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파주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 : Paju Tongilchon Eco-museum Pla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진-
dc.contributor.author이창현-
dc.date.accessioned2020-10-13T04:22:47Z-
dc.date.available2020-10-13T04:22:4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01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0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1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0. 8. 조경진.-
dc.description.abstract문화유산을 국제적 합의 속에서 보호하기 시작한 이래로 보존 대상은 건축물과 같은 개별 문화재에서 주변지역을 포함한 마을 및 도시의 문화경관으로 확대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경관은 DMZ 접경지역을 들 수 있다. 길이 248km, 8개 지역을 접하고 있는 DMZ는 한반도 허리를 서에서 동으로 가로지르는 축으로 대한민국의 바다와 강, 들, 평야, 산 등 다양한 자연경관과 특색있는 지역문화를 관통한다. 독특한 문화경관과 함께 남과 북의 분단의 상징으로 수십 년간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았던 DMZ 접경지역은 한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경관이다. 그러나 최근 4·27 판문점선언, 9·19 군사 분야 합의 등 획기적인 남북 관계 개선으로 DMZ 접경지역은 개발의 압력에 처해있다.
이에 본 연구는 DMZ 접경지역에 위치한 민북마을 파주 통일촌을 대상으로 주민들의 삶, 관광, 생태, 군사활동이 균형을 이루고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지역에 살고있는 지역민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가치를 부여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하고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 파주 통일촌은 DMZ 서부전선 민간인통제구역에 위치한 마을로 군사분계선(MDL)과 4.5km 떨어져 있는 민북마을이다. 1972년 5월 국가 주도로 건설된 통일촌은 선발된 주민 사이의 갈등과 북한과 인접한 지리적 특수성으로 사건사고가 빈번했지만 마을주민은 하나가 되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통일촌이 위치한 접경지역은 평화, 체제, 생태 등의 거시적인 담론에 집중되어 접경지역에 터전을 일구어 지금껏 살아온 지역주민의 삶은 상대적으로 도외시되어 왔고 지역자원은 연계되지 못한 채 혼재되어 있다. 또한 최근 남과 북의 관계개선으로 민통선 북상과 각종 개발계획 등에 의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통일촌의 문화와 경관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지역의 가치를 재조명하며 변화하는 접경지역에 대응할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을 제시하였다. 에코뮤지엄 개념을 통일촌에 적용하기 위해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일본과 국내에 조성되어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실행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DMZ 접경지역의 관광현황과 통일촌의 물리적 특징, 경관·역사·생활문화·생태·인적자원을 연구 및 발굴하였다. 자원분석과 에코뮤지엄 계획은 지역주민의 인터뷰에 중점을 두었으며 역사적 자원뿐만 아니라 동시대적 유·무형자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원 분석과 이론 연구를 통해 도출한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의 출입과 활동이 제한되는 민통선지역의 규제를 활용하여 통일촌의 물리적·비물리적자원을 재구성했다. 민통선 외부방문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거점 간 이동이 가능한 모빌리티를 제안하였다. 각 거점 시설은 코어시설, 일반시설, 정원경관으로 조성되며 관련 세부 프로그램을 함께 제시하였다.
둘째, 주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발굴한 생활·역사·문화적 가치를 스토리텔링하여 지역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통일촌의 이야기는 장단군의 역사, 땅의 역사, 접경지역의 역사로 나누었으며 관련 관람루트와 관광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서부DMZ의 통합적 에코뮤지엄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민간인의 행동과 출입이 자유로운 임진각을 코어박물관으로 설정하고 민통선 내 통일촌, 해마루촌, 대성동을 위성박물관으로 설정했다. 각 위성박물관의 독립성은 유지하되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유기적인 연계 모델을 구성하였다. 위성박물관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는 한정된 접경지역의 자원을 효율적 이용할 수 있고 분절된 접경지역의 지역자원을 연계하여 역사적·문화적 층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에코뮤지엄 개념을 통일촌에 적용하기 위하여 주민과의 만남을 통해 통일촌의 공간과 지역자원을 연구하고 지역의 미래상을 함께 고민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은 향후 통일촌을 계획함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통일촌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주민들에게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cultural heritage began to be protected under international agreements, preservation targets have been expanded from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such as buildings, to cultural landscapes of villages and towns, including surrounding are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landscape of Korea is the DMZ border area. DMZ, which is 248 km long and borders eight regions, crosses the wai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west to east, penetrating various natural landscapes and characteristic local cultures such as Korea's seas, rivers, fields, plains, and mountains. The DMZ border area, which has been untouched for decades as a symbol of the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along with its unique cultural landscape, is a unique landscape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in Korea. However, with the recent improve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relations, such as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and the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the DMZ border area is under development pressu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alternative for balanced and coexisting life, tourism, ecology, and military activities of residents in the Tongilchon in Paju located in the DMZ border area. For this, through the interview with local people living in the area, it was intended to discover and utilize local resources. It also tried to propose a way for residents to actually participate and be needed
Study Area Paju Tongilchon is located within the civilian control zone of the DMZ West Front and 4.5km from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MDL). The Tongilchon, built in May 1972 as a state-led village, has frequently caused incidents due to conflict between selected residents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adjacent to North Korea.
However, the border area where the Tongilchon is located is concentrated on macroscopic discourses such as peace, system, and ecology,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who have lived in the border area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and local resources are mixed without being linked. In addition, The recent improvement in relation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as led to a "change" of Civilian Control Lines(CCL) and various development plan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a study was needed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culture and scenery of the Tongilchon, to re-examine the values ​​of the region, and to respond to changing border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Tongilchon Eco Museum plan.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the eco-museum to the Tongilchon, we reviewed related theories and analyzed the cases created in Japan and Korea to propose an implementation system.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ngilchon, landscape, history, life culture, ecology, and human resources were studied and discovered. The resource analysis and eco-museum plan focused on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sought to draw contemporary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as well as historical ones. The Tongilchon eco museum plan derived through resource analysis and theoretical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sources of the Tongilchon were reconstructed by using the regulations of the civilian control area where tourists' access and activities are restri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isitors to the outside of the Civilian Control Lines(CCL), mobility was proposed to enable movement between bases. Each base facility is composed of a core museum, a general museum, and a garden landscape, and detailed programs are presented.
Second, it tried to improve local values ​​by storytelling the history, cultural values, and life ​​discovered through the stories of the residents. The story of the Tongilchon was divided into the history of Jangdan-gun, the history of the land, and the history of the border area, and presented related tour routes and tourism programs.
Third, it aimed to present an integrated eco-museum model of Western DMZ. Imjingak, where civilians are free to move and enter, is set as the Core Museum, and Tongilchon, Haemaruchon, and Daeseong-dong within the Civilian Line are set as satellite museums. The independence of each satellite museum was maintained, but a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to construct an organic linkage model. The network formed between the satellite museums will be able to efficiently use the resources of the limited border area and improve the scop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y linking the regional resources of the segmented border area.
In this way, this study studied the space and local resources of the Tongilchon through meeting with residents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eco-museum to the Tongilchon, and considered the future of the region together. The Tongilchon eco-museum plan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planning the future Tongilchon and can provide a direction for residents who want to change the Tongilch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및 흐름 5

