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해외입양과 친생모 모성, 1966~1992 : Overseas Adoption of South Korean Babies and the Motherhood of the Birth Mothers, 1966–1992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란-
dc.contributor.author신필식-
dc.date.accessioned2020-10-13T03:36:12Z-
dc.date.available2020-10-13T03:36:1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45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1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459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20. 8. 김혜란.-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해외입양을 둘러싼 사회적 변화와 친생모의 입양결정에 초점을 맞추어 해외입양 증감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은 한국전쟁 이후 현재까지 17만명에 가까운 자국 출생 아동을 해외로 입양시킨 대표적 해외입양 송출국이다. 본 논문은 한국사회 모성의 제도적 현실과 친생모 행위성이라는 관점에서 왜 그렇게 많은 한국 친생모들이 자신이 낳은 아이를 입양보내야 했으며, 그 입양은 왜 하필 국경을 넘어 해외의 가족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한국 해외입양에 관한 우리 사회의 주된 설명 방식은 크게, 버려지는 아이가 너무 많아 해외로 보낼 수밖에 없었다는 유기 담론(遺棄 談論)과 국가가 자국민 아이들을 돌보지 않고 해외로 보내버린 것이라는 무책임 국가론(無責任 國家論)으로 나뉜다. 그러나 두 방식의 설명 모두에서 왜곡 혹은 간과되어 온 존재가 바로 해외로 입양될 아이를 출산한 여성, 곧 해외입양 친생모이다. 지금껏 한국 사회에서 해외입양 친생모는 아이를 낳아 비정하게 버렸거나 어쩔 수 없이 포기했다는 한정된 이미지 속에서 머물러왔으며 대부분 미혼모, 특히 10대의 어린 미혼모로 제한적으로 이해되어 왔다.
과연 그 많은 여성들은 누구였는지 그들에게 자녀를 해외로 입양 보낸다는 결정은 어떤 의미였는지에 대해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사회 모성의 제도적 현실과 친생모의 행위성에 주목한다. 본 논문의 연구 시기는 1966년부터 1992년까지다. 연구에서는 다시 이 시기를 전쟁고아와 혼혈아동에 대한 해외입양이 거의 끝난 상태에서 새롭게 해외입양의 증가가 시작되고 지속된 1966년부터 1979년까지, 잠시 감소세였던 해외입양이 급증했던 1980년부터 1987년까지, 내내 높이 유지되던 해외입양이 짧은 기간 동안 급감을 통해 이후의 평탄한 감소세로 이어지는 1988년부터 1992년까지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기존의 많은 한국 친생모 연구들이 직면했듯이, 이 논문에서 탐구할 기간의 친생모들의 경험과 선택을 읽어낼 수 있는 방법과 자료는 여전히 극히 제한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친생모들이 처했던 조건과 그들에게 주어졌던 행위적 선택지들이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살피고, 해외입양의 변화 추세를 친생모 삶의 맥락 및 모성의 변화와 연관지어 보는 전략을 택하였다.
연구를 통해 먼저 각 시기별로 해외입양 및 친생모 모성 관련 제도를 검토한 다음, 언론보도 내용을 활용하여 친생모 및 해외입양을 둘러싼 담론과 사회문화적 재현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입양상담을 받은 친생모의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다시 해외입양인 수기집, 입양상담 사례집, 심층면접 연구자료 등에 나타난 구체적 해외입양을 보낸 친생모 사례를 통해 비교해 살피고자 했다. 다음으로는 해외입양 관련 통계, 요보호아동 관련 통계, 입양상담을 받은 친생모 통계 등을 수집하고 각 시기별 해외입양 아동수의 증감을 상세하게 읽어내고 이것을 앞서 살핀 친생모 관련 지식들과 견주어 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입양을 보낸 친생모들의 삶의 맥락이 어떻게 구성되었을지, 그녀들의 입양결정은 어떻게 내려지고 실행되었을지 그 의미를 가늠해보았으며, 제도적 맥락 속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모성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변화 속에 친생모들의 삶의 조건은 어떻게 변화해 갔으며, 이는 친생모의 입양결정을 어떻게 변화시켜 갔는지를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분석한 해외입양 증감과 친생모의 입양결정의 관계가 형성, 변화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966년부터 1979년 시기에는 국내 아동보호 체계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아동복리시설의 감소와 해외입양기관의 입양상담조직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또한 불평등한 모성 법제 속에서도 친생모 보호정책이 도입되어 갔지만, 친생모가 직면한 모순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지체된 가운데 입양을 전제로 한 보호가 대부분이었다. 한편 사회문화적 재현 속에서 해외입양 친생모에 대한 사회적 비난이 늘어난 반면, 해외입양에 대한 긍정적 측면이 부각되면서 해외입양에 대한 기대는 확대되었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이 시기부터는 이전까지 주류를 이루던 혼혈자녀를 둔 친생모뿐만 아니라 비혼혈(한국계) 자녀를 둔 친생모들도 자신이 자녀를 적절히 보호・양육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할 경우 점차 해외입양을 더 많이 고려하게 되었다.
