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번안창극의 상호문화적 공연 양상 연구 : A Study of the Intercultural Performance Aspects of Translated Changgeuk
2000년 이후 국립창극단의 공연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봉금

Advisor
양승국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번안창극국립창극단상호문화적대중화세계화보편적 음악극수용가능성동시대성translated changgeuk (번안창극)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국립창극단)interculturalpopularizationglobalizationuniversal musical playacceptabilitycontemporaneity.
Abstract
이 논문은 국립창극단에 의해 2000년 이후에 공연되었던 번안창극의 공연에서 드러난 상호문화적 공연 양상을 고찰하였다. 2002년, 창극 100년과 창단 40주년을 맞은 국립창극단은 세계화 시대의 창극을 만들자는 명확한 전략을 세우고 보다 광범위하고 개방적인 시각으로 다양한 창작창극을 시도하기 시작한다. 상호문화적 특징을 지닌 번안창극의 실험작업도 이러한 창작창극의 한 형태에 속하기에 그 동안 그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다른 일반적인 창작창극과 함께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동안 동시대성과 세계화를 지향하는 차원에서 연구한 경우도 있었지만, 상호문화적인 차원에서 깊이있게 고찰한 경우가 드물었다. 평등한 의식을 지니며 상이한 문화를 서로 존중하는 글로벌 시대에 타문화의 텍스트를 창극화하는 작업은 단순히 20세기 초에 동아시아 삼국에서 있었던 그런 타문화에 대한 난용이나 도용에서 벗어나 문화 소통의 전제하에 타문화의 유용한 부분을 이용해서 자문화의 예술 발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발전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작품을 다른 창작창극과 함께 결합하여 고찰하는 것 외에, 그를 하나의 독립된 유형으로 삼아 그들이 상이한 문화 텍스트 사이에 존재하는 시대적 차이와 문화 차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각색상의 전략을 취하였는지, 어떠한 상호문화적 공연 양상을 드러내었는지,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Ⅱ장에서는 중요한 극적 요소이자 극적 텍스트의 구체화 단계인 플롯의 각색 전략을 살펴보았다. 먼저, 작은 장면을 단위로 번안창극의 플롯을 원작의 플롯과 대비하여 각색 과정에서 드러낸 세부적 변화 양상들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색 과정에서 일어난 플롯의 상호문화적 양상 변화는 물론, 인물과 무대 양태의 일부 변화도 어느 정도 파악하게 되어 후속의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맥락을 제공해주었다.
Ⅲ장에서는 극중인물의 발화와 몸짓, 움직임, 분장, 머리 스타일을 중심으로 인물 캐릭터의 상호문화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비교적 복잡한 인물 양상에 대해 더 선명한 분석을 이루기 위하여 그들의 인물 관계를 기초로 하여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욕망과 사랑 앞에서 양면성을 드러내는 가족 내의 여성들, 온갖 수난을 겪는 과정에서 정신적 성숙을 이루는 전쟁 중의 여성들, 양극화된 각색 양상을 드러낸 동서양 텍스트에서의 남자들, 그리고 동시대의 젠더 의식을 반영한 크로스-드레싱 인물들이 이에 해당한다.
