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문소설 삽화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llustration as Media
안석영 삽화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욱-
dc.contributor.author최민지-
dc.date.accessioned2020-10-13T03:54:39Z-
dc.date.available2020-10-13T03:54:3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16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16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김종욱.-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신문소설 삽화의 형식적인 면과 감상자에게 끼치는 효과의 면을 중심으로, 신문소설 삽화의 매체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에 안석영의 삽화는 삽화가로서의 프로 의식이 존재하며, 삽화의 형식이 확립된 1920~1930년대를 대표하기에 부족함이 없고, 다양한 표현법을 통해 삽화가 줄 수 있는 최정점의 미학을 맛볼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는 삽화의 연구 방법론을 세우는 시론으로서 기능하며, 안석영을 작가론적으로 조명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삽화의 형식적인 면은 주로 본고의 2장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우선, 삽화는 현실과 소설의 이중의 반영 이미지라 할 수 있는데, 따라서 대부분의 삽화는 현실의 3차원적 시공간의 환영을 창조하는 사진적 이미지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림 이미지인 삽화는 얼마든지 비사진적 이미지 또한 만들어 낼 수 있다. 비사진적 이미지는 삽화가 비현실적인 대상을 그려낼 때와, 비사실적인 표현법이 두드러질 때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사진으로 대체될 수 없다는 점에서 삽화만의 고유한 미학을 보여준다. 이어서 삽화와 소설이 맺는 관계에 대해 논해진다. 삽화가 소설의 서사를 재현한다는 것은, 삽화가 소설과 같은 스토리를 담아내면서 그림 이미지를 통해 삽화만의 고유한 서사를 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삽화는 단일 정지 이미지이며, 그림 이미지에 대응되는 스토리가 항상 소설 텍스트에 외재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삽화를 창작하는 삽화가는 창작자이며 동시에 감상자라는 이중적 지위를 점하고 있다. 따라서 삽화가 소설의 어떤 장면을 선택하여 그려내느냐라는 삽화화의 과정에는, 기본적으로 항상 삽화가의 해석이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삽화의 형식적 특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어서 2장 2절에서는 모든 삽화의 가장 기본적인 효과라고 할 수 있는, 소설의 장면 선택을 통한 서술 보충의 차원에 관해서 알아본다. 이러한 삽화들에는 소설에 서술되어 있지 않은 요소들이 덧붙여 그려지기도 한다. 가령 『향원염사』에는 주인공인 향원의 마음을 구체화하는 삽화가 나타나며, 『고향』의 삽화에는 기득권의 횡포와 농민들의 고통이 강조되고, 자작삽화인 『인간궤도』와 『성군』에는 소설의 은유로서 기능하는 삽화가 나타난다.
3장에서는 소설 서사에 참여하는 존재로서의 삽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삽화가 소설 서사에 참여하는 것은 감상자의 존재를 거쳤을 때 비로소 설명될 수 있다. 즉 이는 감상자가 삽화와 소설을 연결 짓는, 감상자의 머릿속에서 발생하는 차원의 것을 의미한다. 특히 비사진적 삽화는 감상자가 이를 감상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삽화가 소설 서사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안석영의 삽화는 비사진적 삽화를 통해 주로 등장인물의 감정을 강조하는 경향을 띠며, 이러한 삽화는 감상자에게 인물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게 하는 효과를 낳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3장 2절에서는 추상과 상징 기호, 불확정적 인물 표현, 입체주의적 화풍의 세 키워드를 중심으로, 안석영의 삽화가 소설 속 인물의 감정을 비사진적 삽화를 통해 담는 양상에 대해 알아본다. 이 중 자작삽화인 『성군』에서는 불확정적인 인물 표현이 달라지는 양상을 통해 삽화와 소설이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체주의적 화풍을 통해서는 인물의 불안정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해내는 한편, 유추 반복 서술의 시간성을 효과적으로 담아내기도 한다.
4장에서는 삽화 문법을 통한 인식 변화 차원이 논해진다. 다수의 삽화가 특정 유형을 이루어 일종의 삽화의 문법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삽화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감상자가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감상자의 인식 변화가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인식의 변화는 소설 서사에까지 영향을 끼쳤을 수 있는데, 본고는 이를 내면의 키워드를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삽화들은 삽화가 소설 서사에 확장하는 양상으로서 참여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시로서 4장 2절에서는 1인칭 시점, 이중 시선, 장면의 병치 이미지들에 대해 알아본다. 1인칭 시점 이미지란 삽화에 그려진 것을 보고 있는 자를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특정할 수 있는 경우인데, 이를 통해 감상자는 소설 속 인물의 눈과 머릿속의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중 시선 이미지는 보는 자인 인물과, 이러한 인물에게 보이는 대상의 두 층위가 겹쳐 있는 것인데, 이때 가시적인 대상과 비가시적인 대상이 동일한 형식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이는 비가시적인 대상인 내면 또한 다른 가시적인 대상들처럼 소설에서 서술과 묘사의 대상으로 여겨지는데 일조하였을 수 있다. 여러 장면이 한 화면에 병치되어 있는 장면의 병치 이미지를 통해서는, 감상자가 시간의 공간적 흐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시간의 선조성을 약화시키고 상대적으로 서사에서 공간의 영향이 커지게 하였을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변화로 촉발되는 내면이 소설에서 주제적으로 두드러지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삽화의 감상자들을 삽화 대중이라는 존재로서 의미화하고자 한다. 삽화 대중은 이중의 의미에서 상상적이다. 우선, 삽화는 삽화가 없었더라면 감상자들이 소설을 읽고 머릿속으로 상상하였을 심적 이미지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감상자의 상상이 대신 위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삽화 대중은 이렇게 공통된 심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상상적으로 한 집단으로 묶인다. 그리고 안석영의 예술관에서는 이 같은 대중에의 지향이 엿보이는데, 이러한 점에서 그의 다방면에 걸친 활동은 그만이 가능하였던 긍정적인 것으로서 의미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삽화 대중의 존재를 문학 장에 기입해 넣는 것은, 당대 신문 지면에서 이루어지는 서사 해석의 장을 열린 가능성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s as media on newspaper novels, by focusing on the forms of these illustra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audience. Conducting the study based on Ahn, Seok-yeongs artworks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he had professional mind as an illustrator unlike the others of the 1920~1930s, and it allows his works to be fully qualified to represent the period, when the form of illustrations was first established; furthermore his works using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provide opportunities to look into the zenith of aesthetics of the illustrations from that period. Thus, this study would not only be the first theory to establish a research methodology on the illustrations in newspaper novels of the 1920-1930s, but also provide the significance of examining Anh, Seok-Young, an illustrator and a writer.