한편, 해외입양이 점차 증가하자 정부가 이를 억제하기 위해 해외입양기관을 통한 국내입양 확대정책을 추진했지만, 해외입양 억제를 모색했던 정부의 일련의 감축정책은 친생모 증가의 실질적 원인과 맥락을 파악하거나 이에 대응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시기의 해외입양 감축정책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해외입양기관을 찾아 입양을 의뢰하는 친생모를 줄이지 못해서 오히려 해외입양 증가로 이어지게 되었다.
다음으로 1980년부터 1987년 시기에는 근대적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강화되고, 정부의 해외입양 정책 방향이 자율화로 전환된 가운데 친생모에 대한 양육 지원이 부재한 상태가 지속되었다. 또한 미혼모 모성 지위는 약화되면서 미혼모의 비모성화가 진행된 반면 한국 아동을 입양한 해외입양가정에 대해서는 정상가족의 전형으로서 선망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 미혼여성이 임신을 하게 될 경우나 기혼여성이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경우 해외입양 이외의 지원과 보호는 여전히 주어지지 않았다. 그로 인해 자신이 양육하는 대신 해외입양기관을 통해 입양을 상담・의뢰하는 친생모의 수는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정부가 추진했던 아동복지 개선과 아동복지 입법에도 불구하고, 해외입양 자율화 이후 해외입양기관들이 전국적으로 상담조직을 확장해 경쟁적 입양 홍보와 입양 권유, 출산기관(산부인과와 조산소)을 통한 입양아동 확보 경쟁에 나서면서, 이들 해외입양기관을 통해 입양상담을 받은 친생모와 기・미아 아동수가 급증했고 이는 곧 해외입양 아동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해외입양을 개방하여도 해외입양 아동수는 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였던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친생모의 입양결정은 급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해외입양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 다음 1988년부터 1992년 시기에는 해외입양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국내외에서 확대되자 정부가 해외입양 자율화에서 해외입양 중단으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였다. 또한 가족법 내 모(母)의 법제적 지위가 개선되고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는 등 모권(母權) 관련 제도가 개선되었으며 기혼과 미혼의 친생모의 자녀양육 지원정책이 도입되었다. 양육미혼모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대두되는 등 미혼모의 모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반면 해외입양에 대한 이상화된 인식에는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였으며, 서구 입양국에서 해외입양인으로 살아가는 삶에 대한 한국사회의 기대와 동경이 줄어들게 되면서 해외입양에 대한 친생모의 필요와 선호가 줄어들게 되었다.
이 시기의 해외입양이 급격히 감소한 것은 우선 당시의 해외입양 정책의 선회와 해외입양에 대한 국내 인식이 급변하는 상황 속에 친생모들이 해외입양을 통해 기대하고 실제 입양상담을 의뢰할 동기와 실질적 통로가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빈곤가정, 모자가정, 미혼가정의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하기로 선택하고 이를 지속하는데 필요한 양육 지원이 도입되고, 친권의 제도적 인정이 가능해지는 등 이전에 비해 입양 이외의 선택지가 늘어나면서 해외입양 친생모의 수가 빠르게 감소한 것도 해외입양을 감소시킨 요인이었다. 그러나 기혼여성의 양육 및 임신중절 선택기회에 비해 미혼여성, 특히 20대 중반 이하의 청소년 미혼모의 양육 선택권과 피임, 임신중절과 관련된 재생산권의 개선은 여전히 이뤄지지 못했다. 당시의 모권(母權) 관련 제도의 개선과 친생모 자녀양육 지원의 도입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던 청소년 미혼모는 입양 외의 선택이 여전히 제한된 결과 해외입양 친생모의 저연령 미혼생모화가 더욱 진행되어 갔다.

