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종로구 관철동의 공간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hange in Gwancheol-dong, Jongno-gu: Focusing on the Change of Building Use after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청계천복원사업 이후 건축물 용도 변화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훈-
dc.contributor.author임다섭-
dc.date.accessioned2020-10-13T04:21:51Z-
dc.date.available2020-10-13T04:21:5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1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0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16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0. 8. 김세훈.-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은 2000년대에 도입되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05년 청계천복원사업은 이러한 도시재생의 개념을 가지고 실시된 대규모 프로젝트의 대표이다. 이후 주변에서 건축동향, 지가 등 다양한 변화가 있었으며, 국내외 유사 사업의 중요한 선례이므로 해당 사업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중요하다. 사업 구간 중 종로 일대는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서울 상업 기능의 핵심이다. 특히, 관철동 지역은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 의해 근대 문화를 선도하던 공간이었으나, 2000년대 이후 이러한 문화는 사라졌다. 건축물 용도는 지역의 장소성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철동의 장소성의 변화를 건축물 용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계천복원사업 시행 이후를 중심으로 2000년에서 2020년 동안 관철동 젊음의거리에 대해 건축물 용도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관철동의 상업공간으로서 장소성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관철동에서의 용도 변화 특징을 파악하여,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전 상황 및 변화와 관련하여 대상지 주변지역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청계천 주변공간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문헌 자료를 통해 조선시대부터의 관철동의 변천 과정과 2000년 이후의 관철동에 대한 도시계획을 살펴보았다. 이후 관철동의 특징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건축물 용도 분석 단계에서는 건축물대장과 현장조사를 통해 건축물의 지하 1층과 지상 1, 2층의 저층부 건축물 용도에 대한 분포변화를 조사하였다. 프렌차이즈 가게에 대해서는 현장조사와 인터뷰, 카카오맵, 네이버지도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공실에 대해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판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철동에서 보이는 여러 변화 양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변화에 있어 구체적인 변화 과정과 관련 요인, 주변지역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철동은 청계천복원사업 이후 관광지로서의 성격이 강화되면서 관광객이라는 새로운 주요 이용자들이 유입되어 IMF 외환위기로 침체했던 상권이 활성화되었다. 하지만 이때 프랜차이즈 업종들이 과도하게 유입되면서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왔던 주단상가들이 사라지게 되었다. 관철동 주단상가들은 긴 역사를 가졌던 노포였으나, 90년대 후반부터 경영난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관철동 일대의 청계천복원사업으로 인해 높아진 지가에 적응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인해 관철동 주변지역에서 대규모 오피스 건물이 증가하자, 관철동 내부 골목에서의 일반음식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때의 변화는 한식, 일식, 양식 등의 다양한 세부 용도로의 변화가 아니라 치킨집과 고기구이집이라는 특정 세부 용도로 집중되어 나타났는데, 이는 관철동 상권이 주변 업무시설의 직장인들이라는 특정 이용자 집단에 많이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위락공간이라는 관철동의 공간적 특성은 과거 일제강점기 때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었다. 이는 관철동 주변에서 다수의 도시개발이 있었지만 서울 도심이 도시의 핵심업무지구라는 큰 공간적 특성이 변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현재까지 관철동 위락용도의 이용자가 인근에 종사하는 직장인이라는 사실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종로구 관철동 젊음의거리를 대상으로 역사자료 분석과 2000년대 이후의 건축물 용도 변화와 변화 양상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도심지역 개발의 주변 상권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장소성이 변화하였다는 시사점을 나타내었다. 관철동은 특히 긴 역사적 장소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청계천복원사업 이후 그 역사적 장소성은 유지됨과 동시에 일부분은 상실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관철동이 가지고 있는 위락용도의 공간적 성격은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를 지나 현재까지 이어져 왔음이 확인되어 관철동의 역사적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왔던 긴 역사를 가진 노포가 사라진 것 또한 확인되어 앞으로 비슷한 개발이 있을 때 더 신중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본 연구는 앞으로 서울 구도심에서의 정비사업에 있어서 관철동 일대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관철동의 근현대 역사의 기록으로 타 분야에서의 활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was introduced in the 2000s, and vari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to date. In particular,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in 2005 was a large-scale project implemented with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Since then, there have been various changes in architectural trends, land prices, etc. in the surroundings. And since the project is an important precedent for similar projects at home and abroad,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project on the surrounding areas is important. In addition, the Jongno area has been Seoul's center of commerce from the Joseon Dynasty up until the present day. In particular, the people from various classes in the Gwancheol-dong area were leading modern culture, but this culture has disappeared since the 2000s. The use of building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placeness. Therefor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hift in the use of buildings in the Gwancheol-dong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shift in the use of buildings for the Avenue of Youth in Gwancheol-dong from 2000 to 2020 after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and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laceness of Gwancheol-dong as a commercial space. In addition,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Gwancheol-dong,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rea of the target site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revious situation.
As the method of inquiry, I first studied the literature about urban regeneration and the overall spatial change around Cheonggyecheon, upon which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Gwancheol-dong and its urban planning since the 2000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characteristics of Gwancheol-dong were derived and a specific framework for analysis was prepared. In the phase where the usage of buildings was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nges for the use of low-rise buildings on the first basement floor and the first and second floors of the build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building registers and field survey. For the franchise store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Kakao Map and Naver Map were used. The vacancy of the stores was judged through field surveys. Lastly, various changes in Gwancheol-dong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I specifically examined the process of change, related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area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Gwancheol-dong became an area for tourism, and its commercial purpose, which had been stagnant due to the IMF Financial Crisis, was revitalized. At this time, however, as the franchise stores were occupied excessively, the hanbok shops that had been aroun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disappeared. Gwancheol-dong Hanbok shops had a long history, but it was difficult to adapt to the increased land prices due to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because they had experienced management difficulties since the late 90s.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large office buildings in the area around Gwancheol-dong increased due to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the proportion of general restaurants in Gwancheol-dong increased. At this time, the change was focused on specific details such as chicken and Korean barbecue restaurants rather than changes to various detailed uses such as Korean-, Japanese- and Western restaurant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commercial district in Gwancheol-dong concentrated on a specific group of users, including workers in nearby business facilities.
On the contrary, Gwancheol-dong's placeness as an amusement space has been maintain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present. This is because, despite the large number of urban developments around Gwancheol-dong, the larg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owntown Seoul as a core business district have not changed. This wa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users of the Gwancheol-dong amusement buildings are employees of nearby companies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60s, and the present tim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urban area development on the surrounding commercial area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use of buildings since the 2000s, targeting the young streets of Gwancheol-dong and Jongno-gu, and suggests that the placeness has changed. Gwancheol-dong was able to confirm itself as a historical place, and it was found that after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the historicity was largely maintained but some parts were lost.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locality of Gwancheol-dong as historical entertainment has continu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and it is possible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value of Gwancheol-dong.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old shops, with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aroun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have disappeared, and more careful precautions will be needed to prevent similar development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t Gwancheol-dong area in the maintenance project in Seoul's old CBD.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is thought to be useful in other fields as a record of the modern history of Gwancheol-do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0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1
1. 연구의 배경 01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03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04
1. 연구의 범위 04
2. 연구의 방법 및 흐름 05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07
1절. 도시재생과 청계천복원사업 07
1. 도시재생 07
2. 청계천복원사업 11
3. 선행연구와의 차별점 16
2절. 관철동의 변천과 2000년대 이후의 도시계획 및 정책 18
1. 관철동의 변천 18
2. 2000년대 이후의 도시계획 및 정책 31
3. 소결 40

