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캠페인 속 역할모형의 특성과 기술규범 제시가 정신건강 전문서비스 이용 증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Descriptive Norms and Attributes of Role Model in Campaign on Promoting the Use of Professional Mental Health Services
인물의 따뜻함과 유능함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라윤

Advisor
이준웅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신적 어려움따뜻함유능함기술규범수직적 동일시자기낙인사회적 낙인WarmthCompetenceProfessional Help SeekingSocial S tigmaSelf-stigmaRole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1.8. 이준웅.
Abstract
What should the health campaign focus on in order to promote health behavior which is stigmatized as "weak" and "incompet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what attributes a campaign character should have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a message that we should seek professional help when struggling with mental health issues.
Previous studies tend to focus only on the effects of "testimony of treatment and recovery" obtained from those who experienced mental health problems or on the effect of celebrities' treatment confessions. In the hope of reducing stigma, those used to put up a person, who lives a normal life in spite of mental difficulties, as a speaker for the campaign message. There are few researches that examine what attributes the character should have specifical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offset the stigma effect and bring positive effects to attitude, social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y introducing a character with certain attributes which inspire others to willingly emulate those as a main speaker for the health campaign message. Accepting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social perception of person assessmen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attributes, "warmth" and "competence", the study formulated the research hypothesis and questions about the effects on self-stigma, social stigma, attitude, social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with the two attributes and presentation of descriptive norms for professional help seeking as the experimental variable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it adopted an experimental design that consider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 2(Presentation of 'competence' information: Yes/No) * 2(Presentation of 'warmth' information: Yes/No) * 2(Presentation of descriptive norms for professional help seeking: Yes/No). 621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belonging to a survey respondent panel of an online research compan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1) with regard to self-stigma, the main effect of experimental treatment 'warmth' was found, and with regard to social stigma, the interaction effect of 'warmth' and 'competence' was found. (2) As for the perceived injunctive norm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help seeking, the main effect of presentation of warmth, competence, and descriptive norms was found. (3) In case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oth the main effect of competence, warmth, and presentation of college students' descriptive norm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help seeking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factors were found not to be significant. (4) As for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main effect of experimental treatment 'competence' and 'warmth' was found.
The study, also, verified whether vertical identifi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superiority has a greater effect on professional help seeking-related intention,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stigma, and social stigma than horizontal identifi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similarity. As a result, (5) it was found that horizontal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the intention of professional help seeking, while it didn't have any on the other variables. On the other hand, it indicated that vertical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the variables.
Also, path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ith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verify if vertical identification mediates the effect of presentation of norms, warmth, and competence on the variables. (6)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vertical identific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rmth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related social stigma, self-stigma, injunctive norm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ation of competence and social stigma, self-stigma, injunctive norms, attitude, and intention. It also was verified that i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ation of norms and self-stigma, injunctive norms, attitude, and intention
(7)Lastly, it clarifi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ey variables by using a path mode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social stigma and self-stigma was confirmed. To be more specific, social stigma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help seeking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fessional help seeking-relat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while self-stigma had a negative effect directly on all the variables. (8) Self-stigma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related intention,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college students' perceived injunctive norms.
나약한 행동, 무능력한 일 등으로 낙인이 찍힌 건강행위를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건강 캠페인를 해야 할까. 이 연구는 정신적 어려움을 겪을 시 전문적 도움을 추구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캠페인의 등장인물이 어떤 속성을 갖추면 좋은지 탐구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정신적 문제를 경험한 인물의 치료회복 증언 효과만을 살피거나, 유명인의 치료고백 효과를 연구하는 데 치중했다. 낙인을 감소하기 위해서 정신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삶을 순조롭게 영위하는 인물을 캠페인 메시지의 화자로 내세우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인물이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천착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기꺼이 본받고 싶은 속성을 지닌 인물을 건강 캠페인 메시지의 화자로 내세움으로써 낙인효과를 상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태도, 사회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데 착안했다. 인물 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따뜻함과 유능함이라는 두 차원으로 이루어진다는 선행연구를 수용해서, 이 두 속성과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기술규범 제시를 실험변수로 삼아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사회적 규범, 태도, 지각된 행위통제, 그리고 행위의도 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설과 질문을 설정했다.
연구방법으로 2(유능함 정보 제시 : 유, 무)x2(따뜻함 정보 제시 : 유, 무)x2(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기술규범 제시: 유, 무) 등 총 3요인 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실험설계를 채택했다. 온라인 리서치 회사의 응답자 패널에 가입한 20대 대학생 621명이 실험에 참여했다.
연구결과, (1) 자기낙인에 대해서는 따뜻함 실험처치가 미치는 주효과를 발견했고, 사회적 낙인에 대해서는 따뜻함과 유능함의 상호작용 효과를 발견했다. (2)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한 지각된 제재규범과 관련해서는 따뜻함·유능함·기술규범 제시의 주효과를 발견했다. (3) 지각된 행위통제에는 유능함과 따뜻함,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한 대학생 기술규범 제시의 주효과와 요인들 간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태도와 행위의도에 대해서는 유능함과 따뜻함의 실험처치 주효과를 발견했다.
이 연구는 또한 우월성 지각을 바탕으로 한 수직적 동일시가 유사성 지각을 기반으로 한 수평적 동일시보다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한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과 사회적 규범, 태도,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5) 수평적 동일시는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변수들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수직적 동일시는 모든 변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따뜻함, 유능함, 규범제시가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수직적 동일시가 매개하는지를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매개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6)수직적 동일시는 따뜻함과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한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제재규범, 태도, 행위의도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직적 동일시는 유능함 제시와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제재규범, 태도, 의도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수직적 동일시는 규범제시와 자기낙인, 제재규범, 태도, 의도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 간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한 사회적 낙인은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한 지각된 행위통제 및 태도와 행동의도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지만, 자기낙인은 모든 변수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8) 자기낙인은 사회적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한 지각된 대학생의 제재규범, 태도, 지각된 행위통제, 의도와의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5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9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