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백명지

Advisor
김준기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공기관 지방이전일과 삶의 균형워라밸public institutiontransferring to local areasWork-Life Balancemigration patter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김준기.
Abstract
최근 개인의 여가시간과 직장 이외 생활에서의 다양한 욕구 충족 기회가 증가하면서 남녀 및 세대를 불문하고 개인의 취미나 육아 등 개인 삶의 중요성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삶에 대한 개인의 인식 변화는 정부로 하여금 다양한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조직에게는 인적자원 관리에 있어 일과 삶의 균형을 핵심적 관리과제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한편 우리나라 수도권의 급격한 팽창과 지역간 격차 심화 문제 해소를 위해 2003년부터 정부의 국토균형발전 정책 일환으로 시행된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은 근로자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이행된 조직 변화로,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진행 중인 정책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그간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의 효과를 지역경제발전과의 관계성에 집중한 선행연구에 덧붙여,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공공기관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40여개의 공공기관 종사자들로 구성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총 2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3일부터 12월 23일까지 10일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가운데 73.3%에 해당하는 154명이 응답을 하였고, 분석에 유효하지 않은 답변 1개를 제외한 153부만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TATA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검증 결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설문응답자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검증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연구변수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일과 삶의 균형에, 세부적으로는 일과 가족, 일과 여가 그리고 일과 성장 균형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근로자의 이주형태가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세부적으로는 일과 가족, 일과 성장 균형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이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고, 정부 및 지자체, 그리고 공공기관으로 하여금 혁신도시 정주환경의 조속한 조성, 조직 차원의 추가적인 복지 혜택 부여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한 업무처리방식, 지역 교류활동 참여 등 지방이전 이후 혁신도시 내에서 근로자 개인이 일과 삶의 균형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Recently, with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to meet various needs in their life outside of work, people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rsonal life such as hobbies and parenting regardless of gender and generation. This change in individual perception of life promoted governments various work-life balance policies, and the organization perceived work-life balance as a key task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nwhile, the relocation of public agencies, which was implemented as part of the government's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since 2003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apidly expanding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regional disparity,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work-life balance of workers of public agencies, regardless of the workers' own intentions, and it is still an ongoing policy. Based on this poi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by examining the impact of local relocation on workers' work-life balance and seeking ways to enhance the effects of the relocation policies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total of 210 from 40 public agencies studying at the Department of Public Enterprise Policy at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surveyed for 10 days from December 13 to December 23, 2019. Among them, 154 respondents, or 73.3%, responded, and valid 15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ATA, and to provide a more precise description and validity of the hypothesis test resul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me of the survey respondents.

As a result, relationship of the research variables showed that the relocation of public agencies to local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specifically work-family, work-leisure, and work-growth bal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igration type of workers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work-life balance, specifically work-family and work-growth bala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olicy of relocating public agencies to local areas is a critical factor that affects the work-life balance of workers, and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make efforts for a better urban settlement environment quickly and provide additional welfare benefit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efforts are necessary for each worker to improve work-life balance after the relocation, such as work smart and participation in local exchange activ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88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7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