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셸 푸코의 고고학적 역사화 : Archeological historization of Michel Foucault
『말과 사물』에서 역사 개념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상환-
dc.contributor.author김민주-
dc.date.accessioned2020-10-13T03:56:21Z-
dc.date.available2020-10-13T03:56:2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50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6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50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0. 8. 김상환.-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가 『말과 사물』에서 진행하는 고고학적 역사화와 그 작업의 대상인 대문자-역사의 관계를 확인한다. 푸코에게서 인식론적 조건의 층위를 뜻하는 에피스테메가 한 시대에 단 하나인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고고학과 근대 에피스테메의 예속 관계가 쟁점이 된다. 고고학이 비판하는 근대성에 고고학 자신도 속하는지에 대답하기 위해, 대문자-역사의 의미와 고고학적 역사화의 의미, 그리고 고고학과 근대성의 관계를 차례로 검토한다.

푸코가 행하는 고고학적 작업을 이 연구는 대문자-역사의 역사화로 요약한다.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전개하는 근대 지식 비판 논의는 푸코가 고고학을 통해 제시하고 실행하는 역사와 근대 철학의 주체 개념과 긴밀한 것으로 제시되는 역사 개념이 교차되는 지점이다. 대문자-역사와 역사적인 아 프리오리를 구분하고, 양자의 접점에서 대문자-역사라는 역사적 아 프리오리라는 중첩적인 역사 개념을 구분함으로써 『말과 사물』의 고고학에 관한 논의를 초월론적 측면의 논의에서 대문자-역사의 차원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대문자-역사(Histoire)란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근대 유럽의 에피스테메로서 제시하는 개념으로, 유럽 지식의 아 프리오리를 이루는 인식론적 장이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인간이라는 특정한 인식 형식을 이루는데, 이때의 인간은 근본적 역사성에 의해 요청된 정초적 유한성을 뜻한다. 역사성과 인간 유한성의 관계 속에서 근대의 에피스테메가 형성되었고, 이렇게 구성된 인간은 역사적 인간이라는 점에서 대문자-역사적이었다. 근대의 지식은 바로 이 인간 개념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된다. 고고학적 역사화(archeological historization)란 칸트에게서 제시된 초월론적 주체를 역사성과 인간 유한성이 관계 맺는 영역인 에피스테메로 전환함을 가리킨다. 푸코는 대문자-역사를 검토함으로써 고고학적 역사화를 실행한다. 그 결과, 칸트가 제시하는 선험성은 개념 내부적으로는 초역사적지만, 고고학적 역사화를 통해 개별적 경험들과는 다른 의미의 경험성을 포괄하는 층위로 전환되면서 역사적이게 된다.

이 고고학적 역사화는 근대에 근본적으로 주어진 역사성에 대응하는 두 가지 양상 사이에 놓여 있다. 고고학은 새로운 에피스테메를 주창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존의 시대인 근대에 속하지만, 기원으로의 회귀를 통해 완성과 진보를 꾀하는 (좁은 의미의) 대문자-역사와는 같지 않다. 오히려 푸코의 철학은 기원에 근거한 철학의 필연성을 고고학적 역사화를 통해 끊어내려는 작업을 한다는 점에서 기원을 파괴하려는 근대 지식의 계열에 속한다. 푸코는 고고학을 통해 겉으로는 서로 다른 이 두 갈래가 에피스테메의 층위에서는 역사성을 존재의 근본 코드로 하는 동일한 뿌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푸코의 고고학은 대문자-역사와 같지 않다. 부동하고 초역사적인 대문자-역사와 거리를 두고, 푸코 말기의 비판 개념과도 연결되는 우연적이고 역사적인 고고학을 실행한다. 다만, 『말과 사물』 이후의 푸코 철학을 특징짓는 역사적 성격과 푸코가 근대의 존재의 근본 코드로 제시한 역사성과의 관계는 푸코의 논의를 확장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다시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 letters and history that Michel Foucault (1926~1984) proceeds with the archaeological historical painting in Order of Things. Considering that épistémè, which means the level of epistemological conditions in Foucault, is set to be the only one in an 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eology and modern episteme becomes an issue. In order to answer whether archeology itself belongs to the modernity that archeology criticizes, it examines the meaning of capital letter-history, the meaning of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eology and modernity in order.

