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판 인터넷 게임중독/관여척도의 타당화 연구 : 표본의 유형과 심리사회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중심으로 :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Game Addiction/Engagement Scale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Sample and i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현은정

Advisor
김계현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터넷 게임중독관여자기도피사회적 지지자기불일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인터넷 게임중독/관여 척도를 타당화함으로써 게임중독과 관여가 구분되는 개념임을 밝히고, 중독과 관여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보는 것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적 표본과 일반 표본에 따라 게임중독과 관여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심리사회적 특성과 인터넷 게임중독 및 관여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중독 집단에서 관여 수준에 따라 심리사회적 특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고관여 집단에서 중독 수준에 따라 심리사회학적 특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기원과 이장한(2007)이 개발한 한국판 인터넷 게임중독/관여척도와 기존 연구에서 중독적 게임사용과 관련있는 변인으로 연구되어온 자기도피, 이상적-실제적 자기 및 자기불일치, 사회적 지지를 활용하여 제주, 전북,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3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중독적인 인터넷 게임 사용자가 일반표본에 비해 많을 것으로 예측되는 표적표본을 표집하기 위해 PC방주인이 단골고객으로 지목한 81명을 조사하였고, 일반표본은 각 급 학교를 중심으로 질문지 응답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독적인 게임사용과 관련된 특성에서 상이하다고 예상되는 일반표본과 표적표본에서 나타나는 중독과 관여의 수준의 차이를 본 결과, 중독이 일반표본과 표적표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반면, 관여는 두 표본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여의 개념이 병리적인 중독과 구분되는 개념임이 검증되었다.
둘째, 관여는 자기도피, 이상적-실제적 자기 및 자기불일치와, 사회적지지 및 그 하위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없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여가 중독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특성과 관계가 적은 개념임을 의미하며, 이로써 변별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중독은 기존연구에서 게임중독과 관련이 높은 자기도피, 사회적지지 및 그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고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상적-실제적 자기 및 자기불일치와는 유의미한 상관이 도출되지 않았다.
셋째, 중독 집단 내에서 저관여 집단과 고관여 집단은 평가적지지, 이상적 자기, 자기도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저관여 집단은 평가적지지와 이상적 자기가 더 낮았고, 자기도피는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고관여 집단 내에서 비중독집단과 중독집단은 사회적지지와 그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와 자기도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중독-고관여 집단은 비중독-고관여 집단보다 사회적지지 및 정서적, 평가적지지를 낮게 지각하였고, 자기도피성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터넷 게임에서 중독 및 관여가 구분되는 개념임을 타당화하는 증거가 되며, 상담의 대상이 되는 게임중독 집단 안에서도 관여 수준에 따라 차별적 처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불일치 척도가 자기불일치 연구에서 가장 경험적 증거가 축적된 Higgins의 것이 아닌 Hoge와 McCarthy의 척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이상적-실제적 자기 및 자기불일치에 관한 해석에 조심스러운 점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한국판 인터넷 게임중독/관여척도는 중독과 비중독, 높은 관여와 낮은 관여를 나누는 절대 기준 점수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엄격한 의미의 중독과 비중독을 진단하는데 무리가 있다. 연구방법에서는 자료수집에 있어 편의표집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일반표본의 경우에도 전체 청소년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distinctions between addiction and high engagement in internet gaming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iction and engagement in internet gaming. Construct validity was assessed b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hecking the known group valid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2 adolescents in Jeju, Jeonbuk and Seoul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consist of target sample(Game users who were nominated as frequent customers by the owners of PC room) and general sample.
The gathered data were gone through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correlation relation analysis through SPSS 18.0 statistical programs. Findings through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diction between target sample and general sample, which supported the known group validity.
Second, engagement facto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s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which supported the discriminant validity, whereas addic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scaping from the self and social support perception, which supported the convergent validity. However addiction factor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deal-actual self and self-discrepancy.
Third, addicted group can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ngagement and these two groups significantly differ on appraisal supports, ideal self and escaping from the self.
Forth, high engagement group also can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i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emotional and appraisal supports, and escaping from the self between the two group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ogether with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448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27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