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번역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Using Transl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여탁-
dc.contributor.author한설옥-
dc.date.accessioned2022-04-20T07:20:38Z-
dc.date.available2022-04-20T07:20:38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813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52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137ko_KR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ducational content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to construct the meaning of Korean modern poetry using translation subject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translation is a skill that learners should have and a method used in the teaching field. Chinese learners can access to Korean modern poetry in their native language through translation, and to revitalize their competence and experience through soci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rocesses, thereby embodying and enriching the meaning of poetry. Therefore, this study believes that translation as a literature teaching method has sufficient value, and attempts to focus on 'translation' in literature teaching.
Translation can not be considered as a transition which is limited to the language level, but a process accompanied by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translator. Linguistic, cognitive, and definitive elements are involved in this process, and the translator form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 text, and takes it as the linguistic object, which can be embodied by the translated text. The choice of word produced by translated text can be regarded as an interpretation in a way that overcomes distance of time ans space and makes vague things clear so that the readers can understand it dimensions of the expression. Meanwhile, translation based on two physical phases of reading and writing can effectively apply to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by modifying and extending the reading contents that accompanies continuous reading. In addition, translation as a modern poetry reading method allows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styles, makes learners' interpretation to be expressed in other ways than the translated text.
The translation for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enables Chinese learners to reproduce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poetry in Chinese. It is inevitable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poetry texts in other languages. The exploration of this promotes learners'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 Korean. On the other hand, learners can independently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by reflecting on translation performance. Translation with this nature is significant in 'concreteization of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ext meaning', 'improving text-reader-oriented poetry reading skills', and 'improving Korean-Chinese translation skills'.
On the basis of the above discussions, Chapter Ⅲ based on research results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analyzes practice of using translation to read Korean modern poetry. Looking at the potential for individual and co-translation in the field of teaching. It was designed in a way of individual translation in the first research, co-translation in the second research, and individual modification after co-translation in the third research. Based on this, the aspects of Korean modern poetry reading using the translation of Chinese learner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earners discover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oetr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ranslated text with similarity to the text and identified the meaning. However, because of the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the subjective factors of the learners, translated text is bound to differ when compared to text in Korean. The learners explored the meaning of the text while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s. Meanwhile, translation is part of the poetry reading process, learners, as translators and authors of the translated texts, can self-transform the meaning of Korean poetry texts through translation experience or self-reflection as the subject of translation. The study also figures out the learners and translation activity variables which reduce the effectiveness of translation in modern poetry reading.
Based on the analysis of Chinese learners reading aspects of Korean modern poetry using the translation as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poetry reading education using translation. The objective of education is that Chinese learners can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in modern Korean poetry through process-oriented translation, and increase their acceptability of interpretation through interaction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establish self-awareness through reconstruction of subject discourse.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d 'equivalent recognition of form and content', 'activation of social-cultural contexts', and 'formation of critical attitudes toward translation' as the content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translation.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nslation method, the study proposed individual translation-based peer criticism and co-translation-based self-criticism which can realize guaranteed the basis for translation text writing as the first method. And then 'comparison and review with translation alternative' and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translation performance results' can be considered as following two methods. This study illustrate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ranslation in the reading of Korean modern poetry, and proposes an educational plan to improve learners' subjective reading ability of Korean modern poetry, which has great significance.
-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가 번역을 활용하여 한국 현대시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의 외국어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번역은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하나의 기능이자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는 교육 방법이다. 번역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는 자신의 모국어인 중국어로 한국 현대시 텍스트에 접근함으로써 자국의 사회 환경과 교육 과정을 통해 갖추게 된 능력과 경험을 활성화시켜 시 텍스트의 의미를 구체화시키고 풍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번역이 문학교육 방법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고 보아, 문학교육에서의 번역을 초점화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번역은 언어 층위에 국한하여 이루어지는 전환이 아니라 번역자의 심리적 작용이 동반되는 과정이다. 언어적, 인지적, 정의적 요소가 관여하는 이 과정에서 번역자는 텍스트에 대한 정신적 표상을 형성하고 이를 번역 텍스트로 구현할 수 있는 언어화의 대상으로 삼는다. 번역 텍스트 산출을 위한 언어의 선택은 시공간적 거리를 극복하고 모호한 것을 분명하게 하여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다는 차원에서 해석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읽기와 쓰기의 두 가지 물리적 단계를 전제로 하는 번역은 지속적인 읽기의 추동과 쓰기에 수반하는 읽기 내용의 수정과 확장이 이루어져 한국 현대시의 이해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현대시 읽기 방법의 일환으로서의 번역은 일반적인 번역 수행과 달리 표현 양식의 다양화를 허용하여 학습자의 해석이 번역 텍스트 외에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국 현대시 교육을 위한 번역은 학습자로 하여금 시 텍스트의 형식과 내용을 중국어로 재현하게 한다. 시 텍스트가 다른 언어로 재현되는 과정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마련이고 이에 대한 탐구는 학습자의 한국어 시 텍스트에 대한 해석을 촉진시킨다. 한편, 학습자는 번역 수행에 대한 성찰로 시 텍스트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격을 가진 번역은 텍스트 의미 구성 과정의 구체화, 텍스트-독자 중심의 시 읽기 능력 신장, 한-중 번역 능력 함양에 있어 의의를 가진다.
