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괘상과 상형문자를 통한 생활세계 표현 연구 : Expression of Life-World through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희-
dc.contributor.author송윤주-
dc.date.accessioned2020-10-13T03:14:19Z-
dc.date.available2020-10-13T03:14:1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21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97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19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동양화과, 2020. 8. 김성희.-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19년까지 괘상(卦象)과 상형문자(象形文字)를 매개로 생활세계를 표현한 연구자의 작품연구논문이다. 연구자의 작업은 생(生)과 본질(本質)에 관한 회화적 표현방법을 탐구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본 논문은 고대에 인간이 발견한 자연의 이치와 이를 본받고자 하는 인간의 규범을 그림과 문자로 표현한 괘상과 상형문자에서 그 단서를 얻고 현대적으로 활용하고 표현한 작업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괘상 및 상형문자에 내포된 상(象)과 의상(意象)의 개념이 생활세계와 상통하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자의 미학적 관점에서 상호 공통적이고 보완적인 주제를 찾고, 탐색된 주제를 회화적으로 구현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의의는 첫째 의상론의 측면에서 동양회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둘째 동양의 의상론과 서양 현상학의 생활세계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하며, 셋째 회화적으로 표현된 괘상과 상형문자의 현대적인 의미를 찾고, 넷째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괘상과 상형문자를 조명해보는 데 있다. 나아가 연구자의 작업이 동양회화의 특성에 바탕을 두면서도 현대미술로서 형식과 해석을 도출할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생활세계의 의미와 회화적 적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논문의 주제인 생활세계(生活世界)는 생을 바라보는 세계로 정의할 수 있다. 생활세계는 우리가 사는 생의 세계와 생과 본질을 관찰하는 인식의 틀로서의 생활세계로 나눌 수 있다. 생활세계라는 용어는 서구 현상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인간이 사는 터전인 주관적이고 일상적인 삶의 세계를 뜻한다. 또한 과거의 인상이나 관념적 세계가 아닌 현재의 구체적 삶을 말한다. 현재 존재하는 터전 없이는 모든 학문과 이념과 삶이 있을 수 없다고 보고 그 중심에 자연이 있다고 본다. 생활세계는 방법론적으로 어떠한 철학적 전제나 선입관 없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려는 인식의 태도다. 즉 소위 생활세계적 태도란 주관적이고 생생한 체험으로부터 도출되는 생의 구조나 본질을 직접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철학의 현상학이 정립한 인식의 틀을 회화의 의상론과 결합하여 공통된 주제로서 현재, 직관, 상호작용 속 상상력의 항목으로 정리하고, 회화의 내용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자가 회화작업에서 직접 사용하는 괘상과 상형문자에 관해 연구하였다. 괘상의 기원에 대하여 하도·낙서설과 태극설로 나누어 살폈다. 숫자에서 비롯되었든 자연을 관찰하여 취하였든 자연현상에 내재된 상반된 속성을 음(⚋)과 양(⚊)이라는 추상적인 기호로 표현한 것이 괘상이고, 이의 종류에는 8괘와 64괘가 있다. 상형문자는 갑골문에 최초로 나타나는 문자로서, 대상을 모방한 상형성과 인간이 길흉화복을 추측한 주술성을 드러내는 상징적 특성을 갖는다. 괘상과 상형문자의 공통점은 대상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그 주요한 특성을 추출하였다는 데 있다. 그로 인하여 표현방식이 상당히 요약적이다. 다시 말하면 이해하기 쉽고 따라하기 편하게 간략하다[易簡]. 