해외입양에 대한 여성주의 접근을 통하여 한국 해외입양 연구이자 친생모 모성을 살핀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가 다루는 시기의 한국 사회에서 해외입양과 한국의 모성 그리고 친생모 구성의 변화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각 시기별 친생모 모성과 친생모 입양결정 양상의 변동 추이가 한국 해외입양의 증감 추이와 성격 변화를 상당 부분 설명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의 해외입양 설명 방식인 유기 담론과 무책임 국가론에서 비가시화 되거나 비모성적 존재로 인식되었던 것과 달리 해외입양 친생모가 해외입양 제도와 한국 모성의 제도적 변화에 따라 해외입양을 결정한 행위자(agency)이자 모성적 주체였음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해외입양 친생모를 모성적 행위자로, 입양결정을 모성적 실천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서 기존의 가부장적 모성 이데올로기 관점에서 구성된 해외입양 친생모 인식과 담론을 여성주의 모성 관점에서 재구성해내었다. 셋째, 해외입양 아동의 국내 보호절차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기록의 공백을 극복하고, 해외입양 아동이 한국 사회와 가정, 친생모로부터 해외로 입양되기까지의 과정과 해외입양 당시의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고 설명하였다. 넷째, 해외입양과 한국 모성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을 뿐 아니라, 한국 해외입양 친생모와 그들의 모성경험이 갖는 여성주의적 함의를 기록・분석해 냄으로써, 국가간입양의 형성과 확대에 주요한 당사국으로 한국이 어떠한 역사사회적 과정을 통해 해외입양을 확대하고 또 감소시켜갔는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overseas adoption of South Korean babies, focusing on the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overseas adoption and birth mothers decisions to send their children overseas for adoption. Since the Korean War, South Korea has sent nearly 170,000 Korean children abroad for adop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stitutional reality of motherhood and the agency of birth mothers, this paper explores why so many Korean birth mothers put their children up for adoption, and why their children had to be adopted internationally.
There are two main explanations for the overseas adoption of Korean babies: 1) the abandonment discourse, which claims that children had to be put up for overseas adoption because too many children were being abandoned; 2) the irresponsible country discourse, which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ent children overseas without caring for them. However, both explanations overlook the birth mothers of children put up for overseas adoption. Until now, Korean society has perceived the birth mothers of children adopted internationally typically as cold-hearted teenagers and unwed mothers who abandoned their children or had to give them up due to circumstances.
This study adopts a feminist motherhood research method in addressing the question of who the birth mothers were and what made them decide to put their children up for overseas adoption, with a special focus on the institutional reality of motherhood in Korean society and the agency of birth mothers. The study covers from 1966 to 1992, dividing this timespan into three periods: 1) 1966–1979, when the number of overseas adoptions increased and was maintained following the era of overseas adoption of children orphaned by the Korean war and biracial children; 2) 1980–1987, when there was a surge in the number of overseas adoptions after a short decrease; and 3) 1988–1992, when there was a sudden drop leading to a gradual declining trend.
As is the case with many existing studies on birth mothers in Korea, methods and data that can explain the experiences and decisions of Korean birth mothers remain limited.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not only the circumstances of Korean birth mothers and the possible alternatives to adoption but also related trends in the overseas adoption of South Korean babies within the context of the lives of the birth mothers and changes in Korean motherhood.
Social discourses and sociocultural representations concerning birth mothers and overseas adoption are reviewed through related policies and public media coverage in each period. The statistical features with respect to birth mothers who received adoption consulting are examined. Specific case studies of birth mothers who placed their children up for overseas adoption are then analyzed through the memoirs of overseas adoptees, casebooks on adoption consulting, and in-depth interviews. Government statistics related to overseas adoption, statistics on children in need of public assistance, and statistics on birth mothers who received adoption consulting were collected to gain insight into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number of children put up for overseas adoption by period. The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are compared to the acquired information on birth mothers. The analysis reveals the contexts of the lives of the birth mothers and what led them to decide to place their children up for adoption. Through a feminist motherhood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ircumstances of birth mothers changed within Korean society and how such changes affected their decision to put up their children for adoption.
Based on these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overseas adoption and birth mothers decision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from 1966 to 1979, while the instability of the domestic child protection system continued, child welfare facilities decreased in number while the adoption counseling organizations of overseas adoption agencies increased in number.
Policies to protect birth mothers were implemented, but most presumed that children were being put up for adoption and lacked proper awareness of birth mothers needs. While birth mothers who placed their children up for overseas adoption faced more social criticism, there were also increasing expectations with regard to overseas adoption as the advantages became known.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addition to birth mothers with biracial children, birth mothers with children of Korean descent began to seriously consider overseas adoption if they could not provide adequate care, and were also encouraged to do so by others.
