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모기대-실제자기 불일치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일-
dc.contributor.author이수빈-
dc.date.accessioned2020-10-13T03:23:33Z-
dc.date.available2020-10-13T03:23:3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25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99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5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0. 8. 김동일.-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기대-실제자 기의 불일치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과 정적 상관을 갖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부모기대-실제자기의 불일치와 심리 적 부적응 간의 관계가 갈등적 독립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N=271)을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국판 부모기대 부응 척도(K-LPEI), 대학생활 적응 척도(SACQ)의 개인-정서적응 문항, 심리적 독립 척도(PSI)의 갈등적 독립 문항,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단 축형(K-MC-13)이 사용되었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이 실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부모기대와 실제자기의 차이가 크다 고 지각할수록 대학생활에서 높은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였다. 부모기대만을 독립변인으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심리적 부적응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기대와 실제자기의 불일치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 에 미치는 영향은 갈등적 독립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즉, 부모 기대-실제자기 불일치를 크게 지각하는 학생들은 갈등적 독립 수 준을 낮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다시 대학생활에서의 높 은 심리적 부적응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기대-실제자기의 불일치가 부모에 대한 원 망, 죄책감, 분노 등의 갈등적 정서를 유발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상담 실제에 갖는 함의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관해 제언하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부모 기대와 연관된 심리적 부적응을 호소하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사는 부모 기대와 실제 자기에 대한 지각을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필요한 경우,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상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러한 불일치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모기대-실제자기 불일치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사는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개별화를 촉진하는 등 부모에 대한 갈등적 정서를 감소시키는 상 담 개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로는 오랜 기간 부모 기대에 과잉 부응하고 있는 자녀 혹은 높은 부모의 기대에 계속해서 부응하고 있는 자녀 등 특수집단에 대한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문화 권의 대학생들의 경우에도 같은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하여야 한 다. 학업이나 진로 영역 외에, 자녀의 연애 관계에 관한 부모기대 -실제자기 불일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도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심리적 분리 뿐 아니라, 상호간 이해와 수용, 높은 친밀감을 경험하는 성숙한 부모자녀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부모기대-실제자 기 불일치의 인과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실시될 필요 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crepancies between parental expectations and actual selves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research with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N=271). Korean version of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s Inventory(K-LPEI),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items from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Conflictual Independence items from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PSI), Korean version of Marlowe Crowne 13 Items Social Desirability Scale(K-MC-13) were used. The major results from statistical analysis of correlation, regression, and mediation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However,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per se were not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y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who perceive high discrepancies between actual selves and parental expectations tend to report low levels of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be less psychologically adjusted to colle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may induce conflictual emotions(i.e., excessive guilt, anxiety, responsibility, resentment, and anger) in relation to parents, which lead to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en college students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ssociated with their parental expectations, counselors should examine separately their parental expectations and actual selves. If necessary, counselors can help to reduce the present discrepancies to a realistic level by improving communication reciprocity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addition, when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ue to the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counselors can decide to implement specific counseling practice which reduces the clients conflictual emotions toward parents, such as facilitating their psychological individuation from parents.

For future studies, special groups such as college students who are overly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s or living up to extremely high levels of parental expectations should be examined. An exa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s also needed, since it may yield different results from this study. Furthermore, in addition to academic and career areas, further exploration on dating concerns is required when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Additionally,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which encompasses every aspect of highly mature parent-child relationships, where high levels of intimacy, reciproc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s well as psychological separation, are achieved. Finally, additional research exploring the causal influence of the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is need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자기-불일치 8
1.1. Higgins의 자기-불일치 이론 8
1.2. 자기-불일치 이론에 대한 경험적 증거 10
1.2. 자기-불일치 이론과 부모기대 11
2. 부모로부터의 개별화 16
2.1. 1차 개별화 16
2.2. 2차 개별화 16
2.3. 갈등적 독립 18
2.4. 개별화와 부모기대-실제자기의 불일치 20

Ⅲ. 연구 방법 21
1. 연구 대상 21
2. 연구 절차 24
3. 연구 도구 26
3.1. 부모기대와 실제 자기의 불일치 26
3.2. 대학생활에서의 심리적 적응 28
3.3. 갈등적 독립 29
3.4. 사회적 바람직성 31
4. 연구 결과 32
3.4. 기술통계 32
3.4. 상관 및 회귀분석 33
3.4. 매개분석 34

Ⅴ. 결론 및 제언 36
1. 결과 요약 36
2. 함의 36
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37

참고문헌 41

부 록 52
부록 1. 일반적 사항에 대한 질문지 53
부록 2. 한국판 부모기대 부응 척도 56
부록 3. 대학생활 적응 척도 중 개인-정서적응 문항 60
부록 4. 심리적 독립척도 중 갈등적 독립 문항 61
부록 5.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단축형 63

Abstract 64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학생-
dc.subject부모-
dc.subject기대-
dc.subject갈등적 독립-
dc.subject심리적 부적응-
dc.subjectCollege students-
dc.subjectParents-
dc.subjectExpectations-
dc.subjectConflictual Independence-
dc.subjectPsychological Maladjustment-
dc.subject.ddc371.4-
dc.title부모기대-실제자기 불일치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25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25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