제3장 건축물 용도 변화와 공실 현황 41
1절. 분석의 틀 정립 41
1. 데이터 수집과 조사방법 41
2. 건축물 용도 분류 44
2절. 건축물 용도 분석 46
1. 건축물 용도 현황 46
2. 건축물 용도 변화 52
3절. 프랜차이즈 업종 분석 63
1. 프랜차이즈 업종 현황 63
2. 프랜차이즈 업종 변화 67
4절. 공실 분석 74
1. 공실 현황 74
5절. 분석 결과와 변화 유형화 76
1. 분석 결과 76
2. 변화 유형화 78

제4장 관철동의 공간변화 양상과 해석 79
1절. 관철동 주단거리의 변화 79
1. 종로 주간상가와 맞춤양복점, 백화점의 등장 79
2. 관철동 주단거리와 고급의류 상권의 재활성화 81
3. 고급소비재 중심지 역할의 약화와 관철동 주단거리의 소멸 86
2절. 공구상가 배후지역으로서의 변화 89
1. 청계천 공구상가의 등장 89
2. 관철동 의류 산업 관련 공장 90
3. 관철동과 청계천 공구상가와의 관련성 감소 92
3절. 위락용도의 밀집과 성격의 변화 94
1. 위락용도 밀집 배경 94
2. 1960~90년대의 위락용도의 밀집 특징 98
3. 2000년대의 위락용도 감소와 일반음식점의 증가 100
4절. 가로활성화 용도로의 증가 103
1. 청계천복원사업과 가로활성화 용도 103
2. 가로활성화 용도 변화 특징 105

제5장 결론 109
1절. 연구의 요약 109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112

[참고문헌] 113
[Abstract] 120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재생-
dc.subject청계천복원사업-
dc.subject상업가로-
dc.subject건축물 용도-
dc.subject장소성-
dc.subjectUrban Regeneration-
dc.subject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dc.subjectCommercial Street-
dc.subjectBuilding Use-
dc.subjectPlaceness-
dc.subject.ddc712.3-
dc.title종로구 관철동의 공간 변화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patial Change in Gwancheol-dong, Jongno-gu: Focusing on the Change of Building Use after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im Dasup-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청계천복원사업 이후 건축물 용도 변화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도시환경설계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16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16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