With the increase in overseas adoption, the government attempted to promote domestic adoption, but such efforts were ineffective in that they overlooked the actual cause and background of the increase in birth mothers seeking adoption. As such, the number of birth mothers visiting overseas adoption agencies in the private sector continued to increase,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overseas adoption.
Second, from 1980 to 1987, while the ideology of the modern normal family was strengthened and the governments overseas adoption policy shifted toward liberalization of the private sector, government support for birth mothers was inefficient as ever. In addition, while the status of single mothers was weakened and their motherhood denied, foreign families who had adopted Korean children appeared to adhere to the model of a normal family. Amid these changes, no support or protection other than overseas adoption was provided for unmarried women who became pregnant and married women who had difficulty raising children. As a result, instead of raising the children by themselves, the number of birth mothers who received consultation about and sought out overseas adoption through overseas adoption agencies increased further.
Despite the improvement in child welfare and related legislation during this period, after the governments liberalization of overseas adoption, the number of children put up for overseas adoption, including abandoned and missing children, surged with the nationwide expansion of overseas adoption agencies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increased pressure to acquire children for adoption from maternity clinics. The increase in the numbers of birth mothers receiving adoption consulting and abandoned and missing children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overseas adoption. Contrary to the governments expectation, more birth mothers decided to put their children up for adoption, and the number of overseas adoptions hit a record high during this period.
Third, from 1988 to 1992, the government changed its policy to impede overseas adoption when it faced criticism both at home and abroad. The legal status of mothers improved under the Family Law, and mothers rights received protection under the Child Care Act. In addition, more childcare support became available for birth mothers, both married and single. With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he motherhood of unwed mothers, Koreans started to realize the need to provide support to all mothers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Overseas adoption was no longer idealized, and its popularity waned. As Korean societys idealization and desire for the lives of overseas adoptees declined, this led to a decrease in the need and preferences of birth mothers for overseas adoption. The rapid decrease during this period can be traced to the decrease in channels for adoption consulting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less favorable policies and change in perception towards overseas adoption, expanded childcare support for mother-and-child families, poor families, and unwed mothers families, and acknowledgement of parental rights. While married women could choose to raise their own child or abort, unwed mothers in their early twenties or younger were not free to make decisions on childcare, birth control, or abortion. Because most policies related to motherhood and childcare neglected