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산재보험 재활사업 효과성 분석
직업복귀 및 직업유지기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혁주-
dc.contributor.author김종욱-
dc.date.accessioned2020-10-13T04:12:30Z-
dc.date.available2020-10-13T04:12:3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44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9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44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권혁주.-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 근로자에게 제공된 산재보험 재활사업이 효과적이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직업복귀 및 고용유지(고용안정성 확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2012년도 산재 요양 종결한 산재근로자들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도에 걸쳐 진행된 산재보험 패널데이터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산재근로자에게 제공된 재활서비스(직업재활서비스, 의료재활서비스, 사회심리재활서비스)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직업복귀, 원직장복귀, 고용유지기간을 종속변수로 두었다. 통제변수로는 선행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성별, 연령 등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인적요인, 산재특성 요인, 사업장특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직업재활서비스, 의료재활서비스, 사회심리 재활서비스 각각은 취업(직업복귀)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취업의 개념을 폭넓게 정의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원직장복귀, 재취업, 자영업, 무급가족종사자 모두를 취업으로 정의한 관계로, 각각의 개별적 특성이 인과관계 도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원직장 복귀 관련으로 의료재활서비스, 사회심리서비스 각각은 원직장 복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재보험패널데이터는 산재근로자의 경제활동상태, 개인 및 가구 특성, 건강과 삶의 질 등과 같이 다차원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임은 분명하나, 개별 사업이 취업여부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각 서비스의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여부, 제공횟수 등을 고려하지 않고 한번이라도 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1,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코딩하였기 때문에 개별적인 인과관계 도출에 한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재활서비스가 원직장 복귀 혹은 취업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고 있기는 하겠으나, 그것만을 사업의 목적이 아니란 점 또한 감안해야 할 사안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산재보험 재활서비스 중 직업재활서비스는 직장복귀 후 직업유지기간(고용안정성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사회심리재활서비스는 다른 서비스 없이 단독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의료재활서비스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직업재활서비스가 직업유지기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된 바, 직업재활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프로그램은 산재근로자 재활정책 및 근로자의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rehabilitation program provided to industrial workers was effective. In particular, we conducted a study based on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anel data conducted over 5 years from 2013 to 2017 for industrial accident workers who terminated industrial accident treatment in 2012 to determine whether it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return and employment retention (to secure employment security).
Rehabilitation service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social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to industrial worke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ccupation return, return to work, and retention period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s the control variables,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which were general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human factors, industrial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orkplace characteristic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ocial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employment (return to work).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concept of employment has been broadly defined. In other words, it is likely that each individual characteristic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since it was defined as employment as returning to the workplace, re-employment, self-employment, and unpaid family work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ocial psychological servi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turning to the original workplace. It is clear that the data on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s a multi-faceted and systematic data such as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industrial workers, but it is insufficient to analyze whether an individual business is correlated with employment status. This is because there was a limitation in deriving individual causality because it was coded as 1 if not, and 0 if service was provided even once without considering whether various programs are provided for each service or how many times it was provided. In addition, although each rehabilitation service may have a final goal of returning to work or finding employment, it is also a matter to consider that it is not the sole purpose of the business.
Lastly,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mong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tention period (securing employment stability) after returning to work.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confirmed between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ocial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ervices.
As it was confirmed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iod of job retention, Return-to-Work Services need to be further strengthen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대상 및 조사방법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6
제 1 절 이론적 배경 6
1. 산재보험의 개요 6
2. 산재보험 재활사업 10
3. 산재근로자 직업복귀정책 20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23
1. 산재근로자 재활사업 효과성 분석 23
2. 차별적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 26
3. 사회모델에 대한 연구 27

제 3 장 연구설계 및 분석모형 29
제 1 절 연구대상 및 분석기법 29
1. 연구대상 29
2. 분석기법 31
제 2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2
1. 연구모형 32
2. 연구가설 32
3. 주요변수 및 조작적정의 33
제 4 장 분석결과 36
제 1 절 기술통계분석 36
1. 표본의 특성 36
2.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8
3. 조사대상 주요 기술통계 44
제 2 절 상관관계분석 49
제 3 절 패널분석 50
1. 취업여부(로짓모형) 50
2. 원직장복귀여부(로짓모형) 52
3. 직업유지기간(선형모형) 55
제 4 절 가설검증 58

제 5 장 결론 59
제 1 절 분석결과 요약 59
제 2 절 정책제언 61


참고문헌 63
부록 67
Abstract 76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산업재해보상보험-
dc.subject업무상재해-
dc.subject산재근로자-
dc.subject산재보험패널-
dc.subject직업복귀-
dc.subject재활사업-
dc.subject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dc.subjectIndustrial Accident-
dc.subjectinjured workers(Industrial Accident Workers)-
dc.subject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Panel Investigation-
dc.subject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dc.subjectReturn to Work Services-
dc.subject.ddc352.266-
dc.title산재보험 재활사업 효과성 분석-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ongwook-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직업복귀 및 직업유지기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44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44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