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변월룡(1916-1990)의 작품세계와 이주자 정체성 : Revisiting the Art of Pen Varlen (1916-1990): The Migrant Identity of a Korean-Soviet Artis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강민

Advisor
박정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변월룡레닌그라드 미술아카데미사회주의 리얼리즘디아스포라고려인냉전Pen VarlenLeningrad Academy of Fine ArtsSocialist RealismDiasporaKorean-SovietCold War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Pen Varlen (1916-1990), a migrant artist who sought his place in Soviet mainstream culture. Pen was a Korean-Soviet painter during the 1940s to the 1980s at the Ilya Repin Leningrad Institute for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Leningrad Academy of Fine Arts). His works were inspired by his migration and the multi-layered identity formed by the experience. Moreover, he served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Soviet authorities and North Korea to gain a foothold in Soviet society. He also pursued cosmopolitanism, which suited Soviet ideology and its contemporary political aims.
Previous scholarship on Pen is mostly focused on his Korean identity, thereby neglecting the assimilative efforts made by the artist. While this thesis acknowledges that Pen retained his Korean identity to a certain degree, it attempts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f his works which associate the artists entire oeuvre solely with his Korean heritage and nostalgia.
Born in a Korean village in the Primorsky region of Russia, Pen studied in Sverdlovsk, and later in Leningrad for higher education in art. Coincidentally, this migration prevented him from being deported to Central Asia along with other Koreans from his hometown in 1937. He continued his studies at the Leningrad Academy of Fine Arts and became an associate professor there. In 1953,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just recovering from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June 25, 1950 - July 27, 1953), Pen was dispatched to Pyeongyang as an adviser to the nascent Pyeongyang Institute of Fine Arts. However, after his brief return to Leningrad in 1954, Pen was block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from revisiting the country. His refusal to become naturalized as a North Korean citizen, along with the purge of Soviet-aligned personnel in North Korea, had worked against him. He developed a complex and multi-layered migrant identity through repeated contact with and estrangement from Korean society.
The discrepancy between his ethnicity (Korean) and legal citizenship (Soviet) left Pen in a position tangential to both cultures. To survive in the central stage of the Soviet art world, he assumed the role of a model minority citizen by maintaining his Korean identity while pledging allegiance to the Soviet ideology. His frequent depiction of North Korean subjects, as well as his use of Korean inscriptions, can be seen as a survival strategy. He also painted a large portrait of a Korean-Soviet Socialist Labor Hero Alexandra Han to praise the virtue of model minorities and assert his position in the Soviet Union. That Pen used his cultural background to meet the expectations of Soviet viewers is also evident from his etchings in the 1970s, peppered with Oriental elements.
Pen created numerous works of a cosmopolitan nature, such as People of Our Time (1969-1973), the Pushkin Festival series (1975), and images of black people. Simultaneously, with the advent of the high détente (1970-1975), the Soviet Union sought to expand its influence in the developing world. This shift in international affairs coincided with Pens personal desire to find a place for himself in the world. If his host culture encompassed the world, he could consider himself a global citizen, instead of an outsider.
Two major trends stand out in Pens works from the 1980s: first, works that feature masterpieces of the Western art tradition or scenes from his trip to Western countries; second, artworks reminiscent of his hometown in Primorsky or North Korea. The former show that the alleviation of political tension in Soviet society let him focus more on his artistic creation than on propagating state ideology. This shift in the social milieu can be held accountable for the Korean-related works in the mid-1980s. Until then, he had kept the use of his Korean-ness in artworks limited. Thu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 cosmopolitan attitude during the 1970s and the heightened sense of security following his promotion to full professor, the changed circumstances of the 1980s helped Pen create art that displayed his Korean identity to a level hitherto unseen.
