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만 난임 여성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가 임신∙출산 결과에 미치는 효과 : Effectivenes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Pregnancy and Birth Outcomes for Obese Infertile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서연

Advisor
김혜원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만과체중임신 전 관리건강한 생활양식체중 감소체계적 문헌고찰메타분석ObesityOverweightPreconception CareHealthy LifestyleWeight LossSystematic ReviewMeta-Analysis
Abstract
가임기 여성의 비만은 체내 지방의 증가가 호르몬 변화, 월경 장애 및 배란 장애 등을 유발하여 여성의 난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 요인이고, 산모 및 태아와 신생아에 대한 부정적인 임신∙출산 결과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임신을 원하는 비만 여성에게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도모하기 위해서 임신 전에 적절한 중재를 통해 체중을 조절하는 것은 중요하다. 비만 난임여성에게 비약물적 중재는 수술 이나 약물요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일차적 치료로 권고 되고 있지만, 임신∙출산 결과를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근거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비약물적 중재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임신∙출산 결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효과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비약물중재의 객관적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PRISMA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 지침에 준거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계획 단계에서 연구의 핵심질문인 PICO-SD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검색 전략을 수립하고 2019 년 8월 16일에 국외 데이터베이스(Ovid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PsycINFO, Web of Science)를 이용하여 최종 검색을 완료하였다. 언어 및 출판 연도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대상 문헌의 비뚤림 위험 평가는 Cochrane의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시행하였다.
선택 및 배제 기준에 따라 문헌을 선정한 결과, 총 21 편의 문헌이 추출되었으며, 그 중에서 9편의 문헌이 메타분석 연구에 포함되었다. 메타분석에서 효과 크기 분석을 위하여 랜덤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비만 난임 여성에게 비약물적 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임신율을 유의한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RR=1.36, 95% CI: 1.04, 1.78). 비약물적 유형별로 하위 분석 결과, 식이와 운동 복합 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임신율에 유의한 증가를 확인하였다(RR=1.63, 95% CI: 1.21, 2.20). 비만 난임 여성에게 비약물적 중재를 적용하여 실험군에서 자연 임신율의 유의한 증가를 확인하였으며(RR=2.15, 95% CI: 1.41, 3.27), 하위 분석결과 식이 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자연 임신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RR=4.23, 95% CI: 1.55, 11.56), 식이· 운동· 행동 수정 복합 중재를 적용하여 실험군에서 자연 임신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R=1.64, 95% CI: 1.18, 2.27). 한편, 비만 난임 여성에게 비약물적 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출산율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RR= 1.35, 95% CI: 0.94, 1.94), 하위 분석 결과, 식이와 운동 복합 중재를 적용하여 실험군에서 출생율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RR=1.57, 95% CI: 1.11, 2.22). 한편, 비만 난임 여성에게 비약물적 중재를 적용하여 실험군에서 유산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RR=1.57, 95% CI: 1.05, 2.36), 중재의 유형에 따라 하위 분석한 결과 식이· 운동· 행동 수정 복합 중재를 수행한 실험군에서 유산율에 유의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R=1.61, 95% CI: 1.03, 2.52).
본 연구의 결과, 비만 난임 여성에게 비약물적 중재를 적용하여 실험군에서 임신율, 자연 임신율의 증가에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약물적 중재의 유형 중 특히, 식이와 운동 복합 중재는 비만 난임 여성의 임신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식이 단독 요법과 식이 ·운동 및 행동 수정 복합 중재가 자연 임신율 증가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약물적 중재가 출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은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근거로 비만 난임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요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식이를 포함한 운동 및 행동 수정 중재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임신 준비부터 임신 전기간에 걸친 통합된 간호 중재를 개발하여 지역사회까지 연계된 간호사-임신 여성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향후 비만 난임 여성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통합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중재의 결과 변수로서 임신∙출산 관련 지표들뿐만 아니라 정신∙심리적 결과지표들에 대한 효과를 포함하는 다양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다.
Background: Obesity is a well-known risk factor for infertility, and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are recommended as effective and safe, but evidence is still lacking on whether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mprove fertility in obese wom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ssess the current evidence in the literature and to evaluate the impa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improving pregnancy related outcomes in overweight or obese infertile women.

Method: A systematic search of electronic databases (Ovid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PsycINFO and Web of Science) was conducted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infertile women with overweight or obesity through August 16, 2019 with no restriction in language and publication year.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primary outcomes using RevMan 5.3. program.

Result: A total of 21 RCTs were selected and systematically review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egnancy rate (RR= 1.36, 95% CI: 1.04, 1.78, nine RCTs), especially combination of diet & exercise intervention improved pregnancy rate (RR=1.63, 95% CI: 1.21, 2.20, four RCTs); and increased the natural conception rate (RR=2.15, 95% CI: 1.41, 3.27, five RCTs). However, the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ive birth rate (RR=1.35, 95% CI: 0.94, 1.94, eight RCTs) and increased the risk of miscarriage (RR=1.57, 95% CI: 1.05, 2.36, five RCTs).

Conclusion: Therefor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egnancy and natural conception rates, whereas it is unclear whether they improve the live birth rat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monstrate the integrated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volving psychological outcomes as well as pregnancy and birth outcomes for obese infertile wome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5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