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경쟁이 규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petition on Regulation - Focusing on Economic Regulations in Korean Industry
한국산업의 경제적 규제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일웅-
dc.contributor.author김나리-
dc.date.accessioned2021-11-30T05:11:43Z-
dc.date.available2021-11-30T05:11:43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59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624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5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1. 2. 권일웅.-
dc.description.abstractTodays world is surrounded by various kinds of regulations.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regulation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es that empirically analyze the theories on why we have regulations. In addition, there are previous studies that classify regulations by types based on various criteria, but there is limited literature on why such types of regulations are created,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creation of these types of regulations.
The main theories that explain the reasons for the existence of regulations are the public interest theory, the capture theory, and the general theory that combines the two. The theory of public interest argu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s in the form of regulations exist in order to amend market failure. On the contrary, capture theory has the view that the government introduces regulations by being captured by the group of producers. These two theories are representative theories related to regul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empirically verifies whether these two theories can properly reflect the Korean reality.
When looking into the Korean regulation literature, the theory of excessive or cutthroat competition is often mentioned. This theory says that the government introduces regulations to prevent competition from overheating.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logic behind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 based on the theory of excessive competition seems to be still controversial, and it appears that the negative views on such government intervention are domina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specific regulations affect the country and industries. However, if we understand what circumstances create regulations and what influences the creation of specific types of regulations, we can clearly explain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and the effects we want to achieve through these regulations.
In particular, if it is possible to empirically define which characteristics of an industry influence the creation of regulations based on industrial statistical data, it will be easier to identify the types of regulations that are created more easily in the industry simply by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Such an analysis can help governments introduce regulations that may be more effective in a particular industry depending on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hen analyzing existing and newly developing industries, it is possible to predict in advance what regulations will be required by looking into the features of the industry. This kind of prediction can be useful in policy design.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frame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regulation based on the regulation theories, and analyzed it empirically using Korean regulatory and industrial data.
First, this paper analyzed how the degree of competi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affects the creation of regulations. In addition, it verified whether the employment level of the industry has a controll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Second, by further categorizing the degree of competition, the effect of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industry on the regulation was analyzed in more precise and comprehensive manner.
Third, using actual Korean regulatory data, the public interest theory, the capture theory and the excessive competition theory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equal basis.
Fourth,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entire Korean industry to have general implications beyond one specific industry.
Fifth, to verify each theory in more detail, not only the total number of regulations but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each type of regulation were additionally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ree models design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regulations in the industry, no results were obtained in support of the theory of public interest. The derived results were in support of the capture theory 1 and 2 and the theory of excessive competi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regulations introduced in the Korean industry can be explained by the capture theory and the theory of excessive competition. This suggests that Korean regulations can be introduced both by the companies or governments initiative. But in case of governments initiative, it is peculiar that the excessive competition theory better explains this phenomenon than the public interest theory.
While the efforts of companies to capture regulatory authorities and introduce regulations are rather natural, it is somewhat cautious to evaluate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is active in regulating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based on the theory of excessive competition follows the logic that by preventing the excessive market entry, the welfare of society can be improved. There are already some previous studies that sees this logic problematic, and there are many negative views on such government intervention.
The fact that this empirical result can explain the current state of regulation in Korean industry through the theory of excessive competition show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a strong tendency to take the lead in controlling the market.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Korean government are more concerned about excessive competition than monopoly. This result has a great importance as it derives a peculiarity in the regulation of Korean industry. It shows that the government has a strong will to prevent excessive competition by introducing regulations.
In this study, a regulation database was constructed using a vast amount of Korean regulatory data that was not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The regulatory data were additionally categorized by regulation types. Thanks to thi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existing regulatory theories in detail.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matching regulatory data to each industry. Through this, it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scope of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by verifying the existing regulatory theories.
Finally, showing that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industry influences the creation of regulations using overall industry data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It is particularly vital that the degree of competition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it into three different stages, so that the concept of competition could be dealt more comprehensively and in more detail. Whereas the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effect of regulation on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an industry, this study further expand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regulation by revealing that the degree of competition has an effect on regulation.
In addition, it is also meaningful to find that the level of employment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regulation. This shows that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industry can strengthen or weak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on and regulation of the industry. Therefore, it implies that various characteristics of an industry must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regulatory policies.
