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민 발달 기회로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 Youth civic development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청소년의 온라인 교류와 자기노출이 공동체 소통 역량과 공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소은

Advisor
김은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참여적 시민표출적 시민시민 발달 이론온라인 커뮤니케이션자기노출공동체 소통 역량커뮤니케이션 효능감커뮤니케이션 성찰성engaged citizenexpressive citizencivic devlopment theoryonline communicationself-disclosurecommunication competencecommunication efficacycommunication reflecivit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0. 8. 김은미.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미디어 환경에서 청소년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이들의 공적 참여가 증대되고 시민성 변화가 나타난다는 이론적 모델과 경험적 연구들에서 출발한다. 지난 십여년간 어린 세대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과 공적 참여의 관계를 살피는 연구가 축적됨에 따라 그 관계가 상당 부분 경험적으로 확인되어져 왔다. 이 연구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않은 질문들을 지적하였다.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통해 청소년들이 공적 영역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시민으로 되어가는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과, 이 참여하는 시민으로서의 모습이 어떠한지 시민성의 측면에서 규범적 평가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내재된 시민 발달적 과정과 그 결과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과 공적 참여 증대의 관계에 대하여 시민 발달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증대된 공적 참여의 양상을 시민성의 측면에서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정치사회화 과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매개 모델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로부터 정치사회화 이론과 이를 적용한 커뮤니케이션 매개 모델이 청소년들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경험에서의 시민 발달적 과정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발달심리학 분야에서 논의되는 시민 발달 이론을 살펴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시민 발달 이론은 첫째, 발달 환경적 요소로 가정 및 학교 수업 외의 사회 참여 경험을 주목하며, 둘째, 발달 과정으로 시민적 역량이 함양되는 것을 강조하고, 셋째, 발달 결과로 공동체에 기여하는 시민을 지향점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각각 적용하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하나의 사회 참여 경험으로서 공동체 소통 역량을 함양시켜 참여적 시민으로 발달해나가는 과정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즉, 시민 발달 이론으로부터 어떠한 환경에서 무엇이 발달하여 어떠한 시민이 되는가를 살피는 이론적 모델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경험에 적용하여 정립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사회 참여 경험으로서 친구기반 교류, 관심사기반 교류, 그리고 자기노출에 주목하여 시민 발달의 예측 요인으로 살폈다. 또한, 공동체 소통 역량을 규정하고 커뮤니케이션 공동체 범위, 커뮤니케이션 효능감, 커뮤니케이션 성찰성의 매개 요인으로 구성하여, 온라인 상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적 참여가 증대되는 메커니즘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로서 공적 참여를 오프라인 공적 참여, 온라인 시민적 행동, 온라인 비시민적 행동으로 재개념화하고 공적 참여의 성격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청소년들의 참여적 시민으로서 공적 참여의 양상이 시민적 방향과 비시민적 방향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온라인 상의 공적 참여에서 두 모순된 참여 행동을 규정해 본 것이다. 이를 통해 온라인 환경이라는 청소년들의 삶의 맥락에서 어떠한 시민 발달의 기회가 내재되어 있는지 그리고 또 위험적 측면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년의 간격을 가진 두 시점의 중·고등학생 패널 데이터를 확보하여 1차년도에는 647명, 2차년도에는 49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미디어 이용의 효과로서 개인내적인 변화와 매개효과를 살피기 위하여 이 연구는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관심사기반 교류와 자기노출이 오프라인 공적 참여를 증대시키는 시민 발달의 기회가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는데, 이 발달은 공동체 소통 역량에서도 커뮤니케이션 효능감을 통해 매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관심사기반 교류는 예측한대로 오프라인 공적 참여, 온라인 상의 시민적 행동 뿐 아니라 비시민적 행동도 함께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기회적 요인 뿐 아니라 시민 발달의 위험적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공동체적 가치의 측면에서 볼 때, 공적 참여가 방향성이 정립되지 않은 채 참여가 양적으로만 활성화된 표출적 시민으로 발달을 의미한다. 한편, 자기노출에서 주목할만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적 시민으로 성장하는 조건으로 충족되어야 할 공동체 소통 역량의 덕성적 측면, 커뮤니케이션 성찰성을 자기노출이 증진시킨다는 결과가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즉, 자기노출은 커뮤니케이션 성찰성을 높여, 온라인 상의 비시민적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표출적 시민으로의 발달 경로 (오프라인 공적 참여 증가, 온라인 시민적 행동 증가, 온라인 비시민적 행동 증가) 뿐 아니라 이상적 시민으로의 발달 경로 (오프라인 공적 참여 증가, 온라인 시민적 행동 증가, 온라인 비시민적 행동 감소) 역시 잠재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더하여 중학생 패널과 고등학생 패널을 구분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시민 발달 기회가 청소년 중기와 후기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폈다. 또한, 청소년의 공적 참여 양상에 대한 군집 분석을 통하여 표출적 시민, 현실참여적 시민, 비시민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시민 발달의 기회가 내재되어 있으며 관심사기반 교류와 자기노출이 유의미한 사회 참여 경험이 되어준다는 것이다. 특히 이 시민 발달 과정을 설명해주는 요인은 공동체 소통 역량인 커뮤니케이션 효능감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의 표출적 시민 발달 경로를 밝혔다. 관심사기반 교류는 공적 참여의 양상이 가치 측면에 있어 다소 불완전한 표출적 시민으로 성장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최근 미디어 환경에서 우려시되고 있는 참여적 양상이다. 셋째, 예측하지 못했던 경로로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이상적 시민 발달 경로도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경로는 바로 자기노출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청소년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경험 속에서 낙관적인 기대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부모-친구-학교 및 단체활동 등의 다양한 청소년의 삶의 맥락의 영향력을 함께 확인함에 따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시민 발달의 중요한 환경이 되어준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 최근 미디어 환경에서 증대된 청소년의 공적 참여를 설명하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의 유일한 이론적 모델로 청소년의 정치사회화 과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매개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고 시민 발달 이론을 통해 새로운 설명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이 주제에 관심을 갖는 주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도 시사점을 제시할 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효과를 살피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로 방법론적 함의이다. 이 연구는 2회에 걸친 종단 패널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개인내 변화에 주목하였고, 매개효과를 살피기 위하여 개인내 수준과 개인간 수준을 구분하여 살피는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미디어 이용 효과 연구에서 이 분석 방법이 가지는 함의와 한계를 함께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함의로서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시민 발달의 경로를 밝힘으로써 온라인 공간이 물리적인 오프라인 공간 못지 않게 하나의 실재하는 발달적 환경으로서 연구자들 뿐 아니라 교육자들 역시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builds on and advances theoretical models and empirical studies that demonstrate how online communication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has promoted civic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hanged citizenship behaviors in young people.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c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s online communication experiences. However, there is a gap in the explanation of the mechanism through which online communication cultivates citizen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nd a normative evaluation of the changed forms of citizenship is lacking. To fill this gap,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civic development process in adolescents online communication experiences.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factors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s online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the increase in civic engagement, and evaluates forms of increased participatory behaviors from the civic development perspective.