그 요약적인 표현방식으로 인하여 현대의 추상적 표현에 가깝고 대상 너머의 것에 대한 상상이 가미되며 경외심이나 심미성이 담겨 구현된다. 괘상과 상형문자는 심미적인 의상(意象)으로서 동양회화의 출발점이자 동양철학과 미학의 핵심을 간직하고 있다. 연구자는 괘상과 상형문자의 특성에 착안하여 그에 내재된 생활세계를 탐색하여 작업의 바탕이 되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괘상과 상형문자를 활용하여 생활세계를 표현한 작품을 중심으로 그 구체적인 활용방법을 알아보았다. 첫째, 경험으로서의 현재는 연구자가 당시 당면한 구체적 삶에서 나타난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사건을 담았다. 전통적으로 괘를 추출하는 방식인 우연적 방법을 사용하여 괘상을 선택하거나 그 해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물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잔치를 주제로 한 《문자연(文字宴)》 전시의 작품, 사건을 다룬 64괘 작품, 균형을 주제로 한 작품 등이다. 둘째, 직관으로서의 관(觀)은 세계와의 접촉과정에서 연구자의 직관(直觀)을 발동하여 얻은 결과에 초점을 맞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대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상을 깊이 관찰하여야 한다. 이는 한쪽 면만 바라보는 고정시점으로는 어렵고, 동양의 시방식을 통한 바라보기 방식을 사용할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문자산수》, 《이상세계(以象世界)》, 《문자 속 문자(文中文)》전시 중에 이와 관련된 작품에 대하여 정자(亭子)를 중심으로 한 관(觀)과 집(宮)을 중심으로 한 관(觀)의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상호작용에 의한 상상(想像)은 심미주체와 대상 간의 상호관계에서 심미주체의 주관이 강조되는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역사성, 관습성 속에서 형성된 심미주체의 마음의 상태는 주관적으로 대상을 규정한다. 이는 상상력을 촉발하고 의미(意味)와 의상(意象)을 만들어낸다. 《별길》전시의 작품, 괘상 작품, 《소(素)-상(象):비결정적 형상》전시의 작품 등이 이에 해당한다.
Ⅴ장에서는 작품의 재료적,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작업 전체에서 흰색 안료는 의미상으로 논어에 언급되는 소(素)의 뜻을 가지고, 재료적으로 작업의 바탕과 형식을 구성한다. 소(素)의 소박, 바탕의 의미와 긁기 행위의 신체성, 물성의 요소에서 실존과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현색(玄色)으로서의 먹의 속성과 티타늄화이트 흰색안료 및 기타 물감에 대해 안료의 특성, 제조방법, 포수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형적 특징은 괘상 작업과 상형문자 작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괘상 작업에서, 선은 각 효의 의미에 맞춰 획이 운동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형태는 「계사전」에 나오는 이간(易簡)사상에 근거하여 간략한 형상의 특징을 갖고, 구도는 서예–문자도-괘상의 관계에서 서예의 결구와 장법의 특징을 가진다. 상형문자작업에서, 선은 갑골문, 금문, 전문의 철선(鐵線)적 요소, 인물화에 쓰이는 철선묘 등과 비교하여 선의 굵기가 일정하고 강경하며 원필의 유연한 철선의 특징을 가진다. 형태는 추상기호의 형상을 띄고, 이간사상에 의한 서(書)와 화(畵)의 관계에서 보이는 상형성을 가짐과 동시에 생의 이치에 입각한 구조와 의미를 중시한 특징이 있다. 구도는 각 사물의 존재감을 표현하기 위해 대상 하나하나를 겹치지 않은 나열식 구도로 표현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는 괘상과 상형문자를 매개로 현상학의 인식 틀을 사용하여 생과 본질을 표현하는 회화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현대미술에서 기호로서 고대문자의 활용 가능성을 찾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동양예술의 특성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자 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은 근원에서 출발하여 현대에 유용한 회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고 본다.


