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과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의 남성 팬덤에 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Male Fans in their 30s and 40s of Korean "Jung-so Idol" and Japanese "Chika Idoru"
중소 아이돌의 삼촌팬과 지하 아이돌의 오타쿠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석경-
dc.contributor.author이연규-
dc.date.accessioned2021-11-30T04:17:58Z-
dc.date.available2021-11-30T04:17:58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626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562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6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1. 2. 홍석경.-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ttempt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male fans in their 30s and40s of Korean Jung-so Idols vis-à-vis fans of Japanese Chika Idorus in order to derive their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ere are two major phenomena in the current idol industries and existing fandom cultures of Korea and Japan. The first phenomenon is those who utilize the business model and marketing strategies of the popular idols from the 2000s. In Korea, they are Jung-so idols, referring to idols produced by small to medium-sized entertainment agencies. "Jung-soIdols'' tend to follow strategies laid out by the so-called BIG THREEentertainment agencies responsible for the proliferation of the Hallyu Wave. The second phenomenon pertains to the Japanese Chika Idorus or underground idols, utilizing the business model of idols you can meet, pioneered by Japanese girl group AKB48. Secondly, both Jung-so idols and Chika idorus have loyal grass-root fandoms consisting of males in their 30s and 40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how Korean Jung-so idols and Japanese Chika idorus are (1) produced and represented by entertainment agencies and media; (2) how male fans in their 30s and 40s consume them; and (3) what kind of socio-cultural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rom their fandom culture and masculinity. To obtain relevant data, an ethnographic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in Korea and Japan for a period of a year and a half. The field research included participant observation in online and offline fan communities; in-depth interviews with (a) producers and staff of Jung-so idols and Chika idoru agencies (b) male fans in their 30s and 40s.
Firstly, Jung-so idols and Chika Idorus emphasize the process of improving after debut, packaged as friendly and more approachable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bigger entertainment agencies. However, due to Korea's stringent public expectations of idols, Jung-so idols undergo rigid training programs and short breaks before releasing a new album in order to perfect their skills as performers. Jung-so idols are also expected to keep a certain distance with fans by limiting physical contacts and interaction time. In contrast, Chika idorus often debut with amateurish performance skills since Japanese idol culture tends to emphasi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experienced yet sincere youngsters. Via online and offline media, Chika Idorus are also represented as friendly and relatable people, often revealing their weakness and even illness to fans. Depending on how much money they are willing to pay, fans are also allowed time to share intimate physical contacts with Chika Idoru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Jung-so idols and Chika Idorus gave rise to three types of fans who engage in fan activities in different ways: The first category consists of dedicated supporters identifying themselves with hard-working idols. In the case of Korea, due to the breaks between album releases, withdrawal to other fandoms was relatively frequent, and the amount of expenditure for fan activities was not large. Different from Jung-so idols, Chika Idorus fans tend to be very loyal, willing to spend much money for their idols and their own benefits.
The second category and third categories are closely related. The former regards idols as friends or pseudo-girlfriends while the latter sexually objectify the idols. These fan activities were made in much more blatant and public ways in Japan than in Korea, as the distance between Jung-so idols and fans are kept at a certain level, while in Japan, fans are allowed to spend time or share physical contacts with Chika idorus like real friends or couples. Unlike Jung-so Idols, which enjoys a crowd of mixed gender fans, Chika idoru idol fans are predominantly male. This niched fan base causes fans to interact with female idols with a lack of common societal checks.
Thirdly, the three kinds of fan activities of these male fans exhibit the traits and implications of their masculinity within each countries social geography. Majority of these male fans were socially peripheralized with defects due to reasons such as look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ancial ability, age, etc. Fan activities help relieve them of these deficiencies. As for the first category, the dedicated supporters, Korean male fans seemed to be socially, financially unstable and therefore tried to satisfy their desire for recognition by making fan artworks or hosting events. Japanese male fans, in contrast, were rather socially, financially established yet feeling stagnant because of it. This trait led them to set themselves as economic sponsors for hard-working Chika idorus and experience vicarious pleasure of fulfilling dreams.