Chapter 2 deals with the forms of the illustrations. First of all, the illustrations can be seen as "double reflection images" of reality and fiction, and hence most illustrations are 'photographic images' that create the illusion of three-dimensional space-time in reality. Yet, the illustrations, which are still pictorial images can also produce non-photographic images. Non-photographic images stand out when the illustrations depict non-realistic objects and expressions. These images show the unique aesthetic of the illustrations, as it cannot be simply replaced with photographs. Next, it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llustrations and the novels. An illustration representing the narrative of a novel implies the fact that the illustration shows its own narrative while still capturing the story of the novel. In addition, the illustration is a "single still image" having a characteristic of the picture image with the corresponding story due to the existence of the text. Finally, the illustrator who creates the illustration is placed on a dual status of both a creator and an audienc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process of the illustrations-what scenes to choose and draw from the novel-always inherently involve the illustrators interpretation about the story.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nature of the illustration forms, chapter 2.2 seeks the supplement description role of an illustration through the selection of scenes in a novel", which is the most basic effect of any illustrations. The illustrations are attached with some elements that are not clearly described in the novels. The illustrations embodied the main character's mind in 『Hyangwons Love Affairs』, and emphasized the abuse of the dominance and the suffering of the farmers in『Hometown』. In 『Human Orbit』 and 『Moving Star Cluster』, which are written and illustrated by Ahn, the illustrations functioned as the metaphors of the stories.
Chapter 3 focuses on the illustrations as a participant of the narrative of a novel. The participation of illustration in the novel narrative can only be explained with the presence of the audience. In other words, it is a dimension that occurs in the mind of the audience, who connects the illustration with the text. Especially, the non-photographic illustrations required the audience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novel, because in that way the audience had the longer time to appreciate them. In Ahn's illustrations, the non-photographic illustrations emphasize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which allow the audienc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 of each character.
In chapter 3.2, centering on the three keywords- "abstract and symbolic sign", "uncertain expressions of characters" and Cubism style"-the study will go through the aspects of illustrations, that capture the emotions of characters in a novel via non-photographic illustrations. In particular,『Moving Star Cluster』, one can observe the tight interaction between the illustrations and the novel through the change of uncertain expression on the characters. The application of Cubism style technique effectively expresses unstable emotions of a character, and also captures the temporality of iterative narrative.
Chapter 4 discusses the "changing perception through the illustration rule". There are cases which a number of illustrations compose a certain category that develops a new rule for illustrations. When the audience are repeatedly exposed to these illustrations, it leads them to naturally accept these illustrations, which can bring changes in the audience's perception. The change in a perception of the audience might have affected the narrative of the novel. The study tried to discover this point with the keyword "inner-side". These illustrations participate in the narrative of the novel in a way of 'expanding' it.
As an example, in chapter 4.2, the study seeks the images, "first-person view," "double gaze", and "juxtaposition of the scene". The "first-person view" image is a case which allows the audience to identify whose view is the illustration taking; it allows the audience to share the image of the character's eyes and heart in the novel. The image of "double gaze" is an overlap of the two layers, the view of a character in the novel and an object which is shown by this character. In this case, the object, both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is presented in the same format. This may have helped the inner side, an invisible object, to be considered as the narrative and description in the novel, just the same as a visible object. The "juxtaposition of the scene" image, in which multiple scenes are juxtaposed on a single screen, allows the audience to perceive the spatial flow of time. This may have weakened the linearity of time, and increased the effects of space relatively stronger in the narrative. Therefore, the inner-side provoked by these changes of space may have become thematically highlighted in the novel.
Finally, in chapter 5, the study calls the audience of the illustrations as the mass audience of the illustration. The mass audience of the illustration is an 'imaginary subject' in a dual sense. On one hand, the illustration is an imagination of the audience, which devolved on to that of an illustrator. It has an effect of replacing the audiences mental image that they would have imagined by themselves in their minds as reading through the novel, if not the illust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mass audience of illustration is an imaginary group combined by this common mental image. Furthermore, the mass-oriented propensity can be witnessed in Ahns view on art, and in such regard, his multifarious activities could be symbolized as the positivity that he was the only one to make all this possible. Overall, to put the existence of the mass audience of illustration in the literature field allows to see the advanced possibility of field of narrative interpretation that takes place on newspapers at that tim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사 검토 1
1.2. 연구의 시각 8
1.3. 연구 대상 12

