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90년대 전경린·배수아 소설에 나타난 여성-되기의 정치학 : The politics of becoming-woman in the 1990s novels of Jeon Gyeong-lin and Bae Su-a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예지

Advisor
손유경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성문학1990년대전경린배수아여성서사여성성여성-되기소녀-되기여성 글쓰기신체반기억시간성주체화성차women’s literatureliterature in the 1990Jeon gyeong-linbae Su-ahfeminine identity narrativefemininitybecoming-womanbecoming-girlfeminist writingbodycounter-memorytemporalitysubjectificationsexual differen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손유경.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문학사에서 여성문학의 시대로 일컬어진 1990년대에 주목하여, 1990년대 여성문학 담론의 화두였던 여성 정체성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전경린과 배수아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기존 문학사에서 1990년대 여성문학에 대한 평가가 다소 제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1990년대는 여성문학의 전성기로 기억되곤 하지만, 정작 문학사에서 1990년대 여성문학은 보편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여성적 특수성에 천착했다는 한계를 지적받아왔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연구사는 많은 경우 신경숙, 공지영, 은희경이라는 대표적 작가들의 이름을 통과해서만 1990년대 여성문학의 의의를 확인해왔다는 점에서 1990년대 등단, 활동한 많은 여성작가들의 스펙트럼을 협소화한 측면이 있었다. 본고가 1990년대 여성문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전경린과 배수아의 소설을 살펴본 것은 이들이 여성 정체성 서사라는 당대의 테마와 관련해 자전적 글쓰기로 수렴되지 않는 각자의 서사적 전략을 통해 여성 주체화의 과정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여성문학을 규범적인 개념이 아니라, 여성의 특수한 경험과 위치를 문학의 언어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비판적 개념으로 상정하고, 1990년대라는 특정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여성문학이 어떠한 방식으로 상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1990년대 여성서사는 여성 정체성과 여성성 재현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집중적으로 담론화되었으나, 여성(성)의 재현 전략에 관한 연속적인 고찰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성 정체성을 본질화한다는 손쉬운 비판을 면하기 어려웠다. 본고는 199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여성적 차이, 혹은 여성성 재현에 관한 담론이 차이로서의 여성(성)을 강조할 것인가와 여성이라는 범주를 넘어설 것인가라는 딜레마에 봉착하고 있으며, 그러한 과정은 곧 여성 주체화라는 동시대 페미니즘 정치의 의제와 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먼저, 본론 2장에서는 1980년대의 여성해방문학 담론과 그로부터 이어지는 1990년대 여성문학 담론의 형성을 살펴봄으로써, 여성해방문학에서 여성문학으로의 이행과 잔여들을 짚어보았다. 본고는 특히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으로 이어지는 이행기 속에서 집나간 딸들의 귀환이 그려지고 있는 소설들이 1990년대 집의 정치화 문제와 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와 함께 1990년대 여성서사의 쟁점으로 부상한 여성성 개념을 살펴보고, 당대 여성작가의 개략적인 지형도를 그려보았으며, 전반적인 테마와 경향에 따라 작품들의 계열을 분류해보았다.
3장에서는 아버지-남편에 의해 여성의 운명이 결정되는 가족의 풍경을 그린 전경린의 작품들을 살피고, 그로부터 파생되는 삶의 조건들로부터 여성인물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위반과 저항의 욕망을 드러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전경린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성차의 적극적인 긍정을 통해 여성(성)의 기원에 접근하며, 이 과정은 여성신화 다시-쓰기라는 여성 주체화의 방법론으로 나타난다. 또한 전경린의 소설은 여성의 욕망에 주목하며 성차화된 몸을 적극적으로 가시화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특징들은 이른바 불륜소설로 분류된 작품들에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본고는 전경린의 불륜소설이 단지 통속화의 소산이라기보다는, 일상 속에서 부단히 낯선 몸의 감각을 요청하는 변화 혹은 해방의 출발점으로서 독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4장에서는 배수아의 소설들에 나타난 소녀고아와 여성청년 인물들을 살펴보며, 가족의 해체라는 조건 하에서 자리를 교환하며 끊임없이 반복되는 여성들의 운명이 그들로 하여금 실존적 소외와 불안의 감각을 불러일으키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배수아 소설의 중심인물인 소녀들은 성장소설의 문법이나 남근로고스중심주의 체제에 포획되지 않은 존재들이다. 배수아가 보여주는 소녀의 서사는 복수적인 목소리들과 시간성이 내재하고 있는 반(反)-기억의 형식으로 소녀-되기의 생성을 드러낸다. 본고는 이어서 1990년대 후반 발표된 배수아의 소설에서는 폭력과 가난이라는 극한의 조건에 내몰린 소녀와 여성청년들이 등장하며, 이들을 통해 일상적 시간의 악무한적 반복에 대한 의식과 서사적 변화가 포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두 작가의 소설적 전략을 분석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전경린의 문학이 차이로서의 여성성을 과잉 재현함으로써 여성이 계속해서 스스로의 욕망을 긍정하고 그것을 언어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던 반면, 배수아의 문학은 규범적 정체성을 가로지르는 주체의 복수화를 통한 새로운 여성-서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판단했다. 즉, 여성 주체화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전경린의 소설은 여성의 욕망에 대한 적극적인 긍정을 통해 전략적 본질주의의 방식을, 배수아의 소설은 타자화된 여성의 위치로부터 복수적 주체화의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로 새롭게 독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2000년대 문학/비평(장)에서 전경린의 소설은 나르시시즘적이고 통속적인 불륜서사를 재생산하거나, 여성성을 지나치게 신비화화한다는 이유로 외면받기 시작했으며, 배수아의 소설은 보편성과 예술성(미학성)을 구현하는 문학적 실험이라는 평가와 함께 탈성화된다. 여성-되기의 과정이 생물학적 성별에 의거한 주어진 정체성이 아니라 끊임없이 성별권력의 비대칭성을 가시화하고 저항하며 형성되는 부단한 운동이라고 할 때, 2000년대 이후로도 계속된 전경린의 여성(성)의 탐구를 지배적인 것으로부터 차이화하는 여성서사의 실천으로, 배수아의 소녀-되기의 서사전략을 탈본질화, 혹은 복수화하는 여성주체의 가능성으로 읽어내는 일이 가능해진다. 본 논의는 여성(성)의 이름으로만 호명되었던 전경린의 문학과 여성을 넘어선 보편으로 독해된 배수아의 문학을 젠더 프리즘을 통해 다시 여과시킴으로써 1980년대의 유산 속에서,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로 이어지는 여성문학의 계보와 새로운 페미니즘 문학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기를 목표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new possibilities of feminine identity narrative, the topic of discourse on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referred to as the era of womens literature, through the works of Jeon Gyeong-lin and Bae Su-ah.