Above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analyzes which regulatory theory can better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regulation.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dict what kind of regulations can be created just by grasping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an industry. In addition, it can be helpful for short-term and long-term policy formulation as it is possible to know the background and purpose why the regulation was created.
However, these research results have certain limitations because the regulatory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limited to currently valid regulations. Although methodologically, there w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ingle-year regulatory dat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actual historical data will deviate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Unfortunately, as of now, Korea's past regulatory data are not openly managed or available to the public. As neither the entire nor the types of regulation lists are accessible,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expand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urthermore,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analyze the impact of each type of regulation on a specific industry to find out more suitable regulatory types for each industry. Hopefully, the result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regulatory reform in the future and provide directions for identifying, developing and introducing more appropriate regulations for each industry.
-
dc.description.abstract규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 함께하고 있다. 그 동안 규제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왜 규제가 생기는지에 대한 이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규제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유형별로 분류하는 연구는 존재하나, 왜 그러한 유형의 규제가 생기는지, 그리고 어떠한 환경이나 요인이 다양한 유형의 규제를 만드는 데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다.
규제의 존재 이유와 관련된 이론은 크게 공익이론, 포획이론 그리고 이 둘을 조합한 일반이론이 있다. 공익이론은 시장실패를 교정하기 위해 규제를 활용해서 정부의 개입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포획이론은 생산자 집단의 요구에 의해 정부가 포획되어 규제를 도입한다는 관점이다. 이러한 두 가지 이론은 규제와 관련된 대표적인 이론이다. 그러나 이 두 이론이 우리나라 현실에 실제 적용되는지 여부를 국내 자료로 실증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이다.
한국의 규제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면, 과당경쟁이론이 많이 언급이 된다. 과당경쟁이론은 경쟁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규제를 도입한다고 보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과당경쟁이론에 의한 규제도입에 대한 논리적 근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정부의 개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특정 규제가 국가와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이해를 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런데 이에 앞서 어떠한 환경이 규제를 만드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어떠한 상황이 특정한 유형의 규제를 만드는 지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다면 해당 규제의 존재 이유와 해당 규제를 통해 얻고자 하는 효과를 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산업 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업의 고유한 특성들이 규제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면, 산업의 고유한 특성을 잘 이해하는 것을 통해 해당 산업에서 더 쉽게 생성되는 규제의 종류를 파악하기가 용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정부가 해당 산업에 더 효과적일 수 있는 규제를 도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산업뿐만이 아니라 새롭게 발전하는 산업을 분석할 때에도, 그 산업의 특성을 기반으로 어떠한 규제가 필요할지 미리 예측할 수 있어서 정책수립에 활용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규제이론을 바탕으로 경쟁과 규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분석틀을 세우고, 이를 한국 규제 데이터와 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본 논문은 산업의 특성 중 하나인 경쟁정도가 규제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를 산업의 고용수준이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둘째, 경쟁정도를 더 세분화하여 산업의 경쟁정도가 규제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실제 한국 규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익이론, 포획이론, 그리고 과당경쟁이론을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특정 산업이 아니라 전체 한국 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각 이론을 더 세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체 규제 개수뿐만이 아니라 유형별 규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산업의 경쟁정도 변화와 규제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3개의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공익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는 얻지 못하였으며, 포획이론 1, 2와 과당경쟁이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최근 한국 산업에 도입된 규제는 포획이론과 과당경쟁이론에 의해 설명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는데, 이것은 한국의 규제가 기업 또는 정부 주도로 규제가 도입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런데 정부 주도로 규제가 도입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을 공익이론보다는 과당경쟁이론이 더 잘 설명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기업들이 규제당국을 포획하여 규제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반면, 정부가 경쟁이 심화되는 것을 규제하는데 적극적이라는 점은 다소 평가하기가 조심스럽다. 과당경쟁이론에 의한 규제도입은 시장으로의 과당진입을 방지하여 사회후생을 증진시켜야한다는 논리를 따르는데, 이러한 논리의 오류에 대한 선행연구가 이미 다수 존재하며, 과당경쟁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정부가 규제를 통해 시장에 개입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증결과를 통해 한국 산업의 규제 현황을 과당경쟁이론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은 그만큼 한국 정부는 시장을 주도적으로 통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경쟁이 낮아지는 것보다 높아지는 것을 더 적극적으로 규제하는 것으로 보아 독점보다는 과당경쟁에 대한 우려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규제도입 과정에서 과당경쟁 방지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한국의 산업의 규제에서 특이점을 도출하여 의미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활용되지 못한 방대한 한국 규제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고 모든 규제를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따라서 기존 규제이론을 세부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산업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은 규제 데이터를 각 산업에 매칭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규제이론의 적용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 산업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의 경쟁정도가 규제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경쟁정도를 세 개의 단계로 나누어 분석을 하여, 경쟁을 보다 세부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포괄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규제가 산업의 경쟁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면, 본 연구는 경쟁정도가 규제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경쟁과 규제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더욱 확장하였다.
이와 더불어 경쟁정도와 규제 간의 관계를 고용수준이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한 점도 의미가 있다. 이는 산업의 또 다른 특성이 산업의 경쟁정도와 규제 간의 관계를 강화 또는 약화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규제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반드시 산업의 다양한 특성을 다방면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경쟁정도와 규제 간의 관계를 어떤 규제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산업의 경쟁정도만을 파악하더라도 어떠한 규제가 생성될 수 있을지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그 규제 생성의 배경과 목적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 및 장기적인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활용한 규제 자료가 현재 유효한 규제만으로 제한되어 있어 한계점이 있다. 단일 연도 규제 데이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보완을 시도하였지만, 실제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분석의 결과와는 편차가 클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아쉽게도 현재 시점으로 한국의 과거 규제 자료는 유형별로는 물론이고, 전체 목록조차도 관리 또는 구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결과를 더욱 다양한 방면으로 확장하고 적용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본 분석에서 더 나아가 각 규제의 유형이 특정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업 특성별 더 적합한 규제유형을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방법이 근간이 되어 향후 규제개혁에 도움이 되고, 각 산업별 더 적합한 규제를 개발하고 도입하는데 방향을 제시하게 되길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2 장 규제이론과 선행연구 4
제 1 절 규제이론 4
1. 공익이론 4
2. 포획이론 5
3. 경제규제이론과 일반이론 6
4. 과당경쟁이론 7
제 2 절 선행연구 9
1. 규제와 경제의 관계에 대한 연구 9
2. 규제완화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11
3. 규제와 기술혁신의 관계에 대한 연구 15
4. 한국의 산업별 규제에 대한 연구 17
5. 규제이론을 비교하는 연구 28