주요어 : 상(象), 괘상(卦象), 상형문자(象形文字), 의상(意象), 생활세계(生活世界), 철선(鐵線)
학 번 : 2008-30351
-
dc.description.abstractAbstract

Expression of the Life-World through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Yun Ju Song
Major in Oriental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thesis is a research paper that examines the works spanning from 2002 to 2019 in which the author employs hexagrams and pictographs as the medium to express the life-world. The works of the author stem from an attempt at a pictorial expression of life(生) and essence(本質). The works examined in this research paper are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of images of hexagrams(卦象) and pictographs, which are images and characters that represent human norms that sought to emulate the principles of nature people discovered in ancient times. Focusing on the common thread that runs through the concepts of image(象) and idea-image (意象) in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respectively and the concept of life-world, the author discovers mutually shared and complementary subjects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orks in which the subjects above are rendered into pictorial expression.
This thesis holds significance in that: first, it examines features of Oriental painting from the idea-image theory standpoint; second, it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dea-image theory of the East and the concept of life-world in Western phenomenology; third, it discovers contemporary meanings of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that have been expressed pictorially; and fourth, it takes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approach to examine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Furthermore, the implication that a work based on features of Oriental painting can take the form of and be interpreted as contemporary art adds significance to the thesis.
Chapter II looks into the meaning and pictorial application of the life-world. The term life-world(生活世界), which is a topic studied in this thesis, can be defined as the world through which life is viewed. Life-world comprises the world of life that we inhabit and the lifeworld as a perception framework through which life and its essence are observed. The term life-world is used in Western phenomenology to refer to the world of subjective and everyday life serving as the base of life for all people. The term refers to the specific life as lived in the moment rather than an impression of the past or an ideological world. It is assumed that academic knowledge, ideology and life cannot exist without an existing base of life with nature at its core. In a methodological sense, life-world is an attitude of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world as is without any philosophical premise or bias. A life-worldly attitude seeks to directly and intuitively understand the structure or essence of life drawn from subjective and vivid experiences. The author combines such perception framework rooted in phenomenology, which is a discipline of philosophy, with the idea-image theory in painting to elicit a number of common subjects such as present, intuition and imagination within interaction. With such items, the author performs a content analysis of the paintings.
Chapter III studies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found in paintings of the author. The myth of Hetu and Luoshu and the myth of Tai Chi serve as references for the origin of hexagram images. With their roots in either numbers or elements of nature, images of hexagrams use abstract symbols – yin(⚋) and yang(⚊) – to express the conflicting qualities embedded in natural phenomena and consist of 8 trigrams and 64 hexagrams. Having first appeared in the Oracle bone script, pictographs are characters that have the tendency to emulate the image of the object and a symbolic quality that reflects the element of occultism in fortune-telling practices.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both extract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represented objects after a thorough observation. Consequently, both prove to be extremely condensed forms of expression. In other words, both are easy to comprehend and simple enough to readily mimic(easy and simple, 易簡). Their condensed nature resembles that of contemporary abstract expression and allows them to depict imaginary elements beyond the immediate object with a sense of reverence and aesthetic quality.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are aesthetic idea-images(意象) that not only served as the starting point of Oriental painting but also embody the core of Eastern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author aims to explore the life-world embedded in the properties of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the works examined.
Chapter IV delves into the use of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for a portrayal of the life-world by examining relevant works. First, the present as experienced captures personal and social events that occur in the specific life the author experiences in the moment. The works examined here represent the image of the hexagram selected through a coincidental method that is traditionally used to extract hexagrams or an interpretation of the hexagram. Such works include《Feast of characters (文字宴)》on the subject of feast, <64Hexagrams> on event and the work on balance. Second, sight(觀) as intuition is the study on works that highlight what the author acquired via insight(直觀) in the process of making contact with the worl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ny object requires a careful observation. While a fixed viewpoint limits the view to only one side of the object, a way of seeing through the Eastern viewpoint allows the required level of scrutiny. Works such as《Character landscape painting》, 《A world expressed through images(以象世界)》and 《Character within character(文中文)》are examined from the pavilion(亭子)-centered view(觀) and the house(宮)-centered view(觀) respectively. Third, imagination(想像) triggered by interaction studies works that underscore the subjectivity of the aesthetic subject in its interaction with the object. The aesthetic subjects state of mind has been historically and customarily shaped and, therefore, tends to define the object in a subjective manner. Such interaction triggers imagination that produces meaning(意味) and idea-image(意象). 《Trace of the star》, , and《Foundation(素)-image(象): Indeterminate form 》are the relevant works examined.
Chapter V scrutiniz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Across all works, white pigment conveys the meaning of foundation(素)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le functioning as the material that forms the basis and format of the work.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essence can be drawn from the idea of simplicity and basis embodied in foundation(素) along with the physicality and materiality of the act of scratching. The chapter examines properties of inkstick that produces the dark color(玄色)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manufacturing method and priming method for paints including the titanium white pigment. The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depicting images of hexagrams and those depicting pictographs are studied respectively. In case of works with images of hexagrams, lines portraying the strokes carry motility and directionality as per the meaning of each line of the hexagram while the shape adopts the simple form based on the easy and simple(易簡) ideology from the「Copula Commentary」. In addition, composition of the work follows the construction and syntax of calligraphy in the calligraphy – letter painting – image of hexagram relationship. In case of works with pictographs, lines carry elements of the Cheolsun(鐵線) that appears in the Oracle bone script, the Chinese bronze inscriptions and the Seal script where a flexible stroke produces an iron-wire line with force and consistent thickness comparable to the fine iron-wire line used in portraits. The shape of the pictographs resembles that of abstract symbols while having the tendency to emulate the image ro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書) and painting(畵) according to the easy and simple ideology as well as an emphasis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based on the principles of life. Furthermore, these works adopt a sequential composition that avoids overlapping of the objects in order to convey the individual presence of each and every object.
This study strives to demonstrate how paintings can illustrate life and essence within a phenomenological perception framework by employing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as the medium. The works of the author attempt to explore the potential of using ancient characters as symbols in the contemporary art context and thereby inherit elements of Eastern art in a creative manner. Such works hold significance as they suggest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contemporarily relevant paintings with roots tracing back to the origin.


