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컨틴전트 모빌리티(Contingent Mobility) : Contingent Mobility: Do Ho Suh and the Rise of Migrant Artist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서도호와 세계화 시대 이주 작가의 부상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희

Advisor
장진성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서도호이주 작가세계화디아스포라유목주의글로컬리즘장소 특정적 미술Do Ho Suhmigrant artistglobalizationdiasporanomadismglocalismsite specific ar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1.8. 장진성.
Abstract
The 1990s and early 2000s witnessed the great emergence of migrant artists in the world art scene. However, art communities had no coherent attitudes towards them. While migrant artists were often called diasporic artists because of their association with uprooting, they were also regarded as nomadic artists as if they were navigating without any constraints. They were even referred to as glocal artists, as they were considered successful in representing both the global and the local.
This thesis explores Do Ho Suhs international activities in the late 1990s and early 2000s within this complex historical context in which migrant artists were situated in the globalized art world. Tracing Suhs itinerary focusing on the four cities he visited―Los Angeles, Seoul, Venice, and London, it closely analyzes Suhs works as well as the ways in which they were received in Asia, Europe, and North America. This study examines the ambivalent nature of Suhs art in terms of its migrant image. While his fabric homes deal with nostalgia and longing, they can also be understood as cosmopolitan artworks in that these homes travel freely from one country to another with their titles increasing as they move. This duality is also conspicuous in his other works―Who Am We?, Public Figures, Floor, Some/One―in relation to the global and the local. While they are deeply associated with his experience in Korea, they simultaneously evoke global circumstances, effectively using the Western artistic language. This study argues that this ambiguity allowed art communities to see him as a diasporic artist, a nomadic artist, and a glocal artist respectively. It must be noted, however, that art communities in each city shared common interests although they reacted to Suhs presence and his artworks in different ways. They were all concerned with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world art scene through Suh in the midst of the emergence of migrant artists.
In fact, it was not simply because of his migrant identity that Suh won international acclaim. Though rarely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transportable site-specific art, the key concept that Suh suggested for his fabric homes, also played a crucial role. Through this concept, he was not only able to powerfully visualize his personal experience of moving from Korea to the United States, but also able to engage with the aesthetic discourse on site specific art that sparked a heated debate in the art world at the moment. Furthermore, this concept attracted the interest of curators who tried to generate a sense of uniqueness, originality, and authenticity for their exhibitions by promoting site specific art. Before examining his peripatetic activities, this study revisits the artists preliminary work for fabric homes. It brings to light how Suh developed his artistic language of transportable site-specific art in dialogue with the American art scene of the early 1990s, which is an important aspect that has been widely neglected. This thesis analyzes how his idea aroused diverse interests and discussions from the art world during his trip.
This thesis sets itself at odds with previous studies that have viewed Suhs global rise as a result of the artists strategic incorporation of Koreanness or Asianness into his works. Instead, it argues that his international success was achieved through cross-cultural interplay in which art communities strove to find their own ways to engage in the international art scene when migrant artists rose to prominence.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rise of migrant artists beyond the Western/non-Western and the global/local binary.
서도호는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전반 사이에 세계적으로 부상한 작가이다. 본 논문의 목표는 서도호의 부상을 세계화 시대에 이주 작가들이 처한 복잡한 지형 속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로스앤젤레스, 서울, 베니스, 런던을 중심으로 아시아, 유럽, 북미 지역에서 서도호가 전개한 활동을 추적하면서 그의 작업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미술계의 반응을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이주 작가들은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받았다. 그러나 그들에 대한 미술계의 시선은 단일하지 않았다. 이주 작가들은 한편으로는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하는 존재로 비춰지면서 디아스포라(diasporic) 작가라고 불렸다. 그들은 다른 한편으로는 한 지역에 얽매이지 않고 활동하는 코스모폴리탄이라고 하여 노마드(nomadic) 작가로 논의되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그들은 글로벌과 로컬을 조화롭게 접목했다고 평가받으면서 글로컬한(glocal) 작가라고 이야기되었다.
서도호는 디아스포라 작가, 노마드 작가, 글로컬한 작가로 모두 인식될 수 있었다. 이것이 가능하였던 이유는 그의 작업이 지닌 모호한 성격 때문이었다. 가령 천으로 된 집 작업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서도호를 디아스포라 작가로 바라볼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이 작업은 한 곳에 얽매이지 않고 계속해서 이동한다는 점에서 그를 노마드 작가로 조명하게 하기도 했다. 이러한 양가적인 성격은 글로벌과 로컬의 관계에서 보았을 때 , , , 등 그의 다른 작업들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작업들은 서도호가 한국에서 겪은 경험들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이 작업들은 서구 미학을 활용하면서 인류 보편적인 상황을 비추기도 한다. 이 작업들은 이처럼 글로벌과 로컬의 성격을 모두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서도호를 글로컬한 작가로 인식할 수 있게 했다. 서도호의 작업들이 지닌 다양한 성격은 그가 전 지구적으로 주목받는 작가가 될 수 있었던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이주 작가가 중요하게 다루어지던 이 시기에 큐레이터, 평론가, 갤러리스트는 필요에 따라 서도호를 디아스포라 작가, 노마드 작가, 글로컬한 작가로 다르게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서도호가 각 지역에서 다른 모습으로 비춰졌던 것은 바로 이 같은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서도호가 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활동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그가 이주 작가라는 점과 관련된 것만은 아니었다. 비록 기존 연구에서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이동 가능한 장소 특정적 미술(transportable site-specific art) 개념은 서도호가 미술계의 이목을 끈 또 다른 주요한 요인이었다. 서도호는 천으로 된 집 연작의 요체였던 이 개념을 통해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경험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그는 이 개념을 통해 당시 미술계에서 중요한 화두였던 장소 특정적 미술 논의에도 참여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개념은 장소 특정성에 기대어 전시에 유일무이함, 독창성, 진정성과 같은 가치를 부여하고자 했던 큐레이터들이 서도호에게 관심을 보인 이유이기도 했다. 본 논문은 서도호가 천으로 된 집 작업의 예행 프로젝트를 시행했던 1995년으로 돌아가 이동 가능한 장소 특정적 미술 개념이 1990년대 전반 미국 미술계의 지형 속에서 어떤 원리로 구상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울러 필자는 본론에서 서도호가 활동하는 내내 이 개념이 미술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관심을 촉발했음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서도호가 작업에 한국성 또는 아시아성을 전략적으로 표방하여 세계적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는 기존의 해석과는 거리를 두었다. 서도호의 부상은 이주 작가를 통해 미술계의 국제적인 논의에 참여하고자 했던 큐레이터, 평론가, 갤러리스트가 함께 만든 초국가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서구 대 비서구, 글로벌 대 로컬의 이분법적인 관점을 극복하고 이주 작가의 부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3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