To that end, this research centered on the communication mediation approach to the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The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at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ory and the communication-mediation model applying that theory does not sufficiently represent the civic development process inherent in onlin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young people.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the youth civic development theory discussed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psychology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ory. First, the civic development literature focuses on meaningful participatory experiences, outside of the family and school classes, as environmental factors of development. Second, this study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civic competencies, referred to as assets in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model,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Third, its final goal is to cultivate citizens that contribute to their communities and civil society as a result of such development. This study applied each of these theories to examine how online communication, as a participatory experience, develops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cultivates participatory citizens. That is, this study defined online communication experiences by establishing our theoretical model on what is developed in which environment that cultivates what kind of citizens, based on civic development literatu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friendship-driven SM (social media), interest-driven SM, and self-disclosure in online communication as predictors of civic development. In addition, defining the scope of the connected community, communication efficacy, and communication reflexivity as the three ele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 of how online communication increases civic engagement while treat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mediating factor. Moreover, this study distinguished offline civic action, online civil behavior, and online uncivil behavior in civic engagement based on the nature of the participation and treated them as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expected that modern youth, as participatory citizens, could simultaneously exhibit civil and uncivil behaviors, and defined these two contradictory participatory online behaviors. Based on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opportunities and risks for civic development in the online environment within the context of young people's everyday lif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 panels in 2018 and 2019. In the first year, data was collected from 647 participants, and in the second year, from 494 participants.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tested using a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etermine within-variance and mediating effects as part of the outcomes of using online communi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interest-driven SM use and self-disclosure provide opportunities for civic development, increasing offline civic action. This development is mediated through communication efficacy, which is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However, interest-driven SM use increased not only offline civic action and online civil behavior as predicted but also online uncivil behavior, demonstrating that social media use motivated by interest could create both opportunities and risks for civic development. This represents the development of expressive citizens who actively participate only in terms of quantity and without any established community-based values guiding their participatory behaviors. Meanwhile, self-disclosure was shown to increase the virtuous asp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s a condition for communication reflexivity and the development of ideal citizens. That is, self-disclosure increases communication reflexivity, which, in turn, reduces online uncivil behavior.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desirable developmental path of citizenship in the context of online communication (increase in offline civic participation and online civic behavior, and decrease in online uncivil behavior). This study additionally conducts separate analyse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panel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ivic development paths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ce. An additional cluster analysis observed the following forms of participatory behavior in young people: expressive citizen, offline-based citizen, and non-citizen.
The above results show a developmental path for an expressive citizen in online communication. That is, interest-driven SM has an impact on the growth into an incomplete expressive citizen whose civic engagement is manifested in a negative direction a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uncivil behavior. There is also an unexpected developmental path to ideal citizenship in online communication. This path starts from self-disclosure and can be optimistically expected to develop through the onlin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young people. Last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online spaces as an environment for civic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impact of online communication alongside parents, friends, school, and group activities on the various contexts of adolescents' live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explanation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mediation model for young peoples civic engagem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theoretical model using the civic development theory. This not only has implications for mainstream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but also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communication research on the media usage effects on young people. In terms of it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this study focused on within subject variance to effectively utilize longitudinal panel data collected in two consecutive years, and ou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hich divides levels of within and between variance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using this method for research on the effects of media use. Finally,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offers important suggestions for media education. By determining the developmental path to becoming participatory citizen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both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pay attention to not only the offline society, but also the online spaces as a developmental environ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15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3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