2. 장면 선택을 통한 서술 보충 20
2.1. 삽화의 소설 재현 형식 20
2.2. 장면 선택 양상 33

3. 비사진적 삽화를 통한 감정 표현 50
3.1. 삽화의 소설 참여 원리 50
3.2. 감정 표현 양상 57

4. 삽화 문법을 통한 인식 변화 80
4.1. 내면의 가시화와 서사 확장 80
4.2. 문법 형성 양상 85

5. 삽화 대중의 존재와 의미 108

6. 결론 116

참고문헌 118
참고자료 1. 안석영 생애 연보 128
참고자료 2. 안석영 삽화 목록 131
참고자료 3. 이중 시선 삽화 도판 137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삽화-
dc.subject신문소설-
dc.subject안석영-
dc.subject매체-
dc.subject서사-
dc.subject이미지-
dc.subject재현-
dc.subject감정-
dc.subject내면-
dc.subject1920~1930년대-
dc.subjectIllustration-
dc.subjectNewspaper Novel-
dc.subjectSeok-yeong Ahn-
dc.subjectMedia-
dc.subjectNarrative-
dc.subjectVisual Image-
dc.subjectRepresentation-
dc.subjectEmotion-
dc.subjectInner Side-
dc.subject1920~1930s.-
dc.subject.ddc810-
dc.title신문소설 삽화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llustration as Media-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MIN JI-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안석영 삽화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현대문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16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16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