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conomics of Labor Markets for Non-regular Work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인영

Advisor
이철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Non-regular jobWage dynamicsJob mobilityJob matching and Job searchInequalityFirms’ behaviorTechnological changeRoutinization비정규직직장 이동직장 매칭 및 탐색불평등기업의 행동기술발전루틴화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0. 8. 이철인.
Abstract
With non-regular workers continuing to emerge as a social issue since the 1990s, this study sought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economics flowing into the phenomenon of non-regular employment. We looked at what role non-regular workers play in workers, why firms use non-regular workers, and how non-regular workers are affected by the changing flow of labor demand along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first chapter analyzes the pattern of wage dynamics of workers converted to regular jobs after non-regular workers and explained the mechanism by which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job matching and employee learning. The second chapter notes the puzzling phenomenon of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despite the decrease in non-regular workers between 2004 and 2016. By systematically decompo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non-regular workers and income inequality, we show the phenomenon is not puzzling. We suggest a model explaining the principle of job type employment of firms and explain that the above result is the firms reaction to non-regular workers protection law acted in 2007.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hange in the Korean labor market by ICT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RBTC (Routine Biased Technical Change), and analyzes the contribution of this change to wage inequality. Furthermore, it shows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non-regular workers.

1. Wage Dynamics of Workers with Non-regular Job Experience: Wage Growth by Type of Job Transition

The first chapter is a study on wage dynamics of workers who have moved to regular workers through non-regular jobs. As the number of temporary jobs has increased over time, the labor markets in the world have seen increasingly more workers entering labor markets through temporary jobs and transiting to regular jobs later. Using a panel database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KLIPS), we find evidence of partial convergence that the workers who held temporary jobs exhibit a higher wage growth than those who held regular job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work career. We also find that the higher wage growth tends to be associated with tenure for job stayers and with labor market experience for movers. Finally, we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to account for our findings. We argue that (i) for stayers, tenure reveals the learning process on the worker's ability and the matching component between a worker and an employer, and (ii) for movers, labor market experience reflects the reward of the search for a productive match

2. Does Inequality Rise with Non-regular Workforce?: Firms reaction to Non-regular Worker Protection Law

The second chapter analyzes how much non-regular jobs are contributing to income inequality and whether the contribution has changed with the recent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jobs. Since 2004, South Korea's labor market has experienced a steady decrease in the rate of non-standard workers, but labor income inequality rather increased. Considering the unequalizing effect of non-standard jobs, 'the increasing inequality and decreasing non-standard rate' situation seems puzzling. As a result of applying Card (2001)s decomposition method, we shows the contribution of nonstandard jobs to income inequality rather increased although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decreased. That is the outcome of the skill-biased decreased of nonstandard jobs in skill distribution – the higher skill, the more decrease – which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between-income gap.
To explain this uneven reduction of non-regular workers, this paper suggests a theoretical model in which firms assign workers to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level of tasks at each skill group. The model explains that the skill-biased decrease in non-regular workers is the firms reaction to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non-regular workers. The protection law increased the relative costs of non-regular workers. Given the increase in the relative cost of non-regular workers, firms replace non-regular workers with regular employees from complex tasks because non-regular jobs are less efficient in the complex tasks. This size of this substitution appears larger in the upper skill groups, leading to the skill biased drop in the ratio of non-regular workers. The data also confirmed the validity of this model and hypothesis.

