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도르노의 부정적 참여예술론 : Adornos Negative Engagement Theory: focusing on Art before and after Auschwitz
아우슈비츠 전후의 예술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온

Advisor
신혜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테오도르 아도르노비동일성자율적 예술참여예술(앙가주망)사르트르의 참여예술론아우슈비츠와 예술Theodor W. AdornoNon-identitythe Autonomy of ArtEngagementSartre’s Engagement TheoryAuschwitz and Ar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1. 2. 신혜경.
Abstract
Adorno is well known for the saying that "To write poetry after Auschwitz is barbaric." Contrary to common misconception, however, he does not condemn art in general after tragic events. Rather, in Adorno's aesthetics, art is treated as the only breakthrough to the inhumanity encountered by contemporary society. Then, what art is Adorno criticizing and, on the contrary, what art does he promote?
Adorno's theory of art emphasizes the autonomy of art enough to be referred to as autonomous art theory. According to him, each artwork has 'identity with itself'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in society through its own inner form. This distinction is what the autonomy of art means, and it is only through autonomy that a work of art can enable a painful experience that science or ethics cannot provide. For Adorno, pain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non-identities deviating from the identity required of all individuals are excluded or repressed due to such differences, such as Shoah(Holocaust).
The autonomous art that Adorno refers to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onstellations of key concepts such as 'determinate negation', 'semblance', 'expression', and 'absolute commodity'. According to him, an autonomous work of art is formed as a kind of unity through its inner form, even though it cannot be called by the name of any other object('semblance'), and at the same time contains contradictory or fragmentary elements within itself('expression'). At this time, by naturally asserting that the work is useless for anything, it is possible to question the commodity fetishism through a helpless existence('absolute product'). Since art always seeks to become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society at the time, it takes a position of determinate negation toward such a society.
Adorno's criticism of engagement is also based on the autonomy of art. In particular, Sartre, who is a major target of criticism in 「Engagement」(1965), argues that the artist should also reveal his position on the negative situation of the times through art, but in Adorno's view, his engagement theory undermines the autonomy of art. On the basis of the engagement theory that conveys the artist's determination to the reader through the work, the form and self-identity, which Adorno assumes as the essence of the work of art, are degraded or blurred. According to Adorno, a work of art can bring some social and political effect, but this is only an incidental expecta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work does not try to incite something by itself. If a work of art becomes a medium for actively asserting something, it is no longer autonomou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k and the proclamation becomes ambiguous.
According to Adorno's theory, this paper discusses Chaplin's film and Brecht's play as examples of cultural industry and engagement, while Kafka's novels as examples of autonomous art. In the case of Chaplin and Brecht, not only the artist's intention through the work, such as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Audience, is not achieved because of that intention, and the work remains insufficient in the essential aspect of the art of form. In the case of Kafka, on the other hand, the work is not explained or understood by any logical causality, and Adorno sets two principles in Kafka's work: the 'literal principle' and the 'hermetic principle'. In short, the two principles refer to the autonomy of works of art, and Adorno argues that only through this can the incomprehensibleness of Kafka's work be able to exist as an 'expression of pain' without being reduced to mere proverb or message.
By adhering to the autonomy of art to distance from society and criticizing engagement to intervene in society as art, Adorno paradoxically shows the social and political possibilities of autonomous works of art. Through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that examines his theory of autonomous art and criticism of engagement together with examples of works, Adorno's aesthetics are presented as a significant indicator of autonomous and participatory art that continues to this day.
아도르노는 아우슈비츠 이후에 서정시를 쓰는 것은 야만적이라는 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흔히 오인되는 바와 같이 그가 비극적 사태 이후의 예술 일반을 비난하는 것은 아니다. 도리어 아도르노의 미학에서 예술은 동시대 사회가 맞닥뜨린 비인간성에 대한 유일한 돌파구로서 다루어진다. 그렇다면 아도르노가 비판하는 예술은 무엇이며, 반대로 그가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예술은 어떤 것인가?
