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주도 역사 전설과 그 본풀이에 나타난 기억서사의 형성원리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inciples of Memory Narratives as Illustrated in the Historical Legends and Bonpuri of Jeju Islan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소윤

Advisor
조현설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제주도역사전설본풀이기억서사형성원리Jeju IslandhistorylegendsBonpurimemory narrativesformation principle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8. 조현설.
Abstract
From Dangshin Bonpuri and the legends of Jeju Island are found many versions of episodes that are based on historic events, such as the entrance of Sambyeolcho into Jeju Island in the Goryeo Dynasty in 1271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Wonjong); Japanese invasions, as represented by the Cheonmipo Japanese Invasion in 1552 of the Choson Dynasty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yungjong); Lee Hyung-sangs removal of Shindangs (shrines) in 1702 (the 2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ookjong); and the Disturbances of the Year of White Ox (Shinchuk) in 1901 (the 5th year of Kwangmu). This indicates that Dangshin Bonpuri and the legends of Jeju Island took a role of evidencing, and reflecting on, the memories of the community while in the absence of official historical records.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term memory narratives as narrativized memories that are verbally transmitted for a long transition period and condensed into a single, specific form of a story. Here this paper attempts to assess aspects of memory narratives and derive the formation principles that enabled the embodiment of the historic events, particularly with an aim to further revamp the existing study of tale branches through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myths and legends.
In Chapter 2, this paper offers a chronological evaluation of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four historic events that are to be discussed hereafter, categorizing them into legends and Bonpuri.
In Chapter 3, this paper evaluates the four aspects of memory narratives. First, in the legend of Sambyeolcho in the Goryeo Dynasty is illustrated a map of a village as a military base around the villages near the Hangpaduri Fortress. The presence of Agi Upge (a girl baby-watcher) who reveals to the Yeomong Allied Forces how to enter the fortress indicates that she had but to leave the fortress for survival. In Dangshin Bonpuri related to Sambyeolcho in the Goryeo Dynasty, there are versions of episodes that intentionally ignore the anti-Mongolian aspects of the historic events. The episodes intentionally neglects the anti-Mongolian context in order to portray Kim Tong-jung as a good person at a time, and as a villain at another occasion.
Second, regard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eju Island, the legend of Tosandang reveals strong disgust held by the outsiders from the Tosan-ri village towards the snake faith of Tosandang. As a result, the existence of the Tosandang goddess is denied even by parts of episodes collected in Tosan-ri. Nevertheless, in the episodes, the existence of the Japanese invaders is specifically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snake faith of Tosandang. With this in consideration, the existence of Jaundang Bonpuri is significant, as the goddess of Tosandang is said to have settled down in Jaundang while on her way to get married as a concubine to the god of Shinpung-ri Bonhyangdang in exchange for the gods thwarting of the Japanese invasion. In comparison, Tosanaldang Bonpuri explains the Japanese invasion as a punishment from the goddess to the village, disregarding the goddess marriage with the god as irrelevant to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legend related to Lee Hyung-sangs removal of Shindangs, there is a version of an episode that talks of Lee Hyung-sangs defeat against Jeju Shindangs, while another version mentions Lee Hyung-sangs victory. This paper has noted that, in the case of the latter version, the legends of other historical figures that previously existed under the name of civilization missions are combined into Lee Hyung-sang. In Bonpuri related to Lee Hyung-sangs removal of Shindangs, his removal is acknowledged and then followed by Bonpuris that discuss the reconstruction of Shindangs, while there are another version of Bonpuri that denies his removal and claims persisting existence of Shindangs. That is, Lee Hyung-sangs removal of Shindangs is occasionally neg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 villages Shindang.
The legend regarding the Disturbances of the Year of White Ox (Shinchuk) points to extraterritorial rights granted to French priests that triggered the rebellion and lawless disorder. In the absence of the existing order in Jeju Island, Lee Jae-soo is remembered as a hero who attempted to address the situation with the laws. In light of this, however, he is relatively little mentioned in Bonpuri. This is because in Godochaebi Bonpuri, the episodes considers Godochaebi, not Lee Jae-soo, to be a hero during the Disturbances of the Year of White Ox (Shinchuk) and therefore to be the ancestral god. This suggests that Bonpuri plays down and conceals Lee Jae-soo, who was executed as a traitor, and instead presents Godochaebi as the warlord ancestral god (Gunwoong ancestral god). In this context, Godochaebi is a shadow hero.