For the second category of fans, who regard idols as friends or pseudo-girlfriends, it was found that in many cases, both Korean and Japanese male fans tend to be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pecifically, most were far from dating and marriage, or were losing interest in dating and marriage due to their immersion in fan activities. Interacting with friendly idols resolves many deficits caused by the lack of heterosexual relationships.
The third category of fans are those who sexually objectify idols. They tend to be men who have had difficulties with women in their own lives.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se men tend to resolve their defects by holding contempt toward hegemonic men and pretty young women. Some may choose to worship these pretty young women instead. Differing from Korea, Japanese men tends to resolve their deficits through the sex industry. Such tendency encourages men to perceive young and pretty women as someone to offer pleasure and comfort for men.
While these socially peripheralized male fans tend to unite as a group of members enjoying the same sub-culture, there was also a hierarchy in between them. In Korea, age group and appearance are factors that divide the hierarchy. Japan follows similarly with the addition of economic power. So for these reasons, these male fans masculinity can be explained as complicit masculinity, as it is far from hegemonic masculinity yet solidifies the existing gender hierarchy between men and women, and among men.
In conclusion, the male fandom culture temporarily resolves the heterosexual and patriarchal desires of socially peripheralized men so that they are not pushed to the periphery of society. However, it seldom reached out to pursuing altruistic values ​​such as creating social contribution through mutual solidarity or seeking alternative masculinity.
This study has three significance. First, it analyzed how Korea and Japan formed idol cultures that were similar to each other yet specified in their own ways. Second, it presen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test trends of idol culture and fandom culture based on vivid, abundant data derived from field research. Third, it presents an analysis of fan activities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male fandoms in their 30s and 40s, which have been academically neglected so far.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masculinity studies in both countries. However, since there is a limit that representativeness may be insufficient due to the limited observa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part should be supplemented in follow-up studies.

keywords : K-POP, Idol Culture, Otaku, Male Fandom, Masculinity
Student Number : 2017-28345
-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지속적인 상호영향 속에서 형성되어온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 문화가 갖고 있는 유사성 및 특수성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바탕으로, 현 시점 양국의 아이돌 문화와 팬덤 문화가 지니는 특징과 사회 문화적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 산업 및 팬덤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목격되는 현상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2000년대 후반 국내외적으로 큰 성과를 거둔 인기 아이돌들의 사업 모델을 활용한 후발 주자들이 대거 등장하였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10대, 20대의 청소년이나 여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기존의 팬덤 문화와는 달리 30대, 40대의 성인 남성들을 중심으로 한 팬덤 문화도 생겨났다는 점이다. 한국의 경우, 대형 기획사 출신의 인기 아이돌 그룹들과 유사한 수많은 중소 아이돌들과 그를 소비하는 삼촌팬들이 있고, 일본의 경우 AKB48로 대표되는 만나러 갈 수 있는 아이돌의 사업 모델을 활용하는 수많은 지하 아이돌들과 그를 향유하는 남성 오타쿠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양상에 착안하여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이 기획사에 의해 어떻게 운영 및 재현되는지, 그를 소비하는 30대, 40대 남성 팬덤이 어떤 방식으로 팬 활동을 하는지, 해당 팬들의 남성성이 지닌 특성과 그로부터 도출해낼 수 있는 사회 문화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약 1년 반 동안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 산업의 관계자들 및 30대, 40대 남성 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과 온오프라인에서의 참여 관찰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은 모두 성장 서사가 강조되며, 대형 기획사의 인기 아이돌과 대비되는 친근하고 접근성이 높은 대상으로 재현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하지만 중소 아이돌의 경우 퍼포머로서의 실력과 완벽한 우상으로서의 모습이 강조되어야 하는 한국 아이돌 문화의 특성상 노래와 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연습생 제도와 공백기가 존재하고, 아이돌과 팬이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이나 나눌 수 있는 스킨십의 정도에 제한을 둠으로써 둘 사이의 거리감을 일정 이상 유지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지하 아이돌의 경우 미숙함과 성실함을 바탕으로 한 성장을 강조하는 일본 아이돌 문화의 특성상 실력이 모자란 채로 데뷔하여 공백기 없이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고, 온오프라인에서 팬과의 훨씬 더 가까운 대상으로 재현되며, 이 과정에서 유약하거나 병리적인 면모가 부각되기도 한다.