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a problem that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was discussed in a rather limited wa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has often been devalued because of its lack of universality and its predisposition to feminine specificities.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and criticism on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focused mainly on several representative female writers such as Shin Kyung-sook, Gong Ji-young, and Eun Hee-kyung, and limitedly examined the wide spectrum of many other female writers active in the 1990s. In order to explore the new aspects of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this study focuses on the novels of Jeon Gyeong-lin and Bae Su-ah. Regarding the creation of female identity narrative, they embodied the subjectification of women as their own narrative strategy rather than autobiographical writing.
In this article, I defined womens literature as a critical concept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representing women's special experiences and positions in the language of literature, not a normative concept. And I examined how womens literature was imagined in the special historical context of the 1990s. Female writers in the 1990s sought ways to describe feminine identity and femininity, but there was no continuous attention from researchers or critics on that. As a result, in the 1990s, women's literature was easily criticized for essentializing the concept of feminity. This study noted that in the 1990s to 2000s, the discourse on the reconstruction of femininity faces a dilemma of whether to emphasize femininity as a difference or to dislocate the women category, which could be linked to the core theme of contemporary feminism politics, the subjectification of women.
First, in chapter 2, I examined the transition from the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to the womens literature by looking into the formation of discourse on womens liberation in the 1980s and the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that followed. In particular, I noted that novels about the return of daughters who left hom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1990s are related to the politicization of the home in the 1990s. And then, I examined the concept of femininity that emerged as an issue in the early 1990s to the mid-1990s and the topography of female writers, and tried to classify their works according to the theme and tendency.
In Chapter 3, I looked into the works of Jeon Gyeong-lin, stories about the family scene in which the fate of women is determined by their father or husbands, and analyzed how female characters reveal their desire for violation and resistance under the conditions of life derived from patriarchy. In Jeon Gyeonglins novels, female characters approach the origin of women(/femininity) through the affirmation of sexual difference, and re-writing the feminine mythology is a kind of methodology to subjectify women. Especially, her novels are characterized by paying attention to women's desires and actively visualizing the sexualized body. These features are also found in so-called affair novels. Through this examination, I suggested that affair novel could be read as a starting point for change or liberation to request a sense of a strange body in everyday life, not just as a result of vulgarization.
In Chapter 4, I focused on girl-orphans and young women in Bae Su-ahs novels and analyzed that the repetition of womens fate in the condition of family dissolution which causes them a sense of existential alienation and anxiety. The girls, who are main figures in her novels, are not obsessed with the grammar of Bildungsroman or the system of Phallocentrism. The girls narratives of Bae Su-ah are in the form of counter-memory or becoming-girl that preserve plural voices and times within them. I figured out that young girls or women, driven to the extreme conditions of poverty and violence in Bae Su-ahs novels since the late 1990s, show a change in being conscious of the vicious repetition of everyday life.
Analyzing the writing strategies of the two authors, I finally judged that Jeon Gyeong-lins novels showed that women should be able to desire and speak for themselves by over-representing femininity as a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Bae Su-ahs novels showed the possibility of a new female narrative by pluralizing the subject beyond the gender binary. In other words, with regard to the subjectification of women, Jeon Gyeong-lins novels can be read as examples of strategic essentialism through affirmation of womens desires, while Bae Su-ahs novels suggest the possibility of pluralization of the subject from the positions of the otherized wome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6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