In Chapter 4, this paper combined the considerations discussed above to determine the formation principles of memory narratives by branch. First, the formation principles of memory narratives in legends is false memory. False memory is deeply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place of storytelling which immediately allows inquisitors and audience to argue about an informants oral performance. Considering the hierarchy of Jeju Island residents collective memories in particular, it can be derived that false memory as revealed in the legends displays certain regularities that are centered on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of Jeju Island.
In the case of the removal of Shindangs, Lee Hyung-sang is often confused to be Judge Seo-ryeon and Moksa Ki-gun, and this is noted as false memory despite the presence of obvious evidence such as the monuments of Judge Seo-ryeon or documents of Moksa Ki-gun. Furthermore, the powerful external figure of Jeju Island, Lee Hyung-sang, overwhelms other external figures such as Judge Seo-ryeon and Moksa Ki-gun, revealing indiscriminate perception on the external.In regards to Sambyeolcho, there are multiple external figures, resulting in differentiated perceptions on them. In the legends emphasizing homogeneity between the external that is Sambyeolcho and the internal of Jeju Island, the target Kim Tong-jung attempts to fight is set as an enemy of unclear identity, and thus attempting to reorganize the homogenic external of Sambyeolcho and the internal of Jeju Island into one. In contrast, in the legend emphasizing homogeneity between the external that is Yeomong Allied Forces and the internal of Jeju Island, Kim Tong-jung is defined as the heterogenous external, just like Qin Shi Huang of the Qin Dynasty, and thus r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of Jeju Island.
It is to be noted that Lee Jae-soo was strictly the one that represented the internal of Jeju Island with regards to the Disturbances of the Year of White Ox (Shinchuk). When the Catholic represented the heterogeneous external as the Western modern, the Hanyang regime was recognized as the homogeneous external in comparison. Nevertheless, the ultimate results in which Lee Jae-soo was deemed a traitor by the Hanyang regime and executed triggered the recognition that the Hanyang regime was the homogeneous external with a focus on the external.
With regards to the Japanese invasions, the snake goddess of Naju is the homogeneous external in that she represents a faith with controlling influence on Tosan-ri; and the Japanese forces the heterogeneous external in that they push away the homogeneous external. On another note, in contrast to the external legends evidencing influence of the snake faith of Tosandang, there is a legend in Tosan-ri that claims the snake faith of Tosandang did not exist from the beginning. The legend that states a virgin who turned into a snake forced out the Japanese forces, while denying the existence of the snake faith of Tosandang, suggests the presence of suppressed memory beyond false memory.
Unlike the place of storytelling in which legends are orally performed, the place of a shamanic rite in which Bonpuri is orally performed does not allow immediate arguments when oral statements from a Simbang are different from the memories of inquisitors or audience. In reviewing the formation principles of memory narratives in Bonpuri,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lace of a shamanic rite is a site of ceremony. The formation principles memory narratives in Bonpuri are the foreclosure and traces. First, in a series of Bonpuris, the principle of foreclosure are in place in which certain historic events are perceived to have never occurred. In Bonpuri related to the removal of Shindangs, the context of the Shindang removal is foreclosed in Kimnyeongdang Bonpuri and Duribiletdang Bonpuri. Particularly in Kimnyeongdang Bonpuri, Gochong Chisan (maintenance of ancestral old tombs) is also foreclosed in addition to the Shindang removal, and this is Bonpuris strategy to prevent the connection among the external.
