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개혁개방 이후 수입영화 의상의 유행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하지수-
dc.contributor.authorQing Qing Xu-
dc.date.accessioned2020-10-13T03:39:21Z-
dc.date.available2020-10-13T03:39:2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97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2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97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0. 8. 하지수.-
dc.description.abstract1980년대 중국의 개혁개방은 중국사회의 정치체제, 경제구조, 사회계급 및 인민의 생활방식 등에 깊은 변화를 가져왔다. 복식은 사회생활에서 가장 직관적인 물질문화의 표상과 인민 생활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개혁개방 정책의 큰 영향을 받은 영역 중 하나이다. 개혁개방 이전 중국사회에서는 대외정책의 한계로 외국과의 문화교류가 제한되었으며, 이에 중국 패션 또한 세계의 패션과는 괴리가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국문이 열렸고, 외국영화의 등장은 중국 대중에게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수입영화는 중국 개혁개방 초기에 세계의 패션을 이해하는 주요 매개체가 되었고 영화 속 남녀 주인공의 패션은 중국 대중들이 경쟁적으로 모방하는 대상이 되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의 도입 후, 외래 영화가 중국 대중의 패션에 미치는 영향력은 급속도로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외국영화에 대한 수입 규제 강화 조치가 시작됨에 따라 외국영화의 전파가 억제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외국영화에 대한 대중의 인기는 수그러들지 않고 규제와 발맞추어 변화하면서 대중의 패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수입영화에 대한 규제 강화 정책을 펴면서 외래 문화의 영향력이 중국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은 시기 및 나라별로 다른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개혁개방 이후 외국 영화 의상이 중국 대중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여, 외래 문화 유입과 관련하여 중국 대중의 패션 스타일에 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을 연구목표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의 영화 수입 정책의 역할을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중국 대중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외국영화를 도출하고. 둘째, 연구문제 1 에서 도출된 외국영회 속 주인공들이 일으키는 패션 트렌드 및 이런 패션 트렌드들의 패션 스타일 특성을 밝힌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내용분석 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중국의 개혁개방 이래의 외국영화 수입에 대한 규제 요인을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개혁개방 이후 중국 대중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외국영화를 분석 한다. 더불어 개혁개방 이래 수입된 영화 속에 주인공 의상이 중국 대중의 패션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규명하기 위한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국의 잡지, 기사, 포스터 등의 관련 인터넷 매체에 기록된 수입영화의 패션에 관한 자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내 다양한 잡지, 기사, 포스터의 통합 검색이 가능한 중국 웹 사이트 바이두(Baidu)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영화에 대한 수입 과정을 직관적으로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1978년-1993년 외국영화의 판권을 매수하여 수입하는 시기; 두 번째 단계는 1994년-2000년 분장제를 도입한 후의 시기; 세 번째 단계는 WTO에 가입한 후의 새로운 시기이다. 그 동안 수입된 외국영화의 변화 추세는 크게 일본 영화의 열풍, 프랑스 영화의 열풍, 홍콩 영화의 열풍, 영국 영화의 열풍, 미국 영화의 열풍 등 다섯 개로 나눌 수 있다. 이에 실증적 고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외국영화에 대한 제재를 해지함에 따라 일부 외국 패션이 유입되어 수많은 패션 트렌드를 불러왔다. 1970년대 말 수입된 일본 영화 속의 주인공이 그 시대 중국 대중 패션의 선도자가 되었고 중국 개혁개방 초기의 패션 트렌드를 주도했다. 1980, 90년대 홍콩 영화가 유행하던 시절 대륙의 유행 문화는 홍콩이 독점하다시피 했고 그 영향으로 많은 홍콩 스타일 요소가 모두 그 시대 중국 젊은이들의 상징적인 패션이 되었다. 2000년대 들어 영국, 미국 등 영화로부터 패션 정보가 쏟아져 들어오면서 중국의 패션도 급속히 바뀌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수입영화의 중국 내에 패션 트렌드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중국 사회에서 외래문화의 영향에 의한 패션 변천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더불어 중국의 수입영화에 대한 이해는 한국 등 중국과 주요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국가들의 관점에서도 거대한 의미가 있다. 패션 문화를 전파하고 패션 소비를 자극하는 하나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수입영화를 통해 어떻게 중국 패션과 밀접한 교류와 연계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국의 개혁개방 후에 수입된 드라마 속에 주인공들의 패션이 중국 대중에게 미친 영향을 밝히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또한 개혁 개방 초기의 영화 흥행 기록 부재와 자료 기록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폭넓은 연구자료를 수집하지 못했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In 1980s,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brought about profound changes to the political system, economic structure, social classes and peoples lifestyle in Chinese society. Clothes, as the most intuitive material culture representation in social life and the important component of peoples life, is one of the fields that are impacted greatly by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Before the reform and opening up, the limitations to foreign policies in Chinese society hindered the communication with foreign culture while Chinese fashion had big differences from the world fashion. However, after China implemented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it opens the borders, an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films have great impacts on Chinese audience. Particularly, the imported films became the main medium for Chinese people to understand the world fashion at the beginning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and the clothing of heroes and heroes in the films became the objects that were imitated extensively by the Chinese public.
As discussed above, after China implemented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foreign films achieved booming growth in their influence on the Chinese public fashion. However, as the Chinese government began to strengthen the control of film import, the spreading of foreign films begins to be suppressed. In spite of this, Chinese audiences enthusiasm about foreign films is not weakened, and instead it changes synchronously with the limitations, which has a sustainable impact on the public fashion.
As the Chinese government strengthens the control of film import,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 on Chinese society will likely vary from periods and countri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lothing in foreign films on the Chinese public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and with regard to the influx of foreign culture,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ublic fashion style.
To achieve this objective, research problems are set as follows: first, examine the effects of Chinas film import policy, and on this basis derive the foreign films which have profound influence on the Chinese public. Second, elucidate the fashion trends that are brought about by the propagandas in the foreign films which are derived in problem 1, as well as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these fashion trends.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adopt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method. It sorts the limiting factors to foreign film import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on this basis it analyzes the foreign films which have great influence on Chinese audience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At the same time, to find out the factors of the influence that the clothing of propagandas in imported films has on the Chinese public fashion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it will use content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related materials on the clothing in imported films which are recorded on the related network media such as magazines, news and posters in China. For this purpose, it applies the website Baidu, which can comprehensively search the various magazines, news and posters in China.
In this study, the film import policy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can be clear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1978-1993, namely the period that foreign film rights were bought; the second stage is 1994-2000, namely the period of introducing separated accounting system; the third stage is the new period of time after entry to WTO. In this period, the trend of the changes of the imported foreign films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waves such as the Japanese film boom, French film boom, Britain film boom, and the American film boom. Therefore, the results of empirical investigation are given as follows: with the lifting of the restrictions to foreign films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some foreign clothes were introduced consequently, which started a number of fashion trends. The propagandas in Japanese films which were introduced at the end of 1970s became the leader of the Chinese public fashion in that age, which dominated the fashion trends at the beginning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n the 1980s and 1990s, when it is the period for the popularity of Hong Kong film, the popular culture in the mainland was nearly dominated by Hong Kong, and impacted by it, many Hong Kong fashion elements became the iconic fashion of the Chinese young people in that times. Since the 21st century, with the introduction of European and American films from the countries such as Britain and the U.S., fashion information comes along simultaneously, and Chinese clothing is changing rapidl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제 2 절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5
제 3 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6