제 3 장 규제의 정의와 현황 20
제 1 절 규제의 정의와 분류 20
제 2 절 규제 현황 24

제 4 장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26
제 1 절 연구대상 26
1. 경쟁과 규제의 관계 27
2. 시장구조와 경쟁 28
3. 경쟁과 규제의 관계에 대한 규제이론 30
제 2 절 분석방법 42
1. 모형-1 산업의 경쟁과 규제 간의 관계 검증 45
2. 모형-2 산업의 경쟁과 유형별 규제 간의 관계 검증 46
3. 모형-3 산업의 경쟁정도와 규제 간의 관계에서 고용 수준 변화의 조절효과 검증 50

제 5 장 연구자료 및 변수설명 54
제 1 절 연구자료 54
1. 규제 데이터 55
2. 규제유형별 분류 56
3. 산업별 규제분류 56
제 2 절 변수설명 59
1. 종속변수 59
2. 독립변수 60
3. 조절변수와 상호작용변수 62
4. 통제변수 63

제 6 장 분석결과 66
제 1 절 기초분석 66
1. 규제 변수의 분포 분석 66
제 2 절 기술통계 72
1. 변수 기술통계 72
제 3 절 상관관계 분석 73
1.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73
제 4 절 실증분석 결과 80
1. 모형-1 산업의 경쟁정도 변화와 산업 내 전체 규제 변화와의 관계 검증 결과 80
2. 모형-2 산업의 경쟁정도 변화와 산업 내 유형별 규제 변화와의 관계 검증 결과 82
3. 모형-3 산업의 경쟁정도 변화와 전체 규제 변화와의 관계에서 고용수준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89

제 7 장 결론 95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95
1. 산업의 경쟁정도와 규제의 관계 95
2. 산업의 경쟁정도와 가격 및 거래규제의 관계 95
3. 산업의 경쟁정도와 진입규제의 관계 96
4. 산업의 경쟁정도와 진입규제의 관계에서 고용수준의 조절효과 97
5. 총론 97
제 2 절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99


참고문헌 101
부록 107
Abstract 145
-
dc.format.extentx, 15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익이론-
dc.subject포획이론-
dc.subject과당경쟁이론-
dc.subject정부규제-
dc.subject규제유형-
dc.subject경쟁-
dc.subjectPublic Interest Theory-
dc.subjectCapture Theory-
dc.subjectExcessive Competition Theory-
dc.subjectGovernment Regulation-
dc.subjectTypes of Regulation-
dc.subjectCompetition-
dc.subject.ddc350-
dc.title경쟁이 규제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Competition on Regulation - Focusing on Economic Regulations in Korean Industr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Nari-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1-02-
dc.title.subtitle한국산업의 경제적 규제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행정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595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595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