In Bonpuri related to Sambyeolcho, there also exists Bonpuri that forgets the anti-Mongolian context while presenting Kim Tong-jung as a protagonist. Yusuam-ri, a town that was formed as a result of Kim Tong-jungs entrance into Jeju Island, has a memory of the massacre by the Yeomong Allied Forces. Therefore Geumdeok-ri-dang Bonpuri erases the memory of the anti-Mongolian movement in order to pay homage to Kim Tong-jung. The fact that Sambyeolcho was deepl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Yusuam-ri suggests that Sambyeolcho of the Goryeo Dynasty, represented by Kim Tong-jung, might have positioned itself as the compositional external of the village. In contrast, Gonae-ri, a village that took a role of defending against the Japanese forces from ancient times, is a village thats closely related to the Yeomong Allifed Forces, and in Gonae Bonhyangdang Bonpuri, the memory of the anti-Mongolian movement is removed in order to shape Kim Tong-jung as a villain. Conversely, in Gona-ri, it is possible to conjecture that the Yeomong Allifed Forces might have positioned itself at least as the homogeneous external, if not the compositional external.
In relation to the Disturbances of the Year of White Ox (Shinchuk), there is Josangshin Bonpuri (Bonpuri to ancestral gods), that is, Godochaebi Bonpuri. Lee Jae-soo is a figure that represents the internal of Jeju Island, and the fact that he is at the forefront of the history is a distinctive difference from other memory narratives. The problem is that such a figure representing the internal of Jeju Island is recorded as a traitor in history. Godochaebi Bonpuri emphasizes that this Bonpuri fails to acknowledge the Disturbances of the Year of White Ox (Shinchuk) as a sin of the people. From this standpoint, Lee Jae-soo is bound to be foreclosed. What Bonpuri intends to remember is not a hero who was executed as a traitor but a hero who proudly returned home after being awarded the kings rewards.
Not every Bonpuri uses foreclosure as the formation principle. Certain series of Bonpuris retain historic events or historical figures in the form of traces. At this time, the traces mean being remembered to remain, while containing elements of oblivion. Oedo bonhyangdang Bonpuri testified that, despite Lee Hyung-sangs removal of Shindangs, the shrines survived to witness the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in Jeju with villagers. Lee Hyung-sangs arson is a trace that indicates Shindangs persisting existence with the history of the village. It is to be noted that Shindang explains that the cause of Jeju residents suffering during the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was but due to activities of the external of Jeju Island.
As summarized above, this paper discusses the historical legends and Bonpuri of Jeju Islan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concept of memory narratives. While the memory theory has been used as a methodological approach in oral literature, the concept has been only partially discussed and there has rarely been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two branches of legends and myths. Given this, this paper would like to note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memory narratives in oral literature are substantially discussed. The formation principles of memory narratives as suggested by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analysis of other legends and myths. The focus of this paper is specifically limited to the topic of the historical legends and Bonpuri of Jeju Island, however, and expansion of discussions around the materials of memory narratives and further analysis are to be visited at a later time.
제주도 전설과 당신본풀이에는 고려시대 삼별초의 입도[1271년(원종12)], 조선시대 천미포 왜란[1552년(명종7)]으로 대표되는 왜란, 이형상의 신당 철폐[1702년(숙종28)], 신축년 난리[1901년(광무 5년)]와 같이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각편들이 다수 발견된다. 이는 제주도에서 전설과 당신본풀이가 공식적인 역사 기록이 부재한 공동체의 기억을 증언하고 반추하는 역할을 했음을 암시한다. 본고에서는 이렇듯 오랜 전승기간 동안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면서 하나의 특정한 이야기 형태로 집약된 기억을 기억서사라는 용어로 개념화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제주도 역사 전설과 본풀이를 대상으로 기억서사의 양상을 파악하고 해당 역사적 사건의 형상화를 가능하게 한 기억서사의 형성원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전설과 신화라는 갈래에 따른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기왕의 설화 갈래 연구를 한층 쇄신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네 가지 역사적 사건과 관련한 자료들을 전설과 본풀이로 나누어 시간순으로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기억서사의 네 가지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고려시대 삼별초와 관련한 전설에서는 항파두리토성 인근 마을들을 중심으로 군사기지로서의 마을 지도가 그려진다. 특히 여몽연합군에게 항파두리토성으로 들어갈 방도를 알려주는 아기업게는 그가 생존을 위해 성 밖으로 나설 수밖에 없었음을 암시한다. 한편, 고려시대 삼별초와 관련한 당신본풀이들에서는 의도적으로 항몽의 맥락을 망각하는 각편들이 존재한다. 때로는 김통정을 선인으로 그려내기 위해, 때로는 김통정을 악인으로 그려내기 위해 항몽의 맥락을 지우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주도에서 벌어진 왜란과 관련하여 토산당 관련 전설에서는 토산리 마을 외부인들의 토산당 뱀신앙에 대한 혐오가 강하게 드러난다. 이로 인해 토산리에서 채록된 일부 각편에서조차 토산당 여신의 존재는 부정된다. 그럼에도 이들 각편에서는 마을 여성을 겁탈하는 왜구의 존재가 명시되어 있다. 에서는 토산당 여신이 왜란을 막아준 보답으로 신풍리 본향당의 남신에게 첩으로 시집을 오던 중 자운당에 눌러앉게 되었다고 구송한다. 이에 맞서서 에서는 왜구의 침입을 여신이 마을 사람들에게 주는 징벌로, 따라서 여신과 남신의 혼인을 왜구의 침입과는 무관한 일로 설명한다.
