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그래픽 조직자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일-
dc.contributor.author안제춘-
dc.date.accessioned2020-10-13T03:30:11Z-
dc.date.available2020-10-13T03:30:1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68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0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68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2020. 8. 김동일.-
dc.description.abstract그래픽 조직자의 교수는 학습에 어려움을 가진 장애학생, 학습부진학생, 비장애학생에게 모두 활용되고 있는 중재 전략이다. 그래픽 조직자의 효과에 대한 대상별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학습자 유형별 효과크기를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초·중·고등학교 일반학생, 장애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읽기, 쓰기, 수학, 내용교과 영역 중재 효과성을 종합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연구를 선정하고, 선정된 연구의 효과크기를 도출하고, 그래픽 조직자의 유형, 학생변인, 중재변인, 집단크기 등 조절변수가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비장애학생, 학습부진학생, 학습장애학생,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집단설계실험연구의 효과 크기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학생변인, 중재변인, 실험설계 및 출판유형 변인은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중재연구의 효과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가?
연구문제 3. 학습자 유형별 하위영역 내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는가?
위의 연구문제인 학습자 유형별(지적장애, 학습장애, 비장애, 학습부진) 증거기반실제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변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R Studio 1.3.959의 meta, metafor 패키지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연구에 포함된 논문은 2000년부터 2020년 1월까지 포함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 총 49편이다. 그래픽 조직자의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0.74로 중간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학습자 유형별 효과크기는 학습부진(0.82), 학습장애(1.14), 지적장애(0.82), 비장애학생(0.48)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1) 학생변인 중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ES=0.82), 중학교(0.69), 고등학교(0.6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유형별로는 특수학급(0.80), 일반학급(0.75) 순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2) 중재변인 중 과목별로는 국어(0.79), 수학(0.78)이, 그래픽 조직자 유형별로는 인지적 도식(0.98)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중재회기별로는 10-19회기, 중재기간별로는 1-9주, 중재빈도별로는 주당 5회, 그룹크기별로는 소그룹 형태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그래픽 조직자는 비장애학생에 비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에게 더욱 효과적인 전략이었다. 그리고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은 통합학급 상황에서 전체를 대상으로 한 대그룹형태의 중재에서도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중재 시에 중재 기간보다는 주당 횟수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단기간 집중적인 중재의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도 효율적인 전략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그래픽 조직자 중재의 효과를 분석한 최신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그래픽 조직자를 학습자 유형 및 중재변인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graphic organizer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ith learning disability, without disability, and underachieving students. A total of 49 dissertation and peer-reviewed articles from 2000 to 2020 January in korea were finally selected for calculation of effect size. Me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studio and meta, metafor packages. Overall effect size of intervention using graphic organizer was 0.74 which was conducted by random effect model. Effect size by student categories produce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underachieving student (ES=1.14), student with LD (ES=1.14), student with ID (ES=0.82), student without disability (ES=0.48). Effect size by sub-group analysis; 1) Among student-related variables, school level produces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elementary (ES=0.82), middle (ES=0.69), high (ES=0.61), and school type produces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special class (ES=0.80), general class (ES=0.75)), 2) Among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subject produces large effect size on korean (ES=0.79), math (ES=0.78), graphic organizer type produces the largest effect size on cognitive mapping (ES=0.98), and 10-19 periods (ES=0.95), 1-9 weeks (ES=0.67) , 5 times per week
(ES=1.44), and small-size group (ES=1.56) were the most effective in intervention setting. 3) Among publication type, peer-reviewed paper (ES=0.83) was more effective than thesis. Among data format, experiment-control group post test (ES=0.87) were produced the higest effect size. 4) Among dependent variables, strategy using (ES=0.92) within cognitive domain and self-efficacy (ES=0.90) within affective domain were the most effective. In summary, Intervention using graphic organizer is more effective to student with disability and underachieving student rather than student without dis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evidence-based effective intervention targeted for specific student categories were discuss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1) 그래픽 조직자 6
2) 장애학생 7
3) 학습부진학생 9
Ⅱ. 이론적 배경 10
1. 그래픽 조직자 10
1) 그래픽 조직자의 개념 및 유형 10
2) 그래픽 조직자의 이론적 근거 및 동향 13
2. 특수교육 분야의 메타분석 18
1) 메타분석의 개념 및 절차 18
2) 특수교육 분야 메타분석 동향 21
Ⅲ. 연구방법 25
1. 자료 수집 25
1) 연구 기간 및 절차 25
2) 연구 선정 및 제외 기준 26
3) 연구 검색 및 선정 26
2. 데이터 코딩 28
1) 메타분석 코딩틀 28
2) 데이터 코딩의 신뢰도 28
3. 데이터 분석 30
1) 효과 크기 계산 30
2) 이질성 검정 35
3) 조절 효과 분석 36
4) 출판 편향 분석 36
Ⅳ. 연구결과 38
1. 그래픽 조직자의 전체 효과크기 38
1) 연구의 질 검증 38
1) 랜덤 효과모형의 동질성 검증 39
2) 전체 효과크기 45
2. 전체 학생의 변인별 효과크기 46
1) 학생변인별 효과크기 46
2) 중재변인별 효과크기 47
3) 실험설계 및 출판유형변인별 효과크기 49
4) 종속변인별 효과크기 50
3. 학습자 유형별 하위영역 효과크기 51
1) 지적장애학생의 하위영역 효과크기 51
2) 학습장애학생의 하위영역 효과크기 54
3) 비장애학생의 하위영역 효과크기 56
4) 학습부진학생의 하위영역 효과크기 58
5) 하위영역 간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 60
4. 독립적 효과크기 분석 및 출판 편향 검증 63
1) 기타 비교집단의 독립적 효과크기 분석 63
2) Trim-and-fill 및 Egger의 회귀분석 검증 64
3) 이상치에 대한 민감도 분석 65
Ⅴ. 논의 및 결론 67
1. 요약 및 논의 67
2. 결론 및 제언 71
참고문헌 73
Abstract 9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메타분석-
dc.subject그래픽 조직자-
dc.subject효과성-
dc.subject학습자 유형-
dc.subject장애학생-
dc.subjectMeta-analysis-
dc.subjectGraphic organizer-
dc.subjectEffect size-
dc.subjectStudent category-
dc.subjectStudent with disability-
dc.subject.ddc371.9-
dc.title그래픽 조직자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학습장애-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68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68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