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교 자유학기제 체험교육의 의미 재탐색 : Research on the Meaning of 'Experiential Education' in Korean Free Semester System: Drawing Upon Dewey's Concept of 'Educative Experience'
듀이의 '교육적 경험' 개념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덕주-
dc.contributor.author장수미-
dc.date.accessioned2020-10-13T03:23:56Z-
dc.date.available2020-10-13T03:23:5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64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99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64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0. 8. 곽덕주.-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도록 기획된 자유학기제 체험 교육의 의미를 재탐색함으로써, 자유학기제의 교육 활동이 학생들에게 교육적인 경험이 되도록 하나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자유학기제에서 이루어지는 체험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듀이의 교육적 경험 개념을 고찰하고자 한다.
과거의 학교 교육은 교사 중심 수업, 기계적인 주입식 교육으로 무기력한 자아를 양산해 낸다는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물론 이러한 비판의 배경은 결과와 성과만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의 영향으로 학교 교육이 상급 학교의 진학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최근에는 이러한 학교 교육에 대한 반성으로, 학생 중심 수업, 예술·체육 교육, 인성 교육 등을 강화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관심을 학생의 인성 함양,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소통 능력 향상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또한 교실 수업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짐에 따라,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다양한 형태의 수업을 시도하고 있다. 필자는 학교 현장에서의 이러한 노력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지식 교육과 체험 교육을 분리하며 교과 수업과 교과 외 체험활동이 별개의 성격을 지닌 교육으로 간주되는 경향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한편, 학교 교육의 변화에 대한 요구와 교실 수업 개선에 대한 요청으로, 중학교에서는 2013년부터 자유학기제가 정책적으로 도입되어 2016년부터는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중학교 자유학기제는 우리 교육의 지나친 경쟁적인 분위기와 입시에 초점을 두는 현상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 그리고 진로 교육을 연계하는 교육 과정의 필요성이라는 교육적 요구를 배경으로 2013년에 교육부의 국정과제 실천 계획에서 도입되었다. 자유학기제는 진로 탐색활동, 주제 선택 활동, 예술·체육 활동,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을 하며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개발하고, 학교와 일상생활을 연관 지을 수 있도록 방향이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고 획기적인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는 자유학기제의 실천 양상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해 보면, 학생들이 이전보다 체험활동을 할 기회가 많아졌지만 그러한 활동들이 교과와 연계되지 않은 일회성의 체험이나 신체적 활동에 그치는 등의 문제들이 드러났다. 그리고 교과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생활동도 가시적인 활동에 머무르며 다음 학기와 연계되지 않는 등의 한계가 드러났다. 필자가 보기에, 자유학기제의 실천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교육 주체들이 자유학기제 정책에서 중점을 두고 추구하는 체험 교육에서의 체험 개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충분히 이해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데에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필자는 존 듀이의 교육적 경험 개념에 기대어, 자유학기제에서 강조하는 체험교육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 되도록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듀이는 우리의 삶은 경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정한 교육은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듀이는 앎과 삶은 연결되며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경험은 계속성의 특징과 상호작용의 특징이 있다고 보았다. 듀이가 교육적으로 의미 있다고 논의한 경험은 행위자(agent)가 최초로 경험한 것에 대하여 되새겨보는 반성적 경험을 거쳐 미래를 예측하는 삼차적 경험으로 이어진다. 즉, 행위자는 경험을 지나치지 않고 경험을 통하여 사고의 지평을 확장해 나가며 자아를 형성해 가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연결되기에 계속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적 경험의 또 다른 특징은 행위자가 환경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한다는 점이다. 듀이는 교육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과정이며, 개인은 사회 구성원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듀이의 교육적 경험은 학생이 자신의 경험을 타자의 경험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경험에 대하여 거리를 두고 돌이켜보며, 타자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학교 교육의 상황에서, 학생은 이러한 경험으로 자아와 세계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자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듀이의 교육적 경험의 세 번째 특징은 삶의 경험이나 일상적 경험과 연관되어 일어난다는 점이다. 듀이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것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학교는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살아가면서 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듀이는 학생들의 일상적 경험의 성격과 교과의 성격은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일상적 경험이므로, 학교 현장의 수업 상황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일상적 경험과 관련지어 교과 내용을 소개한다면, 학생들은 교과 내용을 보다 실감나고 생생하게 받아들이고 수업 상황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필자는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체험교육의 특징과 실천 양상을 문헌들을 통하여 검토하여 그 타당성과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듀이의 교육적 경험 개념을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대해 하나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교에서의 교과 수업과 체험활동이 단지 내신 성적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여겨지기도 하는 현시점에서, 듀이의 교육적 경험 개념을 재조명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아를 탐색하고 확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획되고 실천되기를 바란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planning and practicing Free Semester System programs in Korean middle schools based on John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in education.
Korean society is highly competitive in terms of gaining admission to a university or getting a job. The main purpose of Korean secondary schools, therefore, is to produce good test results for the students. Under such circumstances, young people in South Korea only focus on studying for the best test results. Therefore, they hardly have enough time to spend with their friends or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hey give up their present happiness for success in future. Having to use most of their time to focus on memorizing the contents in their textbooks, students lose the opportunity to examine and discover themselves. Therefore, they find it difficult to form the self and to recognize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After reflecting on Korean public educations negative atmosphere, Korean government made Free Semester System for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2013 to address the rote learning and teaching that is used in most Korean schools. The goal of Free Semester System is to help students discover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activities. The Free Semester System consists of club activities, arts, sports, and career programs. Students can participate in discussions, debates, and project tasks. The programs are student-centered and experience-oriented, and the teachers evaluate the students by watching them participate in curriculum-based activities and assessments. Theoretically, the Free Semester System is meaningful because this program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aspects of their environments in relation to their ordinary lives. Students can also express their own opinions and share them with their friends, and they have to cooperate with their peers to complete their task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us, class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have different points from the teacher or knowledge ­ centered classes. However, I wonder if students can have many chances to grow through reflecting on themselves throughout the program. I think the system is not enough for students to have the chance because experience in the Free Semester System is one off and segmental.
I think many teachers do not understand fully what lived experience means in Free Semester System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Therefore, in order to get an insight into giving students meaningful experience in Free Semester System, I attempted a research on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in education . According to Dewey, the empirical method was the only method that could do justice to the inclusive integrity of experience. The empirical method alone adopted the integrated unity as the starting point for philosophic thought. I think Deweys idea of integrated unity means to integrate intelligence with emotions and desires.
I selected three characteristics of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in the aspect of education. One of them is that he focuses not only on secondary experiences but also on primary experiences. Primary experience is direct, immediate, and it encounters original events or situations. Conversely, the secondary experience could be in the form of knowledge and have indirect, arbitrated and reflective dimensions. Dewey considers an agents emotions, feelings, and thoughts that come from primary experience. Therefore, focusing on primary experience means prizing students emotions, feelings, and thoughts.
Second, his empirical method is a holistic one that covers the interaction of organism with nature. It is a kind of transactional process. That is to say, Dewey emphasizes the totality of an experience and the continuity of organism. His concept of experience includes the actions continuity and the process of growth. In the context of education, what is most important is the fact that students not only articulate their own opinions but also exchange and interact with their peers opinions. This results in their maturing through experience. Through communication, students can reflect on an event and experience group interaction in solving problems. Communication is an example of experience of an individual interacting with society. To put it another way, an individual can have an opportunity of forming his or her own self and enlarging it through the experience. All these processes are the experience Dewey emphasized on education. In other words,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in education includes not only forming the self but also enlarging the self. Dewey emphasizes integrating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nd Dewey explains continuity and interaction in their active union with each other, and provides a measure of the educative significance and value of an experience.
Finally, Deweys philosophic method is the reflection that comes from ordinary experience. Dewey also puts emphasis on life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education, not only teachers knowledge but also students experience, interpretations, and emotions are important and meaningful. It makes possible a stance that is open about knowledge and a stance that is aimed at a democratic society. In other words, Deweys method allows teachers and students to have equal openness.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eachers roles are not to cram students heads with fixed knowledge but to let students doubt, criticize knowledge of the past, and make their own opinions and thoughts.
I have examined programs and modes of practice in Free Semester System based on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Hopefully this study can not only give a direction of mak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olicy but also contribute to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aimed to give students educative experience. Lastly, I hope students can have chances to form and enlarge their selves through school educ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16