이형상의 신당 철폐와 관련한 전설에서는 제주 신당에 대한 이형상의 패배를 말하는 각편이 있는가 하면 이형상의 승리를 말하는 각편이 있다.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후자의 경우에 문명화 사명들이라는 기치 아래 이전에 존재하던 다른 역사적 인물들의 전설들이 이형상으로 규합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형상의 신당 철폐와 관련한 본풀이에서는 이형상의 신당 철폐를 인정하면서 그 이후로부터 신당의 재건을 말하는 본풀이들이 있는 한편, 이형상의 신당 철폐를 부정하면서 신당의 영속을 말하는 본풀이들이 존재한다. 곧 마을 신당의 목적에 따라 이형상의 신당 철폐 역시 때로는 생략되는 것이다.
신축년 난리 관련 전설에서는 난의 시발점으로 무법천지의 사태를 가져온 프랑스 신부들의 치외법권을 지적한다. 그로 인해 기존 제주도의 법이 증발되어버린 상황에서 이재수는 그 스스로가 법으로 사태를 해결하려 했다는 점에서 영웅으로 기억된다. 이에 비추어볼 때 상대적으로 본풀이에서 이재수는 잘 호명되지 않는다. 에서는 이재수가 아닌 고도채비라는 인물을 신축년 난리의 영웅으로 기억하여 조상신으로 모시고 있는 것이다. 이는 본풀이가 역적으로 죽임을 당한 이재수를 은폐하고 그 대신 고도채비를 군웅조상신으로 내세우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고도채비는 이재수의 그림자 영웅이다.
이상의 고찰을 종합하여 4장에서는 기억서사의 형성원리를 갈래별로 규명하였다. 우선 전설 기억서사의 형성원리는 오기억이다. 오기억은 제보자의 구연 내용에 대해 조사자나 청중의 논쟁이 즉각적으로 허용되는 이야기판의 성격과 관련이 깊다. 특히 제주도민의 집단기억이라는 층위를 고려하면 전설에 드러나는 오기억은 제주도 내부와 외부를 중심으로 나름의 규칙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신당 철폐의 경우 이형상이 서련 판관, 기건 목사와 혼동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서련 판관의 기념비나 기록 문헌이라는 명백한 증거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오기억이다. 더욱이 이형상이라는 강력한 제주도 외부는 서련 판관이나 기건 목사와 같은 다른 외부를 압도하는데 여기서 드러나는 것이 외부에 대한 무차별적 인식이다.
삼별초와 관련해서는 복수의 외부가 등장하는데 이에 따라 이들에 대해서는 차별적 인식이 나타난다. 삼별초라는 외부와 제주도 내부 사이에 동질성을 강조하는 전설에서는 김통정이 싸우는 대상을 실체가 분명하지 않은 적군으로 설정함으로써 삼별초라는 동질적 외부와 제주도 내부를 하나로 재편하려 한다. 반면 여몽연합군이라는 외부와 제주도 내부 사이에 동질성을 강조하는 전설에서는 김통정을 진나라 진시황과 같은 확실한 이질적 외부로 규정함으로써 제주도 내외부의 관계를 정립한다.