예술에 관한 아도르노의 이론은 통상 자율적 예술론으로 불릴 만큼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각 예술작품은 고유한 내적 형식을 통해 사회의 여타 사물들과 구별되는 자기 자신과의 동일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별이 바로 예술의 자율성이 의미하는 바인데, 자율성을 통해서만 예술 작품은 과학이나 도덕이 제공할 수 없는 고통의 경험을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도르노에게 있어 고통이란 모든 개체에게 요구되는 동일성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비동일자가 그러한 차이로 인해 배제되거나 억압되는 상황, 예컨대 쇼아(혹은 홀로코스트)와 같은 현상을 가리킨다.
아도르노가 말하는 자율적 예술은 규정적 부정, 가상, 표현, 절대적 상품 등의 핵심 개념들의 성좌를 통해 이해 가능하다. 그에 따르면 자율적 예술 작품은 어떤 다른 사물의 이름으로도 칭할 수 없음에도 내적 형식을 통해 일종의 단일체로서 형성되며(가상), 동시에 모순적이거나 파편적인 요소들을 자체 내에 포함하고 있다(표현). 이때 작품은 무엇에도 쓸모가 없기를 태생적으로 자처함으로써 무력한 존재를 통해 도리어 상품 사회에 대해 반문할 수 있게 된다(절대적 상품). 예술은 언제나 당시의 사회로부터 다른 것이 되기를 추구하기 때문에 그러한 사회에 대한 규정적 부정의 입장을 띠게 된다.
아도르노가 참여예술을 비판하는 근거 역시 자율성에 있다. 특히 「앙가주망」(1965)에서 주요한 비판 대상이 되는 사르트르는 예술가 역시 예술을 통해 부정적인 시대 상황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아도르노가 보기에 그의 참여예술론은 예술의 자율성을 손상시킨다. 작품을 통해 작가의 결의를 독자에게 전달한다는 참여예술론의 기조 위에서라면 아도르노가 예술작품의 본질로 상정하고 있는 형식과 자기 동일성 등은 부차적인 것으로 격하되거나 그 자취가 흐려지기 때문이다. 아도르노에 의하면 예술작품이 어떤 사회·정치적 효과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이는 작품이 스스로 무엇인가 선동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단지 부수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바에 불과하다. 예술작품이 무엇인가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위한 매체가 된다면, 그것은 더 이상 자율적인 것이 아니며 작품과 선언문 사이의 차이는 모호해진다.
이 같은 아도르노의 주장에 따라 본고는 채플린의 영화와 브레히트의 연극을 각각 문화산업과 참여예술이라는 타율적 예술의 사례로, 다른 한편 카프카의 소설을 자율적 예술의 사례로 논의한다. 채플린과 브레히트의 경우 관객의 현실 자각과 같이 작가가 작품을 통해 의도하는 바가, 다름 아닌 그 의도로 인하여 성취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형식이라는 예술의 본질적 측면에서도 작품은 부족한 것으로 남게 된다. 반면 카프카의 경우 작품은 어떤 논리적 인과성으로도 설명되거나 이해되지 않는데, 아도르노는 이러한 카프카의 작품에 문자 그대로의 원칙과 밀폐 원칙이라는 두 가지 원칙을 설정한다. 요컨대 두 원칙은 예술작품의 자율성을 가리키며, 아도르노는 이를 통해서만 카프카의 작품이 가진 불가해성이 어떤 격언이나 메시지 등으로 환원되지 않고 고통의 표현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고 논한다.
사회로부터 거리를 가지려는 예술의 자율성을 고수하고, 예술로써 사회에 개입하고자 하는 참여예술을 비판함으로써 아도르노는 역설적으로 자율적 예술작품의 사회·정치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의 자율적 예술론과 참여예술 비판을 작품의 사례와 함께 검토하는 본고의 논의를 통해, 아도르노의 미학은 현재에도 계속되는 자율적 예술과 참여예술에 관한 하나의 유의미한 지표로서 제시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