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착안점 7
1. 에코뮤지엄 관련 기존연구의 동향 7
2. 연구의 차별성 9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사례분석 10
1절. 에코뮤지엄의 이해 10
1. 에코뮤지엄의 정의 10
2. 에코뮤지엄의 구조 12
3. 에코뮤지엄에서의 유산 13
4.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 14
5. 문화경관과 에코뮤지엄 15

2절. 에코뮤지엄의 사례 17
1. 아시아 에코뮤지엄 17
2. 일본 에코뮤지엄의 개요 18
3. 일본 에코뮤지엄의 발전과정 19
4. 일본 에코뮤지엄 사례 22
5. 국내 에코뮤지엄 사례 36

3절. 사례분석의 종합 39
1. 사례분석 39
2. 적용가능한 에코뮤지엄 개념 41
3. 에코뮤지엄 계획의 틀 정립 43

제3장 대상지 이해 및 지역자원 분석 45
1절. 파주 통일촌의 이해 45
1. 민통선과 민북마을 45
2. 파주 통일촌 48

2절. 대상지 광역분석 55
1. DMZ관광 55
2. 주요 쟁점 61

3절. 대상지 분석 63
1. 물리적자원 63
2. 경관자원 68
3. 역사자원 71
4. 생활문화자원 77
5. 생태자원 83
6. 인적자원 86
7. 계획제한 요소 90

4절. 에코뮤지엄 조성의 필요성과 가능성 92

제4장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 95
1절. 통일촌 에코뮤지엄의 목표 및 역할 95
1. 목표 및 전략 95
2. 역할 및 기능 97
3. 운영 및 조직구성 97

2절. 통일촌 에코뮤지엄 공간 및 전시프로그램 계획 99
1. 자원의 재구성 99
2. 가치 재정립 108
3. 경계의 확장 116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20
1. 참고문헌 120
2. Abstract 12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에코뮤지엄-
dc.subjectDMZ-
dc.subject통일촌-
dc.subject문화경관-
dc.subject주민참여-
dc.subject로컬 커뮤니티-
dc.subjectEco-museum-
dc.subjectTongilchon-
dc.subjectCultural landscape-
dc.subjectResident participation-
dc.subjectCommunity-
dc.subject.ddc712.3-
dc.title파주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
dc.title.alternativePaju Tongilchon Eco-museum Pla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anghyun, Lee-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01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01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