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정렬의 단가 <적벽부> 작창법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서윤

Advisor
김우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정렬단가적벽부작창법개작악조붙임새선율이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0. 8. 김우진.
Abstract
본 논문은 정정렬(丁貞烈, 1876~1938)의 단가 의 작창법을 연구한 것이다. 정정렬은 근대 판소리 5 명창 중 한 사람으로 꼽히며 현대적인 판소리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단가 는 중국의 시인 소식(蘇軾, 1037~1101)의 「전적벽부」에 정정렬이 곡을 붙인 것이다. 1932년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녹음한 유성기음반에 정정렬 창으로 실려있으며, 음반 내 곡 설명에 신단가라 표기되어 정정렬이 새롭게 작창한 단가임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단가 의 작창법을 단락 구성법⋅사설 개작법⋅붙임새 활용법⋅악조 활용법⋅선율 작법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연구하고 이들의 유기적인 활용을 통해 이면을 구현한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정정렬이 단가 를 작창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단락 구성에는 사설 내용에 따른 문학적 단락을 음악적 단락에 적용하여 음악적 요소들이 내용 전달을 도울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가 는 내용의 전개에 따라 적벽강을 주제로 하는 단락 Ⓐ와 화자의 깨달음을 주제로 하는 단락 Ⓑ로 나눌 수 있는데, 주제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중심음(청)을 달리 사용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사설 개작에는 4⋅4조 운율에 맞춰 한자의 독음과 우리말을 혼용하거나 뜻을 풀어 해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장소와 인물에 관한 묘사가 많은 단락 Ⓐ는 주로 한자의 독음을 살리되 우리말로 토를 다는 방식으로 개작하였으며 다소 철학적이며 어려울 수 있는 단락 Ⓑ의 내용은 우리말로 풀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작하여 전체적으로 원문의 내용에 충실하게, 와전 없이 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붙임새는 크게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을 사용하되 이를 음악적 기능의 측면과 내용 전달의 측면으로 활용하였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의 적절한 안배를 통해 중모리장단의 단조로움을 극복하였고 주서붙임을 활용하여 많은 양의 사설을 신속하게 소화하였다. 내용 전달의 측면에서는 엇붙임으로 결속력 있는 사설을 연결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단위를 나타내었으며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의 대비를 화자의 심상을 나타내는 데 활용하였다.
악조의 활용은 변조와 변청으로 나눌 수 있다. 우조 선율에 평조 선율을 차용하는 형태의 변조를 지속 시간에 따라 일시적 변조, 순간적 변조(방울목), 영구적 변조로 세분화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채로운 선율 진행과 음색을 확보하였다. 또한, 자연스러운 변청을 유도하기 위해 변청 전·후 악조의 공통 음을 선율 구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선율 작법은 우조길과 평조길의 구성음과 음정 관계에 따라 선율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우조 선율 작법에는 장2도와 완전4도 음 간격을 주로 활용하였으며 평조 선율 작법에는 단3도와 완전4도 음 간격을 주로 활용하였다. 또한, 단락마다 특징적 선율을 발전 및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단락 내 선율에 통일감을 부여하였다.
이렇게 다섯 가지 항목으로 살펴본 정정렬의 단가 작창법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이면의 구현으로 종합할 수 있다. 사설의 내용을 음악적으로 표출한 양상을 단락별로 살펴본 결과 음악적 요소들의 논리적인 선택과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이 뛰어난 형식미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가 는 음원 기록이 존재하는 단가 중에서 원문의 출처와 작창자가 분명히 밝혀진 곡으로 유일하여 연구대상으로 삼기에 그 가치가 충분하다. 정정렬은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판소리 창작의 선구자로 지칭될 만큼 높은 예술성을 갖춘 소리꾼으로 인정받았지만, 그의 작품창작에 관한 연구는 부진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그의 작품 중 하나인 단가 를 채보하고 분석하여 작창의 방법을 살펴보고 사설의 내용을 음악적으로 표출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 한 가지 작품을 통해 정정렬의 작창법을 규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본 연구가 밝혀낸 단가 의 작창법이 현대 소리꾼들에게 작창에 참고할 하나의 예시가 되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reative composition method by analyzing the danga Jeokbyukbu as sung and composed by Jeongryul, Jeong (1876-1938). Jeong is known as one of the five pansori masters of modern history, and is regarded as a pioneer of creating modern pansori.
The danga Jeokbyukbu was confirmed as Jeongs original creation in the original album produced by Columbia Records, where it was designated shindanga, or new danga, and the lyrics are a rewrite of Su Shis JeonJeokbyeokbu.
Through the analysis of Jeokbyukbu, Jeong's creative composition method can be divided into five activities: construction of musical structure, lyric rewriting, application of butchimsae,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and melodic composition.
The construction of musical structure was based on the paragraph division of the original text. Composing methods such as transposition were inspired organically from changes of topic in the text.
Lyrics were rewritten from Shu Shis Jeon-Jeokbyeokbu, to
correspond with the form of danga. The reading sounds of word segments composed of four syllables were mostly retained, and others were retranslated to be written with an average of four syllables retaining the original texts meaning.
Application of butchimsae – a method of connecting lyrics and
rhythms –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daemadi daejangdan and
utbutchim. These two usages can be divided by musical intent: content delivery or rhythmic function.
The modulation method was examined by the usage of modulation between ujo and pyeongjo, as well as transposition of the key. Jeongs method can be divided into temporary modulation, momentary modulation, and permanent modulation. Transposition occurred by the usage of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modes.
Jeongs composition of melody reflects the structure of each mode. The usage of certain pitch intervals forms a pattern, and repeated appearances form unity in each paragraph of the music.
By examining these five aspects of Jeongs composition method, the compositional goal was found to reflect imyeon (the theme of the text).
Jeongs composition method overall aims to express the content of the text by combining the musical elements with his unique technique. Jeokbyeokbu is the only danga in which the source of the text is known, the original record exists, and the composer is verified. Thus, there may be no other piece more suitable for studying danga composition technique than Jeongs Jeokbyeokbu.
Until now, Jeongs composition method was under-studied in comparison with the recognition of his pansori creations. It would be unreasonable to define Jeong's entire compositional method by only one piece. However, Jeong's specific method of composing Jeokbyeokbu as revealed by this study will be a useful example to which scholars and upcoming pansori composers may refe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33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4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