신축년 난리와 관련하여 이재수는 철저히 제주도 내부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천주교가 서구적 근대로서 이질적 외부를 표상한다면 그와 비교할 때 한양 조정은 동질적 외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한양 조정에 의해 이재수가 역적으로 규정되고 처형되는 결말은 한양 조정이 외부에 방점이 찍히는 동질적 외부임을 자각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왜란과 관련해서 나주 출신의 뱀여신은 이미 토산리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신앙이라는 점에서 동질적 외부를, 왜구는 그런 동질적 외부를 밀어낸다는 점에서 이질적 외부를 상징한다. 그런데 토산리에는 토산당 뱀신앙의 위력을 증언하는 외부의 전설에 맞서 토산당 뱀신앙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전설이 존재한다. 토산당 뱀신앙의 존재를 부정하면서도 뱀으로 변한 처녀가 왜구를 쫓아냈다는 전설에는 그러한 오기억 너머로 억압된 기억이 있음을 암시한다.
본풀이가 구송되는 굿판은 전설이 구연되는 이야기판과 달리 심방의 구술이 조사자 혹은 청중의 기억과 다르다고 해서 즉각적인 논쟁이 벌어지지는 않는다. 본풀이 기억서사의 형성원리를 검토하는 데 있어서 본풀이가 불리는 굿판이 의례의 현장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본풀이 기억서사의 형성원리는 바로 폐제와 흔적이다. 일련의 본풀이들에서는 해당 역사적 사건을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인식하는 폐제의 형성원리가 작동한다. 신당 철폐 관련 본풀이에서 신당 철폐의 맥락이 폐제된 것은 와 이다. 특히 에서는 신당 철폐뿐 아니라 고총 치산도 폐제되어 있는데 이는 외부 사이의 연결성을 차단하기 위한 본풀이의 전략이다.
삼별초 관련 본풀이에서도 김통정을 등장인물로 내세우면서도 항몽의 맥락을 망각하는 본풀이들이 존재한다. 김통정의 입도로부터 설촌이 된 유수암리는 여몽연합군에 의한 학살의 기억이 있다. 따라서 는 김통정을 숭앙하기 위해 항몽의 기억을 지운다. 유수암리의 설촌에 삼별초가 깊숙이 개입했다는 사실은 김통정으로 대표되는 고려 삼별초가 이 마을의 구성적 외부로 자리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와 반대로 지형상 예로부터 왜적을 방비하기 위한 마을이었던 고내리는 여몽연합군과 긴밀히 연결된 마을로서 에서는 김통정을 악인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항몽의 기억을 없앤다. 역으로 고내리에서는 여몽연합군이 구성적 외부였다고까지 말할 수는 없어도, 적어도 동질적 외부로 자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신축년 난리 관련 본풀이에서 이재수를 폐제하고 있는 것은 이다. 신축년 난리는 제주도 내부를 상징하는 인물이 역사의 전면에 나선 사건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인물이 역사에 역적으로 기입된다는 사실은 문제적이다. 본풀이가 기억하고 싶은 것은 역적으로 형장의 이슬이 되어버린 영웅이 아니라 임금의 어사품을 하사받고 당당하게 귀향한 영웅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재수는 폐제될 수밖에 없다.
특정한 본풀이들은 역사적 사건 혹은 역사적 인물을 흔적의 형태로 간직하고 있다. 이때 흔적은 기억되어 남은 것을 뜻하면서도 그 안에 망각의 요소를 포함한다. 는 이형상의 신당 철폐에도 불구하고 신당이 살아남아 마을 주민과 함께 4.3사건을 목격했다고 증언한다. 이형상의 방화는 신당이 마을의 역사와 함께 영속했음을 주지하는 흔적인 것이다. 주목할 것은 신당이 4.3사건 당시 제주도민이 겪은 고통의 원인에 대해 제주도 외부의 행적으로 설명한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본고에서는 기억서사라는 개념을 통해 제주도 역사 전설과 그 본풀이를 다각도로 논의하였다. 그동안 구비문학에서 기억이론이 방법론으로 원용된 적이 있지만 전설과 신화라는 양 갈래를 대상으로 한 총괄적인 논의는 드물었다. 이러한 사실을 상기하면 본고는 구비문학에 나타난 기억서사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 제시한 기억서사의 형성원리는 다른 전설과 신화 해석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억서사 관련 자료의 확장과 한 단계 심화된 논의는 차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