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cline of Welfare State in Neoliberal Context in Never Let Me Go : Never Let Me Go에 나타난 신 자유주의 맥락 속 복지국가의 몰락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준영

Advisor
민병천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NeoliberalismThatcherismWelfare StateNever Let Me GoKazuo IshiguroAmerican Optimism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21.8. 나승준.
Abstract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마 』Never Let Me Go (2005)는 그의 소설 중 가장 현대적으로, 존재했을 법한 1990년대 후반 영국을 배경으로 한다. 『남아있는 나날』 The Remains of the Day (1989)에 만연한 반대처리즘(Anti-Thatcherite) 정서를 이어가면서 이시구로는 영국인의 삶에 깊숙이 녹아 든 신자유주를 비판하고 있다. 이 소설은 인간에게 장기기증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복제인간인 주인공들이 신자유주의의 담론인 자유와 자아 실현을 쫓아가지만 결국 그들을 멸망으로 이끄는 시스템의 잔인함을 묘사한다. 또 신자유주의적 환상이 무너진 후 환멸에 찬 주인공들이 내린 결정을 통해 헤게모니의 대안적 반응을 시사한다.
최근 몇몇 비평가들은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서 나타나는 대안 현실의 역사적 배경을 전후 영국사에 등장했던 복지국가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 점은 이 소설에서 묘사되는 헤일샴 (Hailsham) 기숙학교의 온화한 환경과 그 이후 기증자에게 주어지는 간병인들의 역할 등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 이러한 비평가들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영국 복지 체제의 기능과 양상이 어떻게 이 소설에 반영되는지에 초점을 맞춰 이 소설을 읽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다른 비평가들은 이 소설의 역사적 배경을 대처 정권 이후에 등장한 신자유주의적 헤게모니로 보면서 자아 실현이나 개인주의 같은 신자유주의적 이상이 어떻게 개진되는가에 초점을 두고 소설을 읽으려 한다. 본 논문은 이 두 주장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소설에 담긴 보다 포괄적인 역사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 두 관점을 다 같이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본 논문은 복지 국가와 신자유주의가 공히 이 소설의 역사적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이시구로 본인이 "미국의 낙관주의"라 칭했던 현대 세계를 지배하는 헤게모니에 대해 이 소설이 어떻게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지를 살피려고 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시기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 후반으로 주인공이 헤일샴에서 보내는 유년시절부터 본격적으로 일을 시작하기 전 코티지(cottage)라는 곳에서 보내는 청년기, 그리고 간병인과 기증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성인기로 나뉜다. 이는 역사적으로 볼 때, 복지국가의 쇠퇴에서 대처와 메이저 정부 아래 신자유주의로의 급격한 전화, 그리고 신자유주의가 여전히 번영하였던 블레어 정권으로의 시기와 맞물리기에 본 논문은 『나를 보내지마』를 헤게모니의 강압으로 인한 개인의 분리와 정체성 상실을 비판하는 문화적 텍스트로 분석하려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간 순서를 따라 우선 복지구가의 가치와 기능을 헤일샴과 비교하고 헤게모니로 정렬되는 주인공들의 태도와 가치관을 분석하며 기증자 혹은 간병인이 된 주인공들이 보는 기괴한 이미지들로 깨어져버린 신자유주의 이상을 설명하려 한다. 마지막으로는 각성된 주인공들의 태도를 통해 헤게모니에 반하는 대안적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Given a version of Britain that might have existed,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2005) takes place in the most contemporary period of all his novels: late-1990s Britain. Continuing the anti-Thatcherite discourse present in The Remains of the Day (1989), Ishiguro criticizes neoliberalism embedded deeply into the daily life of contemporary Britain. The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s (clones destined to donate organs for humans) that rehearse the neoliberal rhetoric of freedom and self-empowerment but end up facing the Systems cruelty that eventually leads to their destruction (they die after giving their last donation). Decisions made by disillusioned characters after their neoliberal fantasies break apart serve as an alternative response to hegemony.
Many critics point to the welfare state as the contemporary historical account that the alternative reality of the novel reflects in the current political climate. The benign environment of Hailsham (the boarding school for clone that the narrator spends her childhood in) and the role as a carer are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System that still continues today: Britains welfare state. Such critics focus on how the function of the current welfare system is reflected in the novel. Others point to the neoliberal hegemony of the contemporary society as its historical backdrop. In that case, they focus on one aspect of neoliberal ideal that promote free market economy, such as self-aspiration or individualism. Since both claims are not contradicting one another, I claim that both perspective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give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history the novel reflects. Hence, my thesis focuses on both the welfare state and neoliberal ideals to reveal authors critical attitude toward a contemporary hegemony which he calls in an interview American optimism.
Flashback in the novel covers a period starting from the late 1970s to late 1990s, corresponding to three different periods in the story and broadly overlapping with three historical years: the last years of the Welfare State, the years of drastic neoliberal turn under Thatcher and Major administrations, and the following years where neoliberal ideals still prospered under Blair administration. I map the three critical periods in the story to these historical moments to argue that Never Let Me Go is a cultural text that reveals individuals alienation and their loss of identity coerced by neoliberalism.
My thesis unfolds as follows. Following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story, the first part compares the values and functions of Hailsham to those of the Welfare State before the neoliberal turn. The second part analyzes the changes in each of the main characters realigning themselves to the ideals promoted by the System. The third chapter depicts images of dismantled freedom and self-empowerment to reflect disillusioned state of each character from their neoliberal ideals. Finally, the last chapter analyzes the response of each disillusioned characters when they are fully aware of their political stance to suggest an alternative response to the hegemony.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5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2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