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폐채석장을 활용한 도시공원설계 : Urban park design reusing abandoned quarry site near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경인교육대학교 유휴부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종상-
dc.contributor.author박영수-
dc.date.accessioned2020-10-13T04:20:51Z-
dc.date.available2020-10-13T04:20:5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45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0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45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0. 8. 성종상.-
dc.description.abstract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채석장은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나 개발이 완
료된 후 기능을 다해 쇠퇴·폐쇄되어 방치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도시·환경·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하기 위한 해법을 찾고자하였다.
채굴이 완료된 채석장은 법적으로 「산지관리법」제4장 39조1)에 따라 원상
태로 복구해야 한다. 그러나 복구방식에 있어 적절한 복구를 하였다 하더라도
원상태로 복구하기 어려우며 이는 막대한 복구비용 가져온다. 따라서 대부분
의 채석장은 적절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방치되고 있다. 방치된
흉물은 주변 경관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주변발전에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
다. 그러나 최근 방치된 채석장을 활용하여 공원 및 문화공간을 조성하고 있
는 사례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포천아트밸리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시도
는 과거 부정적 이였던 채석장을 관광명소로 활용함으로서 지역경제활성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안양시 석수동에 위치한 본 연구의 대상지는 아파트공사에 쓰일 자갈을 공
수하기 위해 1979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였고 1995년 채석작업이 완료됨과 동시
에 복구공사가 진행되었다. 2005년 기존 채석장 부지에는 경인교육대학교가
건립되었고, 건립과정에서 여러 환경문제들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런 문제들
을 개선하기 위해 학교에서는 끊임없는 노력을 하였고 현재는 개선된 유휴부
지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채석활동으로 환경문제의 이슈의
공간이었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주요 공간으로 활용하여 인식의 전환의 계기가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채석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를 하기위해 선행연구를 진행 하였다. 선행연구는 큰 범주에서 채석장과 유사
개념의 공간에 대한 활용방안을 조사하였고, 이에 맞는 이용자 즉 시민에 대
한 인식조사를 초점으로 두었다. 이론적 고찰은 폐채석장의 활용필요성에
대한 개념과 이를 보존하며 활용하는 범주에서 산업유산에서의 채석장이 갖
고 있는 개념을 고찰하였다.
폐채석장을 활용하는데 있어 반드시 준수해야하는 법과 관련 규제들을 살
펴보았으며 국내 문헌들을 바탕으로 설계 및 시공 과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격적으로 대상지를 이해하기 위해 큰 스케일의 개념의 전반적인 이해를
하였으며 유래와 변천과정을 통해 과거 대상지 주변부에서 일어난 주요 사건
들을 살펴보았다. 인구현황 분석을 통해 만안구 석수동에 대한 인구현황, 연
령, 직업등을 조사하였으며 앞선 주요내용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지역 관련
주체들이 갖고 있는 인식들이 어떠한지에 대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공원의 타당성을 정립하였으며, 어떤 방향으로 이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대상지분석을 통해 대 고찰 후 대상지의 문제점 및 활용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지의 유래와 근대 변천과정을 통해 대상지 과거의 사회적인 이슈들
을 살펴보았으며, 현재 대상지가 소속해 있는 만안구 석수동에 대한 인구현황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시민들의 연령, 직업 등을 살펴보았다.
대상지 분석을 통해 거시적인 맥락에서 대상지의 입지적 요소들을 파악하
였으며,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실질적으로 대상지가 갖고 있는 주요 현황과
문제점들 도출하였다. 이 외 독립적인 요소로서 작용하는 공간이 아닌 만큼
조성 과정에 있어 주변일대에 진행되고 있는 관련계획들을 살펴봄으로써 대상
지 조성에 있어 연계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위의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설계목표를 설정하였다. 단절된 절
개면의 연결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며. 관광지로 기능을 하는 공원을 조성하여 지역 경제활성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조
성, 채석장이 갖는 절개지의 특색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마련과 과거 채석활
동으로 인해 황폐화된 토지를 복원하며 주변산림과 어울리는 공간조성을 본
연구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채석장이 갖고 있는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는 방안의 일환으로서
공원 조성을 제안하며 초기 공원을 조성하는데 있어 주변 관련주체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서 참여하고, 성장하는 공원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이
후 폐채석장을 활용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는데 점에서 의의가 있
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quarry that occurr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industry, but after the development
was completed, it was intended to find a solution to solve the urban,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that appear in the state of decline and
closure.
