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 및 인식 변화 분석 : A study on the interaction and perception change of stakeholder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서울역일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서계동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경

Advisor
김세훈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시재생거버넌스상호작용근거이론Urban regenerationgovernan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21. 2. 김세훈.
Abstract
As the urban planning paradigm shifted from urban development to urban regeneration, various stakeholders emerged in the c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as, all residents become direct parties and stakeholders of the projec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governmen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cooperation and governance among the propellants and promoting field-oriented projects. As part of tha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such as an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was introduc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site even in areas that the public could not directly manage. Residents were given the role of leading the project, not the beneficiaries who accepted public projects unilaterally. The various residents who appeared in this way interacted with the subjec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various ways in order to satisfy their own interests.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ey participat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 way they learned, and their perceptions of urban regeneration also changed. Since these interactions and perceptions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m effectively.
Seogye-do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a suitable for analyzing the interactions of stakeholders. It is included in the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 around Seoul Station, and in terms of urban space, it is a hilly residential area in the western part of Seoul Station, and a space that has a unique place where residential, industrial and commercial coexist behind Seoul Station.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residents, which are divided into residents, sewing industry workers, and merchants, are very clear, and there are various aspects of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due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located behind Seoul Station, attempts to fully develop in Seogye-dong have been continu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refore, at the urban regeneration site in Seogye-dong, a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en in progress for five years, it can be seen that the subjec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residents of various interest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is study, by applying ground theor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an inductive research methodology, it is not only to describe the interactions that are exposed on the surface, but to capture the perceptions of each subject and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he factor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interact in depth .
As a result,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Seogye-dong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was seen that the perception of each stakeholder changed through the period of formation, intensification, and stalemate of cooperation and conflict. In Seogye-dong, the strong will of the administration to promot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Station area, and the fact that there was no development activity due to the long-term development restrictions were combined, resulting in a very multi-stakeholder dynamic structure. Stakeholders experience differ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they have created a more multidimensional governance structure by themselves through appropriate interaction strategies. In the process, stakeholders, such as residents, merchants, and sewing industry workers, contacted and cooperated through different channels, and had a multi-faceted and fluid interaction that was free from the initial urban regeneration support and opposition structures.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suggest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progr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the field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in progress. In addi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the field, we tried to analyze the stakeholders actually active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a, and this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basic data that can be referenced not only in Seogye-dong but also in other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as.
도시계획의 패러다임이 도시개발에서 도시재생으로 전환되면서 도시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도시재생사업지역에서는 모든 주민들이 사업의 직접적인 당사자이자 이해관계자가 된다. 정부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추진 주체 간 협력과 거버넌스 구축을 중요시하며 현장 중심의 사업을 추진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 일환으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 특별법)]에 따라 도시재생지원센터와 같은 중간조직을 투입하여 공공이 직접 관리할 수 없는 부분까지도 현장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민에게는 공공의 사업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수혜자가 아닌, 사업을 이끌어가는 주체로서의 역할이 주어졌다. 그렇게 등장한 여러 주민주체들은 각자의 이익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주체와 상호작용하였다. 그 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해 각자가 터득한 방식으로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였으며, 각자의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였다. 이 상호작용과 인식들은 도시재생사업을 진행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서계동은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도시재생사업지역이다. 서울역일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포함되며, 도시공간적으로는 서울역 서부의 구릉지 주거지역이자, 서울역의 배후에 주거·산업·상업이 공존하는 독특한 장소성을 띄고 있는 공간이다. 거주민, 봉제산업 종사자, 상인으로 나뉘는 주민들의 특성과 이해관계의 차이는 매우 분명하며,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는 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서울역의 배후에 입지한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서계동에는 전면개발하려는 시도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서계동의 도시재생 현장에서는 5년간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면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주체와 다양한 이해관계의 주민들이 각기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이자 귀납적 연구방법론인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상호작용을 서술하는데 그치지 않고, 각 주체들의 인식을 포착하여 협력과 갈등의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서계동 도시재생사업에서는 협력과 갈등의 형성기, 심화기, 교착기를 거치며 각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이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서계동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행정의 강한 의지와 서울역 일대라는 입지적 특성, 오랜기간 개발제한규제로 인해 개발행위가 없었던 점 등이 결합되어, 매우 다원적인 이해관계자간의 역학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이해관계자들은 각기 다른 도시재생에서의 참여를 경험하며, 그에 맞는 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스스로 더욱 다차원적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냈다. 그 과정에서 주민·상인·봉제업 종사자 등의 이해관계자가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해 접촉하기도 하고, 협력하기도 하며 초기의 도시재생 찬성·반대 구조에서 벗어난 다면적이고 유동적인 상호작용을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현장에서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재생사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장에서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실제로 도시재생사업지역에서 활동하는 이해관계자들을 분석하고자 했으며, 이는 서계동뿐만 아니라, 타 도시재생사업지역에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33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6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