Ⅱ. 중학교 자유학기제에서 강조하는 체험에 대한 이해와 그 개념적 한계 17
1. 자유학기제의 체험교육에서 체험 개념에 대한 이해 18
2. 자유학기제 체험교육의 실천적 양상과 그 평가 22
3. 체험 개념에 대한 철학적 논의들과 그 시사점 35

Ⅲ. 듀이의 경험과 교육적 경험의 의미 탐색 50
1. 듀이의 경험 개념의 검토와 교육철학적 의미 52
2. 자아의 확장으로서 교육적 경험과 경험적 방법의 특징 81

Ⅳ. 듀이의 교육적 경험 개념이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실천에 주는 함의 102
1. 듀이의 경험 학습과 중학교 자유학기제 체험의 관계 104
2. 듀이의 교육적 경험이 자유학기제의 실천에 함의하는 바 121

Ⅴ. 요약 및 결론 136

참고문헌 143
Abstract 15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유학기제-
dc.subject체험교육-
dc.subject교육적 경험-
dc.subject자아-
dc.subject존 듀이-
dc.subjectFree Semester System-
dc.subjectexperiential education-
dc.subjectself-
dc.subjecteducative experience-
dc.subjectJohn Dewey-
dc.subject.ddc370-
dc.title중학교 자유학기제 체험교육의 의미 재탐색-
dc.title.alternativeResearch on the Meaning of 'Experiential Education' in Korean Free Semester System: Drawing Upon Dewey's Concept of 'Educative Experienc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u Mi Jang-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듀이의 '교육적 경험' 개념을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교육철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64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64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