제 2 장 중국 영화 수입 정책과 영화 의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 11
제 1 절 중국 영화 수입 정책 11
1. 중국 영화심사 11
2. 중국 개혁개방 이후 영화 수입 정책의 변화 13
제 2 절 영화 의상 22
1. 영화 의상의 역할 22
2. 영화 의상의 조형적 요소 32
3. 영화 의상이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 40

제 3 장 수입영화의 의상과 스타일 특성 48
제 1 절 수입영화의 흥행 50
1. 제 1단계 수입영화의 흥행 50
2. 제 2단계 수입영화의 흥행 53
3. 제 3단계 수입영화의 흥행 54
제 2 절 수입영화의 주인공 이미지 55
1. 제 1시기 수입영화 주인공 이미지 55
2. 제 2시기 수입영화 주인공 이미지 58
3. 제 3시기 수입영화 주인공 이미지 60
제 3 절 수입영화 의상의 유행 68
1. 제 1시기 수입영화 의상의 유행 68
2. 제 2시기 수입영화 의상의 유행 74
3. 제 3시기 수입영화 의상의 유행 78

제 4 장 결 론 85

참고문헌 90

Abstract 9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국 개혁개방-
dc.subject중국 수입영화-
dc.subject영화 의상-
dc.subject패션 스타일-
dc.subject유행-
dc.subjectChina's Reform and Opening up-
dc.subjectChina's Imported Film-
dc.subjectFilm Costume-
dc.subjectFashion Style-
dc.subjectTrend-
dc.subject.ddc646-
dc.title중국 개혁개방 이후 수입영화 의상의 유행-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徐青青-
dc.contributor.department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패션디자인-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97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97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