이상의 논의에 기반하여 Ⅲ장에서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라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읽기의 실제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개인 또는 공동이라는 두 가지 번역 방식에 착안하여 1차 조사에서는 개인 번역, 2차 조사에서는 공동 번역, 3차 조사에서는 공동 번역 후 개별 수정의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가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읽기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우선 학습자는 시 텍스트와 유사성을 지닌 번역 텍스트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시 텍스트의 형식적 특징을 발견하고 전언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하지만 한국어와 중국어 각각의 특성과 학습자의 주체적 요인으로 인해 번역 텍스트는 한국어 시 텍스트와 비교할 때 차이가 생기기 마련이다. 학습자는 두 텍스트 간의 차이를 검토하면서 텍스트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한편 번역은 시 읽기 과정의 일환이기 때문에 텍스트의 번역자이자 번역 텍스트의 저자로서 학습자는 번역 체험 또는 번역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로 한국어 시 텍스트의 의미를 자기화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현대시 읽기에서 번역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학습자 변인과 번역 활동 변인도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은 학습자의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 분석을 통해 파악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목표,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였다. 교육의 목표는 중국인 학습자는 과정 지향적 번역의 수행을 통해 한국 현대시 읽기 능력을 신장할 수 있고, 지식 구성의 상호작용을 통해 해석의 수용가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체 담론의 재구성을 통해 자기 인식을 확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형식과 내용의 등가 인식, 사회문화적 맥락의 활성화, 번역에 대한 비평적 태도 형성을 제기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우선, 각각의 번역 방식의 특징을 주목한 개인 번역 기반의 동료 비평, 공동 번역 기반의 자기 비평으로 실현하는 번역 텍스트 쓰기의 근거 확보이다. 그 다음으로는 번역 대안과의 비교와 재검토, 번역 수행 결과의 생산과 평가를 절차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번역의 의미와 가치를 밝히고 학습자의 주체적인 한국 현대시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을 구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2. 연구사 4
3.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10
Ⅱ.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전제 29
1.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번역의 개념 및 특징 29
(1)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번역의 개념 29
가. 텍스트에 대한 정신적 표상 형성으로서의 번역 32
나. 해석의 계기로서의 번역 36
(2)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번역의 특징 38
가. 읽기-쓰기의 통합 활동 38
나. 표현 양식의 다양화 42
2. 현대시 교육에서 번역의 작용 원리 46
(1) 원문 텍스트의 형식과 내용의 재현 46
(2) 번역 텍스트와 원문 텍스트 간 비교 51
(3) 번역 수행에 대한 성찰 56
3.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의의 59
(1) 텍스트 의미 구성 과정의 구체화 59
(2) 텍스트-독자 중심의 시 읽기 능력 신장 61
(3) 한-중 번역 능력 함양 62
Ⅲ.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 64
1. 원문 텍스트와의 유사성 창조 6
(1) 형식적 특징의 발견 64
(2) 전언적 의미의 파악 74
2. 원문 텍스트와의 차이성 검토 83
(1) 번역어 특성에 의한 차이성 84
가. 형식적 요소의 변형 84
나. 내용적 외연의 확대 89
(2) 주체적 선택에 의한 차이성 94
가. 형식적 효과의 명시화 95
나. 내용적 의미의 초점화 103
3. 번역 수행을 통한 자기화 109
(1) 번역 체험에 대한 성찰 109
(2) 번역 주체에 대한 성찰 115
4. 한국 현대시 번역 양상의 특징과 한계 121
(1) 학습자 변인 121
가. 직역 지향 121
나. 의역 지향 126
다. 메타적 인식 130
(2) 번역 활동 변인 133
가. 개인 번역 활동 135
나. 공동 번역 활동 137
Ⅳ.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설계 140
1.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목표 140
(1) 과정 중심의 번역 수행을 통한 시 읽기 능력 신장 140
(2) 지식 구성의 상호작용을 통한 해석의 수용가능성 제고 142
(3) 주체 담론의 재구성을 통한 자기 인식의 확립 143
2.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내용 145
(1) 형식과 내용의 등가 인식 145
(2) 사회문화적 맥락의 활성화 151
(3) 번역에 대한 비평적 태도 형성 154
3.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방법 158
(1) 번역 텍스트 쓰기의 근거 확보 158
가. 개인 번역 기반의 동료 비평 159
나. 공동 번역 기반의 자기 비평 161
(2) 번역 대안과의 비교와 재검토 163
(3) 번역 수행 결과의 생산과 평가 165
Ⅴ. 결론 169
참고문헌 172
Abstract 182
-
dc.format.extentv,18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어교육-
dc.subject한국 현대시 교육-
dc.subject중국인 학습자-
dc.subject번역-
dc.subject원문 텍스트-
dc.subject읽기-
dc.subjectKorean education-
dc.subject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dc.subjectChineses learners-
dc.subjecttranslation-
dc.subjectsource text-
dc.subjectreadin-
dc.subject.ddc410.7-
dc.title번역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Using Transl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n Xueyu-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1-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813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813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