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별과 의료보장유형이 저소득층의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ender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on Unmet Health Care Needs among Low-income Adults in South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창엽-
dc.contributor.author김진우-
dc.date.accessioned2021-11-30T06:39:22Z-
dc.date.available2021-11-30T06:39:22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447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657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47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1. 2. 김창엽.-
dc.description.abstract사회경제적 위치와 무관하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가 국민의 기본권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게 되면서, 국가는 사회구성원 누구든지 필요할 때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게 되었다. 한국은 전 국민건강보험이 실시되어 국민의 의료이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성별 간 의료 필요 및 접근성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성별은 그 자체로 건강의 주요한 결정 요인일 뿐만 아니라 의료접근성에도 독립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지금까지 국내 연구는 단순히 남녀 간의 건강과 의료이용의 차이만을 기술하였으나, 성 불평등과 차별로 인한 건강 능력의 손실에 대한 폭넓은 조망이 필요하다. 특히 저소득 여성은 낮은 소득과 불안정한 근로 환경과 더불어 돌봄 역할 등 다중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의료접근성이 취약할 가능성이 있다.
저소득 개인이 동일한 의료보장유형에 속하였을 때 경제적 접근성이 같을 것이라는 가정에도 불구하고, 성별 간 다른 의료 필요 및 접근성으로 인하여 미충족의료 경험에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소득층의 성별과 의료보장유형에 따라 미충족의료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성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미충족의료경험의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의료패널 2017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저소득 개인의 성별과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미충족의료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카이제곱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각각 성별을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여성과 남성에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종속변수는 미충족의료경험 여부이며, 주요 독립변수는 성별과 의료보장유형이다. 의료보장유형은 가입자에 따라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의료급여 1종과 2종, 차상위경감대상자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저소득 개인에서 성별과 의료보장제도유형에 따라 미충족의료 발생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으며(OR=1.23), 직장가입자에 비하여 지역가입자(OR=1.36), 의료급여 1종 수급자(OR=1.33)와 차상위경감대상자(OR=1.64)가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성별을 분리하여 분석하였을 때, 저소득 여성은 직장가입자에 비하여 지역가입자의 미충족의료 경험 가능성이 높았으나(OR=1.55), 저소득 남성의 경우 의료보장유형은 미충족의료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수준 0.1에서 여성일수록 지역가입자일수록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저소득 개인의 성별과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미충족의료 경험의 관계를 파악하여 저소득 여성의 의료접근성 사각지대를 조명한 기초자료로써, 저소득 여성의 의료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Regardless of socioeconomic location, the right to us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has been accepted as one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The government established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people to access the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when necessary. South Korea 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servic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Meanwhile, there wa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need and accessibility of health care services between genders.
It is a well-known fact that gender is not only a major determinant of health in itself but also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described differences in health and medical use between men and women, but a broad view of the loss of health capacity due to gender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is necessary. In particular, low-income women may have poor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 by conducting multiple roles such as caring roles along with the unstable working conditions with low incom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unmet health care needs by gender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Then, it examined if this difference differ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makes an assumption that even though low-income adults belong to the same typ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o they have identical economic accessibility, their unmet health care needs will differ by gender.
2017 Korea Medical Panel data was used for thi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unmet health care needs of low-income individuals by gender and typ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by stratified gender.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 care need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der and typ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type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were classified to the employee insurees, local subscribers, medical aid type 1 and type2, and lower-income group.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of unmet health care needs in low-income individuals depending on gender and typ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Women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 care needs than men (OR=1.23). The local subscribers (OR=1.36), medical aid type 1 benefits recipients (OR=1.33), and the low-income group who receive the exceptional benefit(OR=1.64)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 care needs than employ insurees.
In the gender-stratified models, low-income women who are local subscriber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 care needs(OR=1.55), while low-income men, the type of national insura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nmet health care needs. This study also evaluated whether gender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and unmet health care needs with a multiplicative interaction term (gender*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The multiplicative interaction ter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on unmet health care needs among low-income adults in South Korea. The knowledge generated from such studies will help policymakers to develop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policies to reduce disparities in health care accessibility for low-income men and wome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초 록 i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II. 이론적 배경 6
1. 미충족의료 6
1) 미충족의료의 개념과 측정방법 6
2) 앤더슨과 뉴먼의 보건의료이용 모형 8
2. 성별과 의료접근성 12
1) 건강 결정요인으로서 성별 12
2) 성별에 따른 의료접근성 선행연구 15
3. 의료보장유형과 의료접근성 19
1) 의료보장제도의 개념과 의의 19
2) 의료보장제도의 유형 19
3)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미충족의료의 선행연구 23
III. 연구방법 28
1. 연구 자료 및 대상 28
1) 연구 자료 28
2) 연구 대상 28
2. 연구 가설 및 모형 33
3. 변수의 구성 34
1) 종속변수 34
2) 독립변수 34
3) 통제변수 35
4. 분석방법 38
IV. 연구결과 41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2. 미충족의료경험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 48
3. 저소득층의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요인 52
4. 저소득 여성의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요인 55
5. 저소득 남성의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요인 57
6. 조절효과 분석 60
V. 결론 및 고찰 62
1.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62
2.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72
참고 문헌 74
부 록 81
Abstract 87
-
dc.format.extentvii, 9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충족의료-
dc.subject저소득층-
dc.subject성별-
dc.subject젠더-
dc.subject의료보장유형-
dc.subject여성건강-
dc.subjectUnmet health care needs-
dc.subjectLow-income-
dc.subjectGender-
dc.subjectSex-
dc.subject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dc.subjectWomen’s health-
dc.subject.ddc614-
dc.title성별과 의료보장유형이 저소득층의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Gender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on Unmet Health Care Needs among Low-income Adults in South Korea-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nwoo-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1-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447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447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