Ⅳ장에서는 무대장치, 신명과 한 등 전통이 깃든 예술적 형태, 그리고 문화적 오브제의 극적 활용 등 여러 측면에서 상호문화적 창극의 무대연출 미학을 분석하였다. 먼저, 배우들이 활동하는 무대공간과 극의 기초적 분위기 조상에 기여하는 무대장치를 소개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배우들이 무대에서 보여준 몸짓, 움직임, 춤과 놀이 등을 분석해 그 안에 담긴 민족 미학적 신명을 탐구하였고, 또한 주술, 제의, 영적 대화 등 공연 형태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한의 정서를 예술적으로 연출하는 수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문화적 오브제를 중심으로 이들이 담고 있는 문화적 코드와 만들어낸 극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목표문화에 속한 관객들의 수용가능성과 번안자 개개인의 창작의도에 따라 이러한 번안창극 공연은 타문화 원작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원작 텍스트에 내재된 사회적⦁문화적⦁예술적 요소들을 일부 유지하면서도, 목표문화 한국의 사회적⦁문화적 관습과 새로운 시대 흐름, 동시대 관객들의 도덕적⦁심미적 취향,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 자민족의 전통연희와 문화 요소를 세계적으로 널리 전파하려는 문화적 요구 등에 발맞춰, 전이⦁변형⦁혼합 등 다양한 전략이 채택되어 상호문화적 각색의 특징이 어느 정도 드러나고 있다. 예술적 성취를 막론하고, 번안창극은 상이한 문화 간의 문화차이와 시대적 차이를 절충하여 세계 보편 문화와 보편적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창극과 차별화된다는 점에서 하나의 새로운 창극 양식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일부 언급되긴 했지만, 아직 연구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호문화적 공연요소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의 범위를 개별 작품에서 이러한 유형인 창극작품 전체로 확장하여, 상호문화적 특징을 갖춘 번안창극의 각색 전략을 분석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미숙한 연구를 통해 향후 예술적이면서도 상업적 가치가 높은 번안창극의 창출에 참고할 만한 견해를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이 연구는 중국 희곡계에서도 진행되고 있는 번안극의 실험에 하나의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동아시아 전통 공연의 현대화와 세계화가 추구되어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s the intercultural aspects of the translated changgeuk (창극; Korean classical opera) performance, which has been performed by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국립창극단) since 2000. In 2002,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changgeuk and the 4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established a clear strategy to create what was termed "changgeuk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began to experiment with various creative versions of changgeuk with a broader and open perspective. Given that the experimental work of translated changgeuk, which has intercultural characteristics, is also one of the forms of creative changgeuk, research in this area has been carried out while mainly focusing on other more general creative types of changgeuk. In addition, while research has aimed for contemporaneity and globalization, researchers rarely consider this art form in depth in terms of its intercultural aspects. Meanwhile, in the global era of equal consciousness and respect for different cultures, the creation of text from other cultures is developing to promote the artistic development of one's own culture using valuable aspects of other cultures under the premise of cultural communication, away from the misuseor plagiarism of other cultures among the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fore, in addition to combining and examining these works with other creative changgeu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type and examine the adaptation strategies used dur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time differences" and "culture differences" that existed among cultural texts, as well as the aspects of intercultural performance that were revealed, and why.
Chapter II examines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plots, which are important dramatic elements and the concretization phase of a dramatic text. First, using small scenes as a unit, the plot of translated changgeuk is compared to the plot of the corresponding original play to identify detailed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Then, based on these results, not only intercultural changes in the plot that arise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but also certain changes in character and stage aspects can be identified to some extent, providing a basic context for further research.
Chapter Ⅲ analyzes the intercultural aspects of the characters, based on the enunciation, gestures, movements, makeup, and hairstyle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To achieve a clearer analysis of the relatively complex characters pattern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relationships. These include women in a family who show ambivalence in the face of desire and love, women in war who obtain spiritual maturity in the process of suffering, men in Eastern and Western texts who reveal polarized adaptations, and cross-dressing figures who reflect contemporary gender consciousness.
Chapter Ⅳ analyzes the stage production aesthetics of intercultural changgeuk in terms of various aspects, including stage equipment, traditional artistic forms such as Shinmyeong (神明) and Han (恨), and the dramatic use of cultural objects. First, the stage space on which the actors act and the stage equipment that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the basic atmosphere of the play were introduced. Next, I analyzed the gestures, movements, dance styles, and amusement that the actors showed on stage and explored the ethnic aesthetics of Shinmyeong contained in these facets. In addition, performance forms such as sorcery, rituals, and spiritual dialogu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artful expressions of the Korean emotions of Han. Lastly, focusing on the cultural objects of the East, including Korea, I looked at the cultural codes they contain and dramatic effects they creat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according to the acceptability of the audience in the target culture and the individual intentions of the adaptors, that these types of performances do not accept other cultural originals in the original version but rather maintain some of the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elements inherent in the original text. Meanwhile, in line with Korea's social and cultural customs and new trends, contemporary audiences' moral and aesthetic tastes, and cultural needs to spread the traditional Korean plays and cultural elements around the worl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various strategies such as transitions, transformations, and mixing have been adopted, showing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adaptations. Regardless of the artistic achievement, the translated changgeuk can be regarded as a new style of changgeuk related to how it differs from existing changgeuk by providing a "world-wide culture" and "universal language" through the combination of "culture differences" and "tim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cultures.
As such, this study examines intercultural performance elements that have not yet been thoroughly studied, although some have been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extended from individual works to this type of changgeuk, and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the translated changgeuk with inter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 hope that this preliminary research will provide a perspective regarding the creation of artistic and commercial-worthy translated changgeuk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ose conducting experiments on translated plays in the Chinese theatrical circle and to present implications concerning the directions that the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East Asian performances should pursue in the futu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2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4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