두 번째로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 문화의 특수성은 세 부류의 남성 팬들을 만들어냈다. 첫 번째 부류는 아이돌의 성장 서사에 이입하며 서포터 활동을 하는 팬들이다. 한국의 경우 활동기 사이의 공백기 동안 타 팬덤으로의 이탈이 비교적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팬 활동에 드는 지출 금액이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일본의 경우 아이돌들에게 공백기가 없고, 돈을 많이 쓰는 팬들이 혜택을 더 누릴 수 있다는 특성상 팬들의 충성도가 높고 지출 금액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부류는 아이돌을 친구나 유사 연애 대상으로 여기는 팬들이며, 세 번째 부류는 아이돌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팬들이다. 이러한 팬 활동은 한국보다 일본에서 훨씬 더 노골적이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한국의 경우 중소 아이돌과 팬 사이의 거리감이 일정 수준 유지되는 반면 일본의 경우 지하 아이돌과 팬이 실제 친구나 연인처럼 시간을 보내거나 스킨십을 나누는 것이 허용되어서 몰입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에서는 30대, 40대 남성 팬들이 팬덤 문화 내에서 비주류에 해당하여 여성 아이돌을 향한 이성애, 유성애적 욕망을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반면, 일본에서는 해당 팬들이 지하 아이돌 문화의 주 소비층이라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팬 활동 방식은 삼촌팬들과 오타쿠들이 사회 전반과 남성성의 지형 안에서 지니는 의미를 읽어내게 한다. 이들은 모두 각국의 사회적 지형 안에서 주변부로 밀려나있거나 외모, 인간관계, 경제력, 연령 등을 이유로 결함을 지니고 있었기에 세 가지의 팬 활동 방식을 통해 그로부터 비롯된 콤플렉스를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첫째로 성장 서사에 이입하며 서포터의 역할을 하는 부류의 경우, 한국의 삼촌팬들은 아이돌의 성공을 위한 창작이나 이벤트 개최 등과 같은 일을 담당하며 인정 욕구를 충족시키는 경향이 있고, 일본의 오타쿠들은 사회적인 지위와 경제력이 갖춰진 채로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돌을 위해 경제적인 스폰서 역할을 해주며 대리만족을 통한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두 번째로 아이돌을 친구나 유사 연애 대상으로 여기는 부류의 경우, 한국과 일본 모두 인간관계에서 모종의 결핍을 느끼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연애와 결혼 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거나, 팬 활동에 몰입하느라 연애 및 결혼 시장에서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로 인한 결핍을 친근하게 재현되는 아이돌과의 소통을 통해 해소하고 있었다.
