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튜브로 페미니즘 하기 : 유튜브로 페미니즘 하기
페미니스트 유튜브 채널 구독자 경험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다해

Advisor
김수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페미니스트 유튜버유튜브 페미니즘20대 여성마이크로셀러브리티정동 공동체관계 맺기feminist youtuberyoutube feminismwomen in their 20’smicro-celebrityaffective communit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21.8. 김수아.
Abstract
Since the 2010s, feminism has emerged as a major value for women in their 20s.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was possible through the active use of digital media, especially in online communities and social media. Recently, YouTube, a video platform has emerged as a new channel for communication. Along with YouTube becoming a major space in our daily lives, interest in feminist YouTubers has increased among the online feminists, but prior studies on it seems to be insufficient. YouTube has attracted many people's attention with its high accessibility and various contents. However, it also raised concerns that it could be a space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However YouTube's diversity also shows that women's voices, which have not been illuminated by existing media, can be seen.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analyze feminism and feminist communities on YouTube.
First of all, this paper looked at the contents of feminist YouTubers and YouTube feminism. Feminist Youtubers appeared in late 2010s when feminism was actively popularized. They have moved feminism agendas that have been shared in online discourse centers to YouTube space. Those with at least 40,000 to 160,000 subscribers were actively interacting with viewers, sharing their daily lives as a feminist. In addition, their activities, such as holding talk concerts and publishing essay books, wer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online and offline spaces.
The subscribers perceived feminism as a tool to solve daily problems. For women who value authentication through social media more than the need for systematic and professional knowledge, YouTube is an effective tool to share individual experiences and feelings. YouTube is also a place where young feminists could make 'online friends'. Amid the fear of negative thoughts of feminists, confirming the existence of others can relieve loneliness and isolation. Therefore, they recognize each other as friends and share positive emotions. However, the relationship is not always equal because the YouTube community is consisted of celebrities and their viewers. Feminists are wary of such relationships and attempt to make relationships equal. On the other hand, YouTube, which communicates through video, is a space to effectively convey individual emotions. When viewing the presence of speakers through images, viewers can trust the information much more than when it is delivered in writing. In addition, YouTubers' active communication and comment management make viewers feel safe and comfortable.
Tired of attacks on feminists and "unhappiness battles," women were abl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joyful feminism through YouTube. However, subscribers could find a strategy to identify themselves with feminist YouTubers but at the same time keep their distance from their real life. This shows that the stability of YouTube, which is secured by filter bubbles, does not completely relieve the isol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analyzed that the YouTube feminism satisfied the demand to maintain purity of feminist activism without reveal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allowed them to paint a hopeful future. Nevertheless, the practice of identifying oneself with feminist YouTubers and still keeping distance showed that the complete homogeneity of their dreams was impossible, and that the content of happiness still related to neo-liberalism.
2010년대 이후 페미니즘은 20대 여성들에게 있어 주요한 가치로 부상하게 되었다. 페미니즘의 대중화는 디지털 미디어의 적극적 활용으로 가능했는데, 특히나 온라인 커뮤니티나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최근에는 문자 중심의 미디어뿐만 아니라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가 새로운 소통 창구로 부상하고 있다. 유튜브가 우리 일상에 주요한 공간으로 자리 잡은 것과 함께 온라인 페미니즘 담론장 내부에서도 페미니스트 유튜버들에 대한 관심이 늘어갔지만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유튜브는 높은 접근성과 다양한 콘텐츠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이는 반대로 미러링 방송을 진행하던 게임 유튜버 갓건배를 향한 살해 협박 사건 등에서 볼 수 있듯 차별과 혐오의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갓건배 사건에 대항했던 여성들의 연대에서 알 수 있듯이 유튜브의 다양성은 기존 미디어에서 조명하지 않았던 여성들의 목소리를 가시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들의 대항적 목소리에 집중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유튜브 내부의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 공동체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페미니스트 유튜버와 유튜브 페미니즘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들은 페미니즘 대중화가 활발히 진행되었던 2010년 후반에 등장해 온라인 담론장에서 공유되어 온 페미니즘과 관련된 의제들을 유튜브 공간으로 이동시켜왔다. 이 중 가장 인기있는 채널인 과 , 와 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적게는 4만명부터 16만명을 상회하는 구독자를 보유한 이들은 페미니스트로서 살아가는 일상을 솔직하게 공유하며 동시기의 여성 시청자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에세이 서적을 발간하는 등 이들의 활동은 온-오프라인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었다.
20대 여성인 구독자들은 페미니즘을 일상의 불평등을 의미화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페미니즘은 일상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도구이기 때문에 여성학의 지식을 습득하는 것보다 에세이 형태의 쉬운 글이나 유튜브 영상을 보는 것을 주로 한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의 필요성보다 SNS 등을 통해 인증하는 것을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여성들에게 유튜브는 개인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유튜브는 또한 온라인 친구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페미니스트에 대한 부정적 낙인이 두려운 현실 속에서 페미니스트 유튜버와 구독자들의 상호 존재 확인은 외로움과 고립감을 덜어줄 수 있다. 때문에 이들은 서로를 동료로 인지하며 긍정적인 정서를 공유한다. 그러나 유튜브 공동체는 채널을 운영하는 소수의 셀러브리티와 다수의 시청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그 관계가 항상 수평적이지만은 않다. 페미니스트 여성들은 페미니즘 담론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이와 같은 관계를 경계하고 수평적 관계를 꿈꾸며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한편 영상으로 소통하는 유튜브는 개개인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동 공동체의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유튜브를 통해 시청자들은 긍정적인 정서를 공유할 수 있었다. 영상을 통해 발화자의 존재를 확인할 때 시청자들은 활자로 전달될 때보다 정보를 훨씬 더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유튜버들의 적극적인 소통과 댓글 관리 등은 이들이 시청하는 유튜브 공간을 안전한 공간이라 느끼게 해준다.
페미니스트를 향한 공격과 불행 배틀에 지친 여성들은 오락거리(entertainment)인 유튜브를 통해 즐거운 페미니즘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 페미니즘 담론장에서의 에너지 소모에서 벗어나 가볍고 유쾌한 페미니즘이 있는 유튜브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튜브 공간에서 만나게 된 페미니즘은 개개인의 차이를 드러내지 않고 순수한 동일성을 유지하라는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요구와 맞닿아 있었으며, 절망에서 벗어나 희망차고 행복한 미래를 그릴 수 있게 하였음을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스트 유튜버와 자신을 동일시하면서도 여전히 거리를 유지하는 실천을 통해 이들이 꿈꾸는 완전한 동질성이 불가능한 것이며, 행복의 내용이 여전히 신자유주의적이라는 한계를 수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