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발달지연 유아의 놀이 행동 증가에 미치는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혜준-
dc.contributor.author전은지-
dc.date.accessioned2020-10-13T03:37:24Z-
dc.date.available2020-10-13T03:37:2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22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2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22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0. 8. 박혜준.-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근거기반 중재로서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발달지연 유아의 놀이를 증진시키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발달지연 유아의 놀이 중재 효과를 확인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신체적, 언어적 촉구와 직접적인 시연이 필요한 전통적인 방식의 중재를 주로 적용하였으며, 대안적인 방식으로서 1인칭 관점(Point-of-View) 비디오모델링 중재를 적용한 놀이 중재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발달지연 유아의 운동 놀이 행동과 언어 놀이 행동을 증가시키고, 비디오모델링이 철회된 후에도 놀이 행동이 유지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인천광역시의 사설 ABA 기관에 등록하고 있는 만 3~4세 발달지연 유아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참여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를 적용하고 놀이 행동으로 운동 놀이 행동과 언어 놀이 행동을 측정하였다.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는 기초선, 중재, 철회 단계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놀이 행동은 두 가지 놀이 상황(주방 놀이, 주차장 놀이)에서 주 2~3회 관찰되었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어떠한 중재도 적용하지 않고 유아의 놀이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중재 단계에서는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각 유아에게 적용되었다. 철회 단계에서는 1인칭 관점 비디오 시청을 중단하고 다시 기초선과 같은 조건에서 유아의 놀이 행동을 관찰하였다. 부분간격 기록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운동 놀이 행동과 언어 놀이 행동의 간격비율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시각적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는 발달지연 유아의 운동 놀이 행동을 증가시키고, 철회 후에도 운동 놀이 행동을 유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선 단계에서 연구 참여 유아 모두 운동 놀이 행동이 낮은 수준이었으나 중재를 적용한 이후 전반적으로 운동 놀이 행동이 증가하였고, 철회 후에도 기초선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 결과는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를 통해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발달지연 유아가 새로운 형태의 운동 놀이 행동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는 발달지연 유아의 특성에 따라 언어 놀이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명의 유아는 중재 단계에서 언어 놀이 행동이 기초선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한 명의 유아는 그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결과는 비디오 기반의 교수에 대한 유아의 반응성과 민감성에 따라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의 언어 놀이 행동에 대한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유아의 놀이 행동에 대해 효과적인 중재임을 검증하고, 어린 발달지연 유아에 대해 비디오모델링 중재의 효과를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비디오모델링의 여러 유형 가운데 유아의 주의를 목표 행동에 더욱 집중시킬 수 있는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의 효과를 확인하는 새로운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tervention led to an increase in play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Previous studies applied the traditional way of intervening with physical and language prompts and direct demonstrations, and did not intervene with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 play.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an increase in play behavior after implementing Point-of-view video modeling and to maintain its effect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withdrawn.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ged 3-4 year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among participants while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tervention was applied and motor and verbal play behavior were measured as play behavior. The ordering of the intervention was baseline, intervention, and withdrawal. Play behavior was observed 2-3 times a week in two play situations(kitchen play, parking lot pla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partial-interval recording was graphed and presented as percentage of intervals of motor and verbal play behavior, and visu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tervention improved the motor play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maintained the motor play behavior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withdrawn. In the baseline, all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study had low levels of motor play behavior, but after the intervention, the overall percentage of intervals of motor play behavior increased. Even after the withdrawal, the percentage of intervals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baseline. This result implied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could learn a new form of motor play behavior through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tervention.
Second, the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tervention had a different effect on verbal play behavio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For two children, the level of verbal play behavior increased in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baseline, but one child had a relatively small increase.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effect of the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tervention on verbal play behavior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hilds responsiveness and sensitivity to video-based teaching.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lay behavior and presented evidence supporting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addition, it provided a new empirical basis for the effects of Point-of-view video modeling in particular on the childs attention to the target behavior compared to any other types of video modeli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문제제기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1. 발달지연 유아의 특성과 놀이 5
1) 발달지연 유아의 특성 5
2) 발달지연 유아의 놀이 7
2. 놀이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중재 9
1) 응용행동분석에서의 놀이 행동 측정 9
2) 놀이 증진을 위한 응용행동분석 중재 10
(1) 개별 시도 훈련 10
(2) 중심축 반응 훈련 11
(3) 모델링 11
3) 비디오모델링 중재 12
(1) 비디오모델링 중재의 정의와 특성 12
(2) 비디오모델링이 놀이 행동에 미치는 효과 14
3.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놀이 행동에 미치는 효과 17
Ⅲ. 연구문제와 용어의 정의 19
1. 연구문제 19
2. 용어의 정의 20
1) 발달지연 유아 20
2)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 20
3) 운동 놀이 행동(Motor play behavior) 21
4) 언어 놀이 행동(Verbal play behavior) 21
Ⅳ. 연구방법과 절차 22
1. 연구대상 22
1) 선정 기준 22
2) 대상자 특징 22
2. 연구도구 25
1)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25
2) 부분 간격 기록 28
3. 연구장소 29
4. 목표행동 및 자료측정 30
1) 운동 놀이 행동 30
2) 언어 놀이 행동 30
5. 실험 설계 및 절차 33
1) 실험설계 33
2) 실험절차 34
6. 관찰자간 신뢰도 36
7. 중재 충실도 37
8. 사회적 타당도 38
9. 자료분석 39
Ⅴ. 연구결과 40
1. 운동 놀이 행동의 변화 40
2. 언어 놀이 행동의 변화 46
Ⅵ. 결론 및 논의 52
참고문헌 57
부록 67
Abstract 68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dc.subject발달지연 유아-
dc.subject놀이 행동-
dc.subject운동 놀이 행동-
dc.subject언어 놀이 행동-
dc.subject근거기반 중재-
dc.subjectPoint-of-view video modeling-
dc.subject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dc.subjectPlay behavior-
dc.subjectMotor play behavior-
dc.subjectVerbal play behavior-
dc.subject.ddc649-
dc.title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발달지연 유아의 놀이 행동 증가에 미치는 효과-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22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22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