셋째로 아이돌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부류 중에는 삶의 영역에서 여성을 소유하지 못 하거나 어려워하는 남성들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이 느끼는 남성으로서의 결함은 한국의 경우 헤게모니적 남성 대한 분노나 젊고 예쁜 여성에 대한 숭배와 멸시를 통해 폭력적으로 표출로 해소되는 경우들이 목격되는 반면, 일본의 경우 스스로에 대한 체념과 더불어 젊고 예쁜 여성으로 즐거움과 위안을 얻도록 부추기는 자국의 성산업을 즐김으로써 해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삼촌팬들과 오타쿠들이 같은 문화를 향유하는 집단의 구성원이자 사회에서 주변화된 남성들이라는 점은 집단을 결속시키기도 했지만, 남성 팬덤 내에서도 결함이 있는 남성들은 더더욱 주변화되는 경향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국의 경우 연령대와 외모가 위계를 나누는 요인이 되며, 일본의 경우 여기에 경제력이 더해진다. 위와 같은 정황을 보았을 때, 이들의 남성성은 남성과 여성, 남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기존의 젠더적 위계나 남성성의 지형을 공고히 하는 공모적 남성성이다. 이들의 남성 팬덤 문화는 사회적으로 주변화된 남성들의 이성애적, 가부장적 콤플렉스를 일시적으로 해소해줌으로써 그네들이 더욱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나지 않게 해주지만, 상호 연대를 통한 사회 공헌 등의 이타적인 가치 창출이나 새로운 대안적 남성성의 모색이 일어나는 모습은 좀처럼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서로 유사하면서도 각자의 특수성을 지닌 아이돌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하였고, 생생한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최신 동향의 아이돌 문화와 팬덤 문화에 대한 비교 분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그간 등한시 되어왔던 30대, 40대 남성 팬덤의 구체적인 팬 활동 방식 및 사회 문화적 함의에 대한 분석을 제시함으로써 양국의 남성성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관찰 대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표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해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어 : K-POP, 아이돌 문화, 삼촌팬, 오타쿠, 팬덤, 남성성
학 번 : 2017-28345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2. 논의의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4
제 1 절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 문화 4
1. 한국의 아이돌 문화와 중소 아이돌 4
2. 일본의 아이돌 문화와 지하 아이돌 10
제 2 절 한국과 일본의 남성 팬덤 문화 20
1. 한국의 삼촌팬 문화 20
2. 일본의 오타쿠 문화 24
제 3 절 한국과 일본의 남성성 29
1. 코넬의 남성성 이론 29
2. 한국의 지배적 남성성의 형성 35
3. 일본의 지배적 남성성의 형성 39
3. 연구 문제 45
4. 연구 방법 46
1. 한국: 여성 중소 아이돌 그룹과 30대40대 삼촌팬들 46
2. 일본: 여성 지하 아이돌 그룹과 30대40대 남성 오타쿠들 51
5. 연구 결과 57
제 1 절 한국 중소 아이돌과 일본 지하 아이돌의 비교 57
1. 한국 중소 아이돌의 운영 및 재현 방식 57
2. 일본 지하 아이돌의 운영 및 재현 방식 68
3. 소결론 81
제 2 절 한국 삼촌팬과 일본 오타쿠의 비교 81
1. 한국 삼촌팬의 팬 활동 및 소비 방식 81
2. 일본 삼촌팬의 팬 활동 및 소비 방식 93
3. 소결론 105
제 3 절 한국 삼촌팬과 일본 오타쿠의 남성성 비교 106
1. 일본 오타쿠들의 남성성 106
2. 한국 삼촌팬들의 남성성 117
3. 소결론 128
6. 결론 130
제 1 절 연구의 요약과 의의 130
1. 연구의 요약 130
2. 연구의 의의 131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35

참고 문헌 137
Abstract 146
-
dc.format.extentvii, 15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K-POP-
dc.subject아이돌 문화-
dc.subject남성성-
dc.subject삼촌팬-
dc.subject오타쿠-
dc.subject팬덤-
dc.subjectIdol Culture-
dc.subjectOtaku-
dc.subjectMale Fandom-
dc.subjectMasculinity-
dc.subject.ddc070-
dc.title한국과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의 남성 팬덤에 대한 비교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f Male Fans in their 30s and 40s of Korean "Jung-so Idol" and Japanese "Chika Idoru"-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unkyu Lee-
dc.contributor.department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1-02-
dc.title.subtitle중소 아이돌의 삼촌팬과 지하 아이돌의 오타쿠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626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626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