3. Technology, Routinization and Wage Inequality in South Korea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change in the labor market. As technology advances, the form of firms labor demand changes, and this change in demand affects wage distribution. Due to the recent ICT technology, automation, and AI development, robots replace what humans used to do, and AI supplements doctors' diagnosis. The Routine-biased Technological Change (RBTC) explains that the pattern of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labor market depends on the nature of the task each job has. The RBTC explains that for abstract tasks, the efficiency increases with the help of technology, and demand increases, while routine tasks are replaced by technology, resulting in reduced demand, and this pattern has emerged since the 1990s in the Western labor market.
We examines the Routine Biased Technological Change hypothesis in South Korea. For 1993-2018, the routinization pattern – the decrease in the employment share of routine tasks – has appeared when the task-based approach is performed using KNOW data, the Korean version of O*NET. We confirm that the task scores – abstract, routine, and non-routine manual – have significant effects on wages, and in particular, the return and level of abstract task scores contribute to the wage inequality trend.
When analyzing the routinization trend by dividing it into non-regular and regular workers, it can be seen that the decline in the routine task for 2004-2009 in Korea was mainly absorbed by non-regular workers. This seems to have reduced overall routine tasks through non-regular workers while maintaining regular workers who are relatively key to their regular work. In addition, with the relatively large distribution of regular workers in abstract jobs, the increase in return due to rising demand for abstract tasks shows that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could widen further.
90년대 이후 비정규직이 지속적으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정규직 고용 내면에 흐르는 경제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근로자에게 비정규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기업이 비정규직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기술발전과 함께 변해가는 노동수요의 흐름에서 비정규직은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첫 번째 장은 비정규직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된 근로자들의 임금동학 패턴을 분석하고 일자리 매칭(Job matching)과 고용자 학습(employer learning)의 관점에서 실증분석 결과가 도출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두 번째 장은 2004년과 2016년 사이에 비정규직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소득불평등이 증가했던 현상에 주목하여, 비정규직 규모와 소득불평등의 관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기업의 정규직-비정규직 고용원리를 설명하는 모델을 기반으로 위의 결과는 기업의 비정규직 보호법에 대한 반응임을 제시하고 있다. 세 번째 장은 기술발전에 의한 한국노동시장의 수요변화를 RBTC(Routine Biased Technological Change)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 수요변화가 임금불평등에 기여한 바를 분석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발전에 의한 수요변화가 비정규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첫 번째 논문은 비정규직을 거쳐 정규직으로 옮겨간 근로자들의 임금동학에 대한 연구이다. 첫 직장을 비정규직으로 시작하는 것은 이제 한국에서 약 1/3가량의 근로자가 경험할 정도로 일반적인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는 비정규직을 거쳐서 정규직으로 옮겨간 근로자들의 임금동학을 분석함으로써 진입 초기에 경험으로서 비정규직 직업보유가 가지는 경제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비정규직 경험이 정규직 초기 임금 수준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있지만, 임금상승률을 증가시켜 처음부터 정규직이었던 근로자들의 임금수준을 추격해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정규직으로 내부에서 전환되었는지, 직장 이동을 통해서 전환되었는지에 따라 임금상승요인이 다른데, 내부전환자는 재직기간(tenure)을 통해, 직장이동자는 노동시장근로기간(experience)을 통해 임금상승이 반영됨을 보였다. 이는 (i)기업이 정보 불확실성의 대상인 근로자의 능력과 매칭 수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구분하고, (ii) 그 다음 생산물을 기초로 신호추출(signal extraction)을 통해 능력과 매칭 수준에 대해 점차 인지해가면서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근로자들은 현재 직장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할 경우 더 나은 매칭 또는 1차평가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다른 직장을 탐색하여 직장이동을 통해 더 잘 맞고 더 높이 능력이 인정되는 회사를 찾아간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이론모형을 통해 체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비정규직 근로기간이 생산성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해가는 과정으로서의 기능이 존재함을 보임으로써 기업에게 심사(screening)와 수습 평가 장치(probationary evaluation device)로, 근로자에게 직장 탐색 도구(job search device)로서 함의를 지님을 암시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는 2004년에서 2016년동안 비정규직 비율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소득불평등이 증가하는Puzzling한 현상에 주목한다. 이 현상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집단인 비정규직이 감소하면 전체 불평등이 감소할 것이라는 상식과 배치되는 내용이다. 본 연구는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 기법을 통해 비정규직 비율이 감소했지만 비정규직 내에서 높은 숙련도를 지닌 그룹에서는 많이 감소하고, 낮은 기술 그룹에서는 적게 감소하는 숙련편항적인(skill-biased) 감소형태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이로 인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평균적인 격차가 확대되는 부정적 효과가 비정규직 감소효과를 압도함으로써 소득불평등이 심화된 것임을 보였다 본 논문은 숙련(Skill) 집단 내에 직무의 복잡성(Task complexity) 수준을 구분하여 기업이 각 숙련집단에서 직무(task)의 복잡성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할당하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위의 숙련편항적 비정규직 감소가 비정규직 보호법(2007) 실행에 대한 기업의 반응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비정규직 보호법이 비정규직의 고용의 상대비용을 증가시킴에 따라 기업은 비정규직의 효율이 낮은 고숙련 집단의 복잡도가 높은 직무부를 정규직으로 더 많이 재배분함으로써 위와 같은 숙련편향적인 감소가 발생했음을 설명하고 데이터를 통해 뒷받침하고 있다

세 번째 논문은 기술발전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발전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숙련(skill)을 넘어 직무(task)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하는 정향편향적 기술진보(Routine-biased technological change, RBTC) 가설을 검증하였다. 미국 O*Net을 기반으로 설계된 KNOW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무(task) 단위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1993-2018년 사이 한국에서도 추상적 직무의 고용 점유율은 증가하고, 정형적 직무의 고용 점유율이 감소한 고용 변화 패턴(routinization)이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추상적, 정형적, 비정형적 육체업무의 직무 점수가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임금 불평등 추세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 추세를 비정규직과 정규직으로 구분해서 분석할 경우, 한국의 정형적 직무 감소현상은 비정규직을 위주로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정형적 업무에서도 상대적으로 핵심적인 직무를 맡고 있는 정규직은 유지하고, 비정규직을 통해 전체 수요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대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정규직은 상대적으로 추상적 직무에 많이 분포해 있고, 비정규직 직무가 정형적 직무와 비정형적 육체직무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상황에서 추상적 직무 수요 증가에 따른 보상(return)증가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를 더 확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06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9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