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등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이 수업참여를 매개로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계고와 외국어고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남나라

Advisor
백순근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수업참여방과후학교 만족도일반계고외국어고다집단 구조방정식
Abstract
초·중등학교에서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와 참여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공교육 내실화 방안 중 하나로 추진된 방과후학교는 정규교과과정 외의 교육을 통해 학교교육의 기능을 보완하고 확대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방과후학교에 대한 평가 연구에서는 교육수요자의 만족도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지금까지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주목하여 수행된 연구들은 고등학교에서의 방과후학교 수업이 대부분 교과보충형으로 실질적으로 각 학교 안에서 현직 교원이 중심이 되어 해당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교육과 비슷한 환경 하에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간과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집단을 동질적으로 분석하는 경향이 있어 학교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방과후학교 만족도의 차이 등에 대한 검증의 노력이 부족하였다.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이 수업참여 및 학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해보았을 때, 방과후학교 만족도를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강의를 수강하는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에 주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방과후학교 운영과 학교 및 학생의 특성 차이가 두드러지는 일반계고와 외국어고의 비교를 통해 각 학교유형에 적절한 만족도 신장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지각한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수업참여가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수업참여가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방과후학교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반계고와 외국어고에서 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은 수업참여 및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일반계고와 외국어고간 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수업참여 및 방과후학교 만족도의 관계 및 변인의 영향력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일반계고와 외국어고에서 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은 수업참여를 매개로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방과후학교 담당 교사와 참여 학생과의 면담 등의 과정을 거쳐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 수업참여, 방과후학교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들을 제작하였고, 각 척도들의 구인타당도와 문항 내적일치도 계수 (Cronbach's α)는 양호하였다. 일반계고 학생 333명과 외국어고 학생 316명, 총 64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 수업참여, 방과후학교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계고와 외국어고 모두에서 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은 수업참여 및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어고 학생들이 교사와의 관계 및 지원을 긍정적으로 느낄수록 일반계고 학생보다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수업참여가 더 높을수록 방과후학교 만족도를 더 긍정적으로 지각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에 포함된 경로간의 표준화계수를 살펴본 결과, 일반계고에서는 교우관계, 외국어고에서는 교사와의 관계 및 지원이 수업참여에 제일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의 관계 및 지원이 두 학교 유형 모두에서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이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참여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일반계고와 외국어고에서 모두 교사와의 관계 및 지원과 학생의 자율성 지지가 수업참여를 매개로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였으나, 교우관계는 일반계고에서 간접효과만 유의하였다.
요컨대 두 학교 유형 모두에서 학생들이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그에 따라 방과후학교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방과후학교 만족도를 신장하는 데 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수업참여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별 학교 및 정부차원의 적절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school environment on after-school program satisfaction was comparatively examined in general high school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pecifically, students class engagement was proposed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after-school program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linkages among the constructs an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fter-school of high school in Korea, a conceptual model was established and tested using a variety of statistical methods. To shed light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chool types, a total 639 high school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N=333)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N=316)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pilot testing,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to elicit information about ones perceptions of school psychosocial environment, class engagement and after-school satisfaction. After reliability tes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sults showed all the measurement scale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were found to be reliable and appropriate in both school types. After the questionnaire has been rendered reliable and vali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tes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psychosocial environment on class engagement and after-school satisfaction on both schools types.
Second, there were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class engagement to student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leading stronger effect on after school satisfaction to students of foreign high school. When focusing on relative size of variables between the two school types, standardized coefficients of the path between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class engagement, after-schoo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bigger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whereas the power of friendship was bigger in general high school. Also, relationship with teacher was proved 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affecting after-school satisfaction in both school types; then, autonomy support came second in general high school whereas class engagement came next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hird, class engagement was proved as a partial mediator on after-school satisfaction in both school types. Whereas both direct effect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autonomy support on after-school satisfaction and indirect effect mediated by class engagement were verified in both school types, relationship with friends was found to have only indirect effect in general high school.
In conclusion,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perceptions of school psychosocial environment affect after-school satisfaction, and those perceptions can be partially mediated by class engagement, with differences between school types such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oute and relative size of standardized coeffic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me inducement is highly required to make student be positive regarding one's teacher and friends, and feel being supported one's autonomy to raise class engagement and improve after-school satisfac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451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6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