule-based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related to editing. However, there are many areas where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 book are not specific, so there is much room for the editor's subjective intervention. As the subjectivity of the editor is involved in the editing process, the consistency of the quality of the small scale map cannot be guaranteed, and the quality of generalization depends on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the editor.
In recent studies of map generalization, there have been steadily raised problems that such human intervention make the results of the generalization of maps inconsistent. Accordingly, the research flow of map generalization has been progressed toward minimizing human intervention and automating data acquisition and data editing processes to ensure consistency of map generalization quality.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quantitatively revealed research cases and demonstration cases of how human intervention affects the quality of map generalization. Attempts to suggest ways to utilize are also insufficient. There are also insufficient attempts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existing regul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generalized results of map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generalization caused by human intervention is quantified by applying the machine learning method, and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suggest a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eneralized map by utilizing it. For this, a machine learning model that predicts whether buildings and roads can be selected/deleted when scaled-down from 1:5,000 digital maps to 1:25,000 digital maps is created. Then the predicted rate of predicting whether to select buildings and road objects for each six different map makers were measur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rediction rate and its pattern,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iting method between map makers. Another experiment proposes a method for creating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urban centers and non-urban areas, and setting the appropriate machine learning algorithm settings according to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learning model, the prediction rate was measured for buildings and roads for each of the four algorithms, DT, k-NN, SVM, and ANN, used in the learning model. In addition, the predicted rate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generated models to six experimental area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ra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e Kruskal Wallis test.
In this process, since the difference in accuracy may occu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gion, the accuracy of different regions edited by the same producer was measured and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determine how muc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differences between producers. As a result, in the case of buildings, the difference in accuracy by reg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 the case of roa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regions. However, the difference by each producer wa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y region,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ifference by producer was also dominant for road objec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visu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were revealed for each producer in the selection and deletion of lane objects, such as roads, in small buildings in urban areas in buildings.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a way to utilize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the generalization of maps, a machine learning model was generated for urban and non-urban areas respectively, and the prediction rate was measured. As a result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properties that have a major influence in the selection and deletion of objects and the settings required for the object selection, and through this,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complements the reduced editing rules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map. And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make basic use of object selection and dele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each featur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an be applied not only to quantify deviations between map makers, but also to automate the generalization of map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utomating selection and deletion in the generalization of maps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rough a learning model that has learned from existing map data.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09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