Foucault's archaeological work is summarized in this study as Historicalization of history'. Foucault's discussion of criticism of modern knowledge in Order of Things is the point where the history that Foucault presents and executes through archeology and the concept of the subject of modern philosophy intersect with the concept of history presented as intimate. By distinguishing between History' and 'historical a priori', and by distinguishing the overlapping historical concept of History called historical a priori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wo, the discussion on the archeology of Order of Things is transcendent In the discussion of the side, I intend to expand it to the dimension of History.

Capital letters-history (Histoire) is a concept proposed by Foucault as an episteme of modern Europe in Order of Things, and is an epistemological field that forms the apriori of European knowledge. This concretely constitutes a certain form of recognition of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t this time means finitude' requested by fundamental historicality'. The modern episteme was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human finiteness, and the human being constructed in this way was capitalized-historical in that it was a historical human. Modern knowledge is criticized because it presupposes this human concept. Archaeological historization refers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nscendental subject suggested by Kant into an episteme, an area where historicality and human finiteness are related. Foucault carries out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by examining capital letters-history. As a result, the a priori presented by Kant is super-historical inside the concept, but through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it becomes historical as it is transformed into a layer that encompasses experience in a different meaning from individual experiences.

This archaeological historization lies between two aspects corresponding to the historicality fundamentally given to modern times. Archeology belongs to the existing modern era in that it does not advocate a new episteme, but it is not the same as the History (in a narrow sense) that seeks completion and progress through a return to origin. Rather, Foucault's philosophy belongs to the series of modern knowledge that attempts to destroy the origin in that he works to break the necessity of philosophy based on origin through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Foucault's archeology shows that these two seemingly different branches have the same roots in the layer of Episteme with historicity as the fundamental code of existence.

In conclusion, Foucault's archeology and History are not the same. Archeology practice accidental and historical work that is also linked to the concept of criticism of the late Foucaul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character that characterizes Foucault's philosophy after Order of Things and the historical character Foucault suggested as the fundamental code of modern existence must be reconfirmed by extensively examining Foucault's discuss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 1

제1절 예비적 고찰: 푸코의 철학과 역사 — 1
제2절 연구의 의의와 진행 방향 — 8

제2장 에피스테메 — 12

제1절 푸코의 에피스테메 — 12
1. 비사유의 경험 — 12
2. 고고학의 삼분구도 — 15
3. 에피스테메의 의미: 역사적 아 프리오리 — 18

제2절 대문자-역사와 에피스테메 — 21
1. 대문자-역사의 위치 — 23
2. 에피스테메의 모호함 — 26
3. 고고학과 역사의 관계 — 28

제3장 인간 — 31

제1절 근본적 역사성 — 31
1. 역사성의 침투 — 31
2. '종속적 역사성'과 '근본적 역사성' — 34

제2절 인간학의 주체 — 39
1. '실증적 유한성'과 '정초적 유한성' — 39
2. 인간학과 주체의 탄생 — 42
[표 1] 칸트 철학의 초월론적 관점과 인간학적 관점
3. 역사와 인간의 관계 — 45
[표 2] 역사성과 유한성의 대응

제4장 역사 — 49

제1절 선험성의 초역사성 — 49
1. 비판철학과 인간학 — 49
2. 선험성의 초역사성 — 53

제2절 대문자-역사의 부동성 — 55
1. 기원적인 것의 요청 — 55
2. 부동하는 역사 — 58

제3절 역사의 의미 — 61
1. 고고학적 역사화의 의미 — 61
2. 푸코의 역사와 비판 — 62

제5장 결 론: 고고학과 대문자-역사의 관계 — 68

참고 문헌 — 73
Abstract — 76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문자-역사-
dc.subject고고학-
dc.subject역사화-
dc.subject에피스테메-
dc.subject기원-
dc.subject근대성-
dc.subject인간-
dc.subjectHistory-
dc.subjectarcheology-
dc.subjecthistorization-
dc.subjectepisteme-
dc.subjectorigin-
dc.subjectmodernity-
dc.subjecthuman.-
dc.subject.ddc190-
dc.title미셸 푸코의 고고학적 역사화-
dc.title.alternativeArcheological historization of Michel Foucaul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Minjoo-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말과 사물』에서 역사 개념을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프랑스 철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50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50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