Key words: image(象), image of hexagram(卦象), pictograph(象形文字), idea-image(意象), life-world(生活世界), Cheolsun(鐵線)
Student ID number : 2008-30351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3. 연구의 의의 8


Ⅱ. 생활세계의 의미와 회화적 적용 11
1. 생활세계(生活世界)의 의미 12
1)『주역』의 생(生) 12
2) 석도의 생활론 17
3) 현상학의 생활세계 20
2. 생활세계의 회화적 적용 24
1) 상(象)과 의상(意象) 24
2) 의상론(意象論)과 생활세계에서 현재와 직관 38
3) 의상론과 생활세계에서 상호작용 속 상상력 42


Ⅲ. 괘상과 상형문자 49
1. 음양부호와 괘상 49
1) 하도(河圖)·낙서(落書)와 태극(太極) 50
2) 『역경』의 8괘와 64괘 60
2. 상형문자 71
1) 문자의 생성과 상형성 71
2) 갑골문의 상징성과 주술성 77
3) 갑골문(甲骨文), 금문(金文), 전문(篆文) 자형의 추상성 80
3. 괘상과 상형문자에 내포된 생활세계 88


Ⅳ. 괘상과 상형문자를 활용한 생활세계 표현 95
1. 경험으로서의 현재(現在) 95
1) 잔치 96
2) 사건 104
3) 균형 117
2. 직관으로서의 관(觀) 120
1) 정자(亭子)를 중심으로 한 관 120
2) 집(宮)을 중심으로 한 관 133
3. 상호작용에 의한 상상(想像) 143
1) 별길 143
2) 괘상 150
3) 비결정적 형상 161



Ⅴ. 조형적 특징 167
1. 안료 167
1) 바탕으로서의 흰색 168
2) 먹 178
3) 초록색과 그 외의 안료 183
2. 선 186
1) 괘상의 획(畵) 186
2) 상형문자의 철선(鐵線) 193
3. 형태 201
1) 간략한 형상 201
2) 문자추상 205
4. 구도 211
1) 결구와 장법의 구도 211
2) 나열식의 구도 220


Ⅵ. 결론 228

참고문헌 235

Abstract 24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상(象)-
dc.subject괘상(卦象)-
dc.subject상형문자(象形文字)-
dc.subject의상(意象)-
dc.subject생활세계(生活世界)-
dc.subject철선(鐵線)-
dc.subjectimage(象)-
dc.subjectimage of hexagram(卦象)-
dc.subjectpictograph(象形文字)-
dc.subjectidea-image(意象)-
dc.subjectlife-world(生活世界)-
dc.subjectCheolsun(鐵線)-
dc.subject.ddc759.95-
dc.title괘상과 상형문자를 통한 생활세계 표현 연구-
dc.title.alternativeExpression of Life-World through Images of Hexagrams and Pictograph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미술대학 동양화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21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21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