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민들은 왜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하는가?
국내 제로웨이스트 활동가 사례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하은

Advisor
윤순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제로웨이스트폐기물 저감 운동생태시민시민참여사례연구환경 책임성 행동 모형ZerowasteWaste solutionEcological citizenCitizen participationCase study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0. 8. 윤순진.
Abstract
2018년 4월 1일 수도권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재활용 업체들이 폐비닐 수거를 거부하는 쓰레기 수거대란이 발생했다. 부실한 재활용 시장구조, 정부의 부적절한 대응과 거대한 국내 쓰레기 배출량이 중국의 고체 폐기물 수입 금지 조치를 계기로 터져 나온 사건이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사회 전반에 폐기물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졌으며 정부와 기업들은 근본적 해결을 위해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편의성을 무기로 깊숙이 자리 잡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과정에서 개인의 선택권 침해와 책임전가 논쟁이 발생했다. 이런 상황에서 외부 유인책 없이 제로웨이스트 실천가라 스스로를 명명하고 개인적인 활동을 넘어서 공동체를 구성하여 집단의 힘을 키워가고 있는 시민들이 등장했다. 그들은 철저한 분리배출과 일회용품 소비를 줄이는 생활수준의 실천을 넘어서 온라인을 통해 언론사와 정부에 폐기물 문제 각성을 위한 청원을 제안하고, 기후위기시위에 참여하며, 문화예술 콘텐츠를 생산하거나 연관 사업을 개발하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연구자는 쓰레기 수거대란을 기점으로 시민 중 일부가 제로웨이스트실천가라는 생태시민의 한 형태로 발전했다고 가정한다. 다양한 환경문제가 발생하는 쓰레기 대란의 근본적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폐기물 배출의 절대적 감축이 필요하고 보다 많은 시민의 참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추후 일반 시민의 정책 수용성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같은 사건을 경험했으나 실천행위를 전개하는 제로웨이스트 실천가들의 주요 계기를 탐색하고자 한다. 요약하자면, 이 연구의 질문은 국내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하는 제로웨이스트 실천가는 왜 등장했는가?이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가 없기에 현상에 대한 탐색적 의의를 가진다. 이에 사례의 일반적 통계학적 특성이 아닌 개인의 특성과 계기에 집중하고자 질적연구 방법론 중 사례연구 방법을 선택했다. 자료수집 방법은 문헌조사, 참여관찰, 심층면접으로 구성된다. 분석의 틀을 구성하기 위해 제로웨이스트, 생태 시민성, 환경 책임성 행동 모형, 온라인 공동체의 이론적 논의를 탐색했고, 구성한 분석틀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쓰레기 수거대란이 발생한 2018년 이후이며, 공간적 범위는 대표적인 제로웨이스트 온라인 커뮤니티 2곳이다.
제3장에서는 국내 쓰레기 수거대란의 발생경위와 이후 촉발된 국내 제로웨이스트 활동을 탐색한다. 환경 책임성 행동 모형에서 제시되는 행동 형태 6가지 중 시민 행동, 교육 행동, 경제 행동, 신체 행동을 기준으로 활동을 분류했다. 또한, 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가 스스로가 정의하는 제로웨이스트 결과를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외부적 통제와 유인책 없이 내부적 동기로 폐기물 저감 행동을 실천하는 제로웨이스트 실천가들의 실천 계기를 문제의 인식, 참여, 유지와 강화로 구분 지어 분석했다. 인식단계는 폐기물 문제인식과 해결방안인 제로웨이스트 인식으로 나누어진다. 각 과정은 일 방향적이 아니며 인식이 실천에 실천이 다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면서 상호보완적이다. 대표적인 계기로 덕성, 통제 가능한 시간과 공간,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적 인정이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비실천 시민의 실천을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폐기물 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의 교육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산업계와 청소년 교육에 집중되어 있던 폐기물 문제를 시민 사회의 입장에서 최초로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과거 환경운동의 주체는 시민단체, 환경보호단체였으나 제로웨이스트는 사회경제적으로 환경과 연결점이 적은 이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환경운동의 실생활 화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첫째, 이 연구는 최초의 국내 제로웨이스트 실천가의 계기에 관한 분석연구로써 탐색적 의의가 있지만 선행연구 부재로 인한 심도 있는 분석의 한계가 존재한다. 둘 때, 심층 인터뷰 대상자들이 제포웨이스트 활동의 대표성을 띄는 인물들이나 전체 구성원 중 극히 일부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On April first, 2018, garbage collection crisis which recycling companies refused to collect vinyl, mainly in apartment complex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was caused by poor recycling market structure, the governments inadequate response, massive domestic waste emissions, and Chinas new policy which ban of importing solid waste at 2017. Since this accident, the awareness of waste problems has increased in society, and government and companies have begun to propose ways to reduce waste generation and increase recycling rates for fundamental solutions. However, in the process of reducing plastic, which has a convenience as strong weapon,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e infringement of individual choice and the transfer of responsibil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actors who named themselves as Zero Waste without external incentives and who are forming a community have emerged. Beyond waste separation and living standards to reduce consumption of disposable products, various applications are being made online for petitions to awaken waste problems, participate in climate crisis protests, produc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or develop related businesses.
The researcher assumes that since garbage collection crisis some of citizens have developed into a form of ecological citizens called Zero Waste actors. Our society with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needs more ecological citizens to respond multilayered.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 acting reason for Zero Waste actors who experienced the same accident with nonactors to figure out the main triggers of environmental movement spreading. So, this studys question is Why are a Zero Waste actors acting to solve domestic waste problems?.
This study has an exploratory significance because there is no prior study in Korea. Thus, case stud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re applied to focu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nstruments rather than on the general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se. The data collection method consists of literature researc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o form the analysis frame, the researcher explores Zero Waste, ecological citizenship,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s, and discussion of online communities.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has been since 2018 when the garbage collection crisis occurred, and the spatial scope is two representative Zero Waste online communities.
Chapter 3 explores the process of the domestic garbage collection crisis and the domestic Zero Waste activities triggered thereafter. Among the six types of behavior presented in the model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 models, activities were classified based on civil behavior, educational behavior, economic behavior and physical behavior.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the actor suggest a self-definition of Zero Waste meaning.
Chapter 4 analyzed the reasons for the action of Zero waste with internal motivation without external control. Analysed by dividing them into recognition, participation,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The recognition phase is divided into the recognition of waste problems and the recognition of Zero Waste as a solution. Each process is not one-way, but complementary. Typical reasons have emerged as a virtue, a controllable time and space, an online community, and social recogni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several ways for the participate of non-acting citizens, the educational of the positive view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online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o explore the waste issue concentrated in the perspective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the main agent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the past were civic group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groups, but Zero Waste confirmed the spread of environmental movements in real-life, because most of the actors have little social and economic connections with the environment.
The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is the first analytical study on the momentum of the Zero Waste actors in Korea, but there are limitations of in-depth analysis due to the absence of prior studies. Seco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in-depth interviewees, who are representative members, are a very small part of all memb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03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