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형 도시재생 거점공간의 특징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Anchor: Focused on Changsin-Sungin and Sinchon
창신숭인과 신촌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오은

Advisor
조경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시재생서울형 도시재생거점공간앵커시설Urban RegenerationSeoul-Type Urban RegenerationUrban Regeneration AnchorAnchor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0. 8. 조경진.
Abstract
우리나라의 도시재생사업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편의를 제공해주는 사업이 약 37%, 지역을 활성화하는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 약 63%이다. 거점공간은 사업 내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조성된 이후에는 예산 지원이 중단된다. 도시재생의 장기적 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마중물이자 핵심사업은 이러한 제도적 모순 속에서 지속 가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 속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13개 지역(가리봉, 창신숭인, 해방촌 등)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거점공간의 특징을 파악하고, 특징적인 사례지(창신숭인, 신촌)의 거점공간를 분석하였다. 사례지 및 공간 분석을 통해, 거점공간의 유형별 특징을 종합하고 각 공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도시재생 거점공간은 정책적 요인(마중물사업, 연계사업)에 따라 독립형, 연계형 거점공간으로 구분된다. 4가지 특징 요소(물리적 공간, 주변환경, 주체,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공원형, 리모델링형, 적응형, 통합주도형, 관주도형, 민주도형, 주민형, 다중형으로 나뉜다. 유형별로 특징이 다르지만, 몇몇 유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① 독립형 거점공간은 조성 기간이 종료되면 예산 지원도 함께 중단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연계형의 비중을 늘려 공간 조성 후에도 예산 확보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② 연계형 거점공간은 재정적으로는 풍부하지만, 주체 간 수평적 소통이 어렵다. 이는 예산 출처 부서로부터 수직적으로 업무가 진행되는 구조상 불가피하지만, 지자체 부서 간 또는 중간지원조직 간 수평적 협력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③ 적응형 거점공간은 주변환경의 지형이나 교통과 같은 접근성이 떨어지면 이용에 불편이 발생하므로 부지 선정 시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동시설보다는 운영에 최소한의 개입만 필요한 시설이 적합하다. ④ 관주도형 거점공간은 연계형 거점공간과 마찬가지로 행정적 지원이 충분하지만, 지자체 또는 공공기관에서 모든 영역을 전담할 경우, 운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⑤ 민주도형 거점공간 역시 주민이 모든 운영을 전담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행정 지원 체계가 미흡한 채로 주민의 적극성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관·민 모두를 대상으로 전문가를 활용한 교육 및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⑥ 주민형 거점공간은 이용하는 주민들만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운영 정책을 조율하고,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⑦ 다중형 거점공간은 외부 방문객에게 매력적이고, 지역을 관광화하는 효과가 있지만, 주민들의 공감이 부재한 채로 조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성 전, 교육 및 홍보를 통해 필요성을 설득하는 기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행되는 도시재생을 연구하는 것에서 한계를 가진다. 도시재생은 한 주체가 아닌 여러 분야의 주체가 함께 일구어야 할 무궁무진한 분야이다. 도시재생특별법이 제정되고 7년, 도시재생사업이 실행된 후 5년이 지났다. 검토가 필요한 시기지만, 아직 성과를 평가하기에는 이르다. 앞으로 도시재생이 진행될 지역과 조성될 공간이 많이 있으므로 다양한 관점에서의 거점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Korea,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about 37% of projects that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rovide convenience, and about 63% of projects that create a base for revitalizing the region. The base space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ject, but after it is established, budget support is suspended. The central project, which is the prime mover to implement the long-term goal of urban regeneration, is concerned about whether it can be sustained in the midst of this institutional contradiction.
Therefore, this study gras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generation base space in 13 areas of Seoul (Garibong, Changsin Sungin, Haebangchon, etc.) and analyzed the base space of the characteristic case sheets (Changsin Sungin, Sinchon). Through analysis of case papers and spaces,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base space were synthesized and problems occurring in each space were examined.
The urban regeneration base space is divided into stand-alone and connected base spaces according to policy factors (welcome project, linkage project). According to the four characteristic elements (physical space, surrounding environment, subject, program), it is divided into park type, remodeled type, adaptive type, integrated led type, government led type, democratic figure, resident type, and multiple typ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different, but the problems that occur in some types are as follows.
① As the stand-alone base space is likely to be discontinued with the budget support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 perio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connected type so that the budget can be secured even after the space is created. ② Linked base space is financially plentiful, but horizontal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is difficult. This is inevitabl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work is performed vertically from the budget source department,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orizont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 departments or interim support organizations. ③ The adaptive base space should be sufficiently considered when selecting a site, as inconveniences may arise when accessibility, such as the terrain or traffic,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poor. Facilities that require minimal intervention in operation are suitable rather than common facilities frequently used by residents. ④ The government-led base space, like the linked base space, has sufficient administrative support, but if all the areas are dedicated by the local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ion, operational problems may occur. ⑤ The base space for democratic figures is also limited in that the residents are in charge of all operations, and there are cases where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insufficient and relying only on the activeness of the res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that utilize experts for both government and public. ⑥ In order to minimize the situation in which the residents-based base space is repeatedly used only by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the operation policies and actively promote the entire population. ⑦ The multi-type base space is attractive to external visitors and has the effect of tourism to the area, but it is necessary to persuade the necessity through education and publicity before construction to prevent the residents from being created without empath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researching urban regeneration implemented in the long term. Urban regeneration is an endless field where subjects from various fields need to work together, not one. Sev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Urban Regeneration Special Act was enacted, and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implemented. It's time for a review, but it's too early to evaluate performance.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lot of areas and spaces for urban regeneration, so it seems necessary to study the base space from various perspectiv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04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3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