변월룡(Pen Varlen, 1916-1990)은 한국계 소련인 화가로, 1940-80년대에 레닌그라드 미술아카데미에서 수학하고 활동하였다. 변월룡의 작품세계는 이주로 인해 다면화된 그의 정체성과 소련에서의 삶을 개척하기 위한 그의 전략을 반영한다. 그는 레닌그라드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보하고자 한인 사회와 소련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소련의 이데올로기 및 동시대 정책에 부합하는 세계시민주의를 추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변월룡이 한인이라는 점이 강조된 데 비해 소련에 동화되기 위한 그의 노력은 상당 부분 간과되었다. 필자는 변월룡에게 한인으로서의 자의식이 남아있었음을 인정하되, 그의 작품세계 전체를 고국에 대한 향수와 결부시키는 기존 해석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변월룡은 연해주 한인 마을에서 태어났으나 1937년 강제이주 대신 유학길에 올랐으며, 러시아 대도시에서 고등교육을 마치고 소련 엘리트 사회에 진입하였다. 그는 학업을 지속하여 모교인 레닌그라드 미술아카데미에서 교수로 활동하였다. 변월룡은 1953년 전후 북한 미술계의 재건 및 소련 미술 제도의 전수를 목적으로 평양으로 파견되었다. 그러나 1954년 소련으로 돌아온 이후 변월룡은 민족의 배신자로 낙인찍혀 두 번 다시 북한 땅을 밟지 못하였다. 그는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를 직접 경험하지는 않았지만, 한인 사회와의 접촉과 분리를 거듭하며 그의 정체성은 복잡한 성격을 띠게 되었다.
변월룡은 민족과 국적의 불일치로 인해 한인 집단과 러시아인 집단 양쪽에서 주변적 위치에 놓여 있었다. 그가 소련 중심부에 자리 잡고 활동하기 위해서는 전략을 모색해야 했다. 변월룡은 우선 한인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소련의 국가 이데올로기에 충성하는 모델 마이너리티(model minority) 시민의 역할을 자처하였다. 그 일환으로 변월룡은 (1958), (1960)과 같이 북한 테마의 작품을 제작하고 한글 텍스트를 사용하였다. 한편, 사할린 한인으로서 사회주의 노동 영웅 칭호를 받은 한슈라의 대형 초상화를 그림으로써 소련 내 모델 마이너리티의 긍정적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 밖에 변월룡이 소련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자신의 민족적 배경을 활용한 사례로는 동양화적 요소를 차용한 1970년대의 판화들이 있다.
1970년대는 국제정세의 변화가 변월룡의 개인적 관심사와 맞물려 세계시민주의적 작품들이 제작된 시기이다. 1970-75년간 절정을 이룬 미소 데탕트 시기, 소련은 평화로운 공존의 슬로건을 내걸고 제3세계로의 세력권 확장을 시도하였다. (1969-1973)에는 레닌 시기에 구축된 국제주의적 이상과 러시아 문화가 세계를 포섭한다는 70년대 소련의 야망이 결합되어 있다. 소련의 이러한 태도는 변월룡의 입장에서도 옹호할 만한 것이었다. 변월룡이 거주하는 러시아의 문화가 세계 각지의 민족들을 아우른다면 그 자신도 무소속의 떠돌이가 아니라 세계 시민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변월룡이 제작한 흑인 이미지에서도 소련의 정치적 요구와 세계시민주의적 발상의 결합이 드러난다.
변월룡의 1980년대 작품에서는 크게 두 가지 경향이 눈에 띈다. 첫째는 해외여행에서 영감을 받거나 서양미술 전통과의 접점을 강조하는 작품들, 둘째는 20여 년 만에 재부상한 북한 테마 및 (1985)이다. 1980년대의 해외여행 작품들은 당시 사회적 분위기가 완화됨에 따라 변월룡도 프로파간다보다는 예술 창작에 몰두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변월룡은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유년기 및 북한 방문기를 회상하는 작품들을 다수 제작하였다. 이전까지 그는 자신의 한인 정체성을 제한적으로만 드러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완화된 사회적 분위기, 세계시민주의적 태도, 아카데미 정교수라는 그의 지위 등이 맞물려 변월룡은 한인 정체성이 두드러지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