The quarry where the mining is completed shall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accordance with Act 4 of the Mountainous Districts
Management Act. However, even if proper restoration is done in the
restora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restore it to its original state, which
brings huge recovery costs. Therefore, most quarry is not properly
restored and is neglected. Left unattended scars degrade the function of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hinder its development.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parks and cultural spaces are being created using
recently neglected quarry. A typical example is Pocheon Art Valley, which
is a great help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using quarry, which
was a negative in the past, as a tourist attraction.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located in Seoksu-dong, Anyang-si started
development in 1979 to airlift gravel to be used for apartment
construction. In 1995, the quarrying work was completed and the
restoration work was carried out. In 2005,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established on the existing quarry site,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chool has made
constant efforts and now remains an improved abandoned site. Therefore,
this study was a space of environmental issues as a quarrying activity in
the past, but at this point, it wa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use it as
a major space and to change the awareness. Prior to th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quarry in general.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plan of quarry and similar
concept space in a large category, and focused on the survey of users,
citizens, and the survey of the percepti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necessity of using waste quarries'
and the concept of quarries in industrial heritage in the category of
preserving and utilizing them.
The laws and related regulations that must be observed in the
utilization of waste quarry were examined, and the design andconstruction process were considered based on domestic lit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bject in earnest,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large scale was made, and major events that occurred
in the periphery of the object were examined through the origin and
transition process. The population status, age, occupation, etc.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population status. Based on the main
contents, the validity of the park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urvey
and interview on the perceptions of local subjects, and opinions on 'what
direction should be used' were heard.
After the analysis of the target area, the social issues of the target
area were examined through the origin of the target area and the
process of modern change in order to grasp the problems and utilization
direction of the target area. The age and occupation of the citizen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opulation status of Seoksu-dong,
Manan-gu, where the target area belo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arget site, the locational elements of the
target site were identified in macroscopic contexts, and the main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target site were derived through detailed
analysis. In addition, as it is not a space that acts as an independent
element, it has derived the elements that can be linked to the creation
of the target area by examining the related plans that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surrounding area.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design goal of this study was set up,
and a plan to strengthen the connectivity of the cut-out surface was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park that functio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절. 연구의 범위 4
1. 공간적 범위 4
2. 내용적 범위 및 진행과정 5
3절. 선행연구의 고찰 7
4절. 연구의 차별성 10
제 2장 이론적 고찰
1절. 폐채석장 활용의 이해 11
1. 산업유산개념의 채석장 이해와 활용의 필요성 11
2. 폐채석장의 복구기준 및 복원과정 14
3. 폐채석장의 복원 설계 및 시공 18
2절. 사례연구 23
제 3장 대상지 분석
1절. 대상지의 이해 31
1. 대상지 개요 31
2. 대상지의 유래와 변천과정 32
3. 인구현황 39
2절. 공원화의 타당성 및 주민의견 42
1. 관련법률 검토 및 공원의 타당성 42
2. 지역주민 의견 44
3절. 대상지 분석 49
1. 거시적 맥락의 분석 49
2. 세부 대상지 분석 55
4절. 관련계획 검토 72
5절. 종합분석 75
제 4장 기본방향 및 구상
1절. 기본방향 79
1. 지형을 고려한 설계방안 도입 79
2. 관련 사업 및 주변 인프라와의 연계 81
3. 지역 주체의 의견 수렴 82
2절. 설계의 목표 82
3절. 기본 구상 84
제 5장 기본계획 및 설계
1절. 기본계획 87
1. 종합계획도 87
2. 동선계획 88
3. 포장계획 89
4. 식재계획 89
5. 프로그램계획 94
2절. 세부공간별 설계 96
1. 연결타워 및 레저센터 95
2. 상부 연결로 및 중앙보행로 97
3. 절개면 상부 공간 및 쉼터 99
4. 커뮤니티정원 및 서비스시설 100
제 6장 결론
[참고문헌] 104
[Abstract] 106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경인교육대학교 유휴부지-
dc.subject폐채석장-
dc.subject공원화-
dc.subject도시공원-
dc.subjectAbandoned quarry-
dc.subjectUrban park design-
dc.subject.ddc712.3-
dc.title폐채석장을 활용한 도시공원설계-
dc.title.alternativeUrban park design reusing abandoned quarry site near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ngsoo PARK-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경인교육대학교 유휴부지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45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45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