unwed teenage mothers who had little choice but to put up their children for adoption abroad, most birth mothers putting up their children for overseas adoption were young and unmarr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explores the issue of overseas adoption through a feminist approach to birth mothers motherhood,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veals not only the correlation between overseas adoption in Korean society, changes in the demographic composition of Korean birth mothers, and motherhood in Korea but also the changes in birth mothers motherhood and the adoption decisions of birth mothers in each period, which can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overseas adoption of South Korean babies. Second,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ways of explaining the overseas adoption of South Korean babies, the abandonment discourse and irresponsible country discourse, this study suggests that birth mothers were subjective agents who decided to put up their children for overseas adoption in line with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overseas adoption system and Korean motherhood. By viewing birth mothers as maternal agents and their decisions as practices of motherhood, this study reconstitutes the perception and discourse of the birth mother based on motherhoo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deviating from conventional patriarchal ideology. Third, by overcoming the gaps in existing studies and records on domestic protection procedures for children adopted abroad, this study not only investigates the entire process of a Korean child being adopted overseas but also explains the social context at the time of overseas adoption. Fourth, this study not onl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seas adoption and Korean motherhood but also reveals and analyzes the feminist implications of motherhood exhibited by Korean birth mothers who put up their children for overseas adoption. By closely analyzing the Korean context of intercountry adoption and its transformation,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what historical and social processes have expanded and reduced the overseas adoption of Korean babi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장. 서론 1
1절. 문제제기 1
2절.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자원 6
1. 선행연구 검토 6
(1) 기존의 해외입양 연구의 주요 흐름 6
(2) 한국 해외입양의 특수성에 대한 연구 8
(3) 해외입양 친생모에 관한 연구 13
2. 이론적 자원 17
(1) 해외입양 입양모와 친생모의 모성: 여성주의 모성이론의 관점에서 17
(2) 국가간입양 연구의 관점 전환과 출생국 맥락의 중요성 24
3절. 연구대상 및 분석틀 27
1. 연구대상 28
2. 분석틀 30
4절. 연구 방법 및 자료 33
1. 연구 방법 33
2. 연구 자료 34
5절. 논문의 구성 39

2장. 한국 해외입양의 역사와 해외입양아동・친생모의 특성 41
1절. 한국 해외입양의 역사 42
1. 도입(1953년~1965년): 전쟁고아 및 혼혈아동의 응급구호적 해외입양 46
2. 추세적 증가 및 급감(1966년~1992년): 비혼혈 자녀 중심의 해외입양으로 전환 53
3. 유지(1993년~2005년): 미혼모 자녀 중심 해외입양의 지속 55
4. 추세적 감소(2006년~2019년): 양육미혼모 증가와 해외입양의 감소 59
2절. 해외입양의 구성과 연구대상 시기구분 62
1. 해외입양 구성의 변화 63
(1) 입양사유별 추이 63
(2) 해외입양 아동의 성비(性比) 66
(3) 장애유무별 추이 68
(4) 혼혈아동과 비혼혈(한국계)아동 비율 69
2. 연구대상 시기의 선정과 시기구분 75

3장. 친생모의 입양결정 증가와 해외입양 감축정책의 충돌, 1966년~1979년 77
1절. 국내아동보호의 불안정성과 해외입양 78
1. 요보호아동 보호체계의 변화와 해외입양 78
(1) 외원기관 철수와 기아(棄兒) 증가 78
(2) 관련 법률 개정과 해외입양상담 확대 92
2. 해외입양 감축정책의 도입 93
(1) 해외입양 증가에 대한 우려의 대두 93
(2) 정부의 해외입양 중단 계획과 감축 정책 102
2절. 불평등한 모성 법제와 친생모 보호정책의 도입 118
1. 모성의 제도적 불평등과 차별 118
(1) 부계(父系) 중심적 가족법과 모권(母權)에 대한 차별 118
(2) 가족계획사업 확대와 재생산권 인식의 지체 126
(3) 모성보호 공백과 탁아시설 확대의 지연 141
2. 친생모 보호정책의 도입과 한계 152
(1) 미혼모 보호시설의 설립 양상과 한계 152
(2) 미혼모 상담의 초기 형성 및 상담기관 확대 추이 161
(3) 기혼생모 대상 모자복지 정책의 공백 164
3절. 경계적 모성으로서의 미혼모 인식과 해외입양 선망 169
1. 해외입양 친생모에 대한 사회적 비난과 경계적 모성으로서 미혼모 169
(1) 미혼모 증가에 대한 우려와 비난 169
(2) 양육과 입양의 경계에 선 미혼모 177
2. 해외입양에 대한 선망과 문제점의 간과 180
(1) 잘사는 나라의 행복한 가정을 향한 선망 180
(2) 사고(事故) 사례에 대한 개별화와 제도적 공백의 지속 187
4절. 친생모의 선택권 부재와 입양결정 204
1. 통계로 본 해외입양 친생모 204
(1) 해외입양 친생모의 연령과 혼인여부 204
(2) 입양결정의 이유 209
2. 해외입양 친생모의 사례연구 212
(1) 친생모의 개인별 상황과 입양결정 212
(2) 사례연구를 통해 재구성한 해외입양 친생모 220
3. 친생모, 요보호아동, 입양의 관계 228
(1) 친생모 특성과 요보호아동 발생의 관계 228
(2) 친생모 특성과 입양특례법상 입양의 관계 234
5절. 소결 237

4장. 해외입양 자율화와 친생모 입양결정의 지속, 1980년~1987년 242
1절. 아동복지 대상의 확대와 해외입양 정책의 급변 243
1. 아동복지 확대와 해외입양의 자율화 243
(1) 『아동복지법』의 제정과 일반아동 보호의 확대 243
(2) 해외입양 패러다임의 전환과 해외입양 자율화 247
2. 요보호아동 증가와 해외입양 급증 255
(1) 기아와 미아의 증가 255
(2) 해외입양의 급증과 관련 통계의 기밀화 265
2절. 가족규범의 변화와 친생모 272
1. 근대적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와 모성책임의 강화 272
(1) 가족법 내 모(母) 지위의 불안정성 272
(2) 인구증가억제정책과 혼인지위별・연령별 재생산권의 현실 278
(3) 유아교육-탁아의 병행 추진 실패와 지체된 모성보호 295
2. 친생모 보호의 다각화와 양육지원의 부재 306
(1) 부녀상담소의 미혼모 상담 참여 306
(2) 미혼모 보호시설의 증설과 입양기관 상담의 확대 310
(3) 모자가정 및 빈곤가정에 대한 복지 공백의 지속 316
3절. 미혼모 모성 지위 약화와 해외입양의 이상화 322
1. 기혼생모의 비가시화와 미혼모의 비모성화 322
(1) 친생모와 미혼생모의 동일시 322
(2) 당연시 된 해외입양과 미혼모의 비모성화 324
2. 해외입양가정의 이상화와 해외입양의 정당화 330
(1) 해외입양가족 재현: 아이를 위한 정상가족의 전형 330
(2) 해외입양의 불가피성에 대한 강조와 합리화 338
4절. 모성 이데올로기의 강화와 친생모 입양결정 344
1. 통계로 본 해외입양 친생모 344
(1) 해외입양 친생모의 연령과 혼인여부 344
(2) 입양결정의 이유 349
2. 해외입양 친생모의 사례연구 350
(1) 친생모의 개인별 상황과 입양결정 350
(2) 사례연구를 통해 재구성한 해외입양 친생모 358
3. 친생모, 요보호아동, 입양의 관계 363
(1) 친생모 특성과 요보호아동 발생의 관계 363
(2) 친생모 특성과 입양특례법상 입양의 관계 373
5절. 소결 376

5장. 친생모 선택지의 분화와 해외입양 급감, 1988년~1992년 381
1절. 해외입양 중단으로의 정책선회와 아동보호체계 정비 382
1. 해외입양 비판여론과 정책 선회 382
(1) 해외입양 비판여론의 형성 382
(2) 정부의 해외입양 정책 변화: 중단계획의 발표 387
2. 아동보호체계의 정비와 해외입양의 급감 399
(1) 아동보호체계의 재편 399
(2) 해외입양상담 아동의 급감 402
2절. 모성 차별의 완화와 친생모 404
1. 모권(母權) 관련 제도의 개선 404
(1) 가족법 개정에 따른 모(母) 지위의 개선 404
(2) 가족계획사업의 약화와 연령별・혼인지위별 재생산권 격차 413
(3) 모성보호 인식의 증가와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426
2. 친생모의 자녀양육 지원과 양육미혼모의 등장 442
(1) 모자가정, 빈곤가정 지원정책의 개선 442
(2) 모자복지 대상으로서 미혼모에 대한 논란과 제도적 포섭의 시작 447
(3) 양육미혼모 지원사업의 도입 456
3절. 미혼모의 모성과 해외입양에 대한 인식 변화 459
1. 미혼모의 양육과 연령에 대한 담론 459
(1) 양육미혼모에 대한 지원 필요성의 대두 459
(2) 청소년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관심 463
2. 해외입양에 대한 이상화된 인식의 균열 468
(1) 해외입양 재현의 변화: 인도적 사랑의 실천에서 입양시장의 아동매매로 468
(2) 해외입양 아동 재현의 변화: 버려진 아이에서 우리의 아이들로 477
4절. 친생모의 선택지 확대와 입양결정 479
1. 통계로 본 해외입양 친생모 479
(1) 해외입양 친생모의 연령과 혼인여부 479
(2) 입양결정의 이유 486
2. 해외입양 친생모의 사례연구 487
(1) 친생모의 개인별 상황과 입양결정 487
(2) 사례연구를 통해 재구성한 해외입양 친생모 490
3. 친생모, 요보호아동, 입양의 관계 493
(1) 친생모 특성과 요보호아동 발생의 관계 493
(2) 친생모 특성과 입양특례법상 입양의 관계 500
5절. 소결 501

6장. 결론 507
1절. 연구의 요약 507
2절. 연구의 함의 514
3절. 추후 연구 과제 517

참고문헌 521
Abstract 53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해외입양-
dc.subject친생모-
dc.subject여성주의 모성 연구-
dc.subject입양결정-
dc.subject국가간입양-
dc.subject출생국 맥락-
dc.subjectIntercountry adoption of Korea-
dc.subjectbirth mother-
dc.subjectadoption decision-
dc.subjectbirth country context-
dc.subjectfeminist motherhood research-
dc.subject.ddc305.4-
dc.title한국 해외입양과 친생모 모성, 1966~1992-
dc.title.alternativeOverseas Adoption of South Korean Babies and the Motherhood of the Birth Mothers, 1966–1992-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hilsik Shin-
dc.contributor.department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45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45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