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어권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상대높임 사용 및 인지 양상 연구 : English-Speaking Advanced Korean Learners Usage and Cognition of Korean Hearer Honorific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Grace Benner Kim

Advisor
김호정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상대높임학습자 인지학습자 신념지표성hearer honorificslearner cognitionlearner beliefsindexicality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usage and cognition of Korean hearer honorifics by L1 English advanced leaners of Korean. The Korean hearer honorifics system carries important pragmatic and affective implications and is an inherent component of nearly any utterance in Korean. As such, instruction on hearer honorifics is an essential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learners whose other language(s) do not have such concretely developed honorifics systems (such L1 English speakers) need authentic, usage-based instruction of Korean hearer honorif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gnitive underpinnings of the hearer honorifics system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L1 Korean speakers and L1 English advanced learners of Korean, with a view to add learner perspectives and accelerate the discussion of an indexical approach to hearer honorif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four-step study was designed and conducted. First, participants usage of hearer honorifics was closely observed through role play scenarios. Cognition of factors affecting usage of hearer honorifics was then explored through a reverse discourse completion task (R-DCT). Next,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urther examine participants thought processes during the role play and R-DCT tasks. Finally, participants knowledge surrounding the hearer honorifics system and beliefs about its actual usage were reveal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iv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who planned to or were presently using Korean in their academic and/or professional careers and five native Korean speakers study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masters program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usage of Korean honorifics by both L1 English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L1 Korean speakers is foremostly influenced by the perceived formality of the situational context along with a variety of other interacting factors including age, closeness, situation, gender, personal preference, etc. According to situational formality, the order of preferred speech styles was the sam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comparison to the L1 Korean speakers, the L1 English advanced Korean learners demonstrated very limited usage of the so-called deferential and plain speech styles, and the L1 English advanced Korean learners also showed a relatively low rate of transition between speech styles during an interaction. In cognition, the L1 English group was found to hold many of the same beliefs about the Korean hearer honorifics system as Korean native speakers in terms of the function of the system and each of its speech styles. At the same time, their attitudes about the system in practice differed from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ir identities as foreigners and as English speakers additionally influenced their cognition and usage of the system. There was a clear gap between the usage of hearer honorifics by the L1 English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actual hearer honorifics system even at their advanced proficiency level, which may be explained by their self-perception as learners and beliefs about hearer honorif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applied to Korean pragmatics education for L1 English learners to further navigate the gaps and overlap between the Korean hearer honorifics system as a central feature of Korean linguistic culture and the very real influence of student self-perception in the learning process. It is the writers view that topics of self-perception, knowledge and belief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se on learners cognition of hearer honorifcs, must be discussed and explored with language learners if they are to arrive at an understanding of hearer honorifics vis-à-vis their own identities, beliefs, and attitudes, and negotiate their usage of the system purposefully, strategically and autonomously.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상대높임 체계에 대한 인지와 사용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상대높임 체계는 한국어 발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내재적인 현상으로 중요한 화용적 및 정의적(情意的, affective)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실제성이 있는 한국어교육을 위해서는 상대높임법 체계가 주목받을 필요가 있다. 특히, 높임 체계가 구체적으로 발달되어 있지 않은 영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학습자를 위해서는 상대높임 체계의 활용법에 대한 실제성이 있는 교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지표성(indexicality)을 중심으로 한 상대높임 교육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기 위하여, 한국어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한 영어권 학습자의 인지와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권 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 과제를 고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역할극을 통해 참여자들의 상대높임 사용을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둘째, 역방향 담화완성과제를 통해 상대높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지 양상을 검토하였다. 셋째, 자극회상 면담을 통해 참여자들이 역할극과 역방향 담화완성 과제 중에 참여자들이 어떻게 생각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이 어떠한 지식과 신념을 가지고 상대높임 체계를 이해하고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를 학문적 목적 또는 직장 생활을 위해 학습하는 영어권 고급 학습자 다섯 명과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 과정 중인 한국어 모어 화자 다섯 명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높임 사용에 있어 영어권 고급 참여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같이 상황의 격식성으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황의 격식성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계의 순서가 일치하였다. 상황의 격식성과 함께 나이, 친밀도, 상황, 성별, 개인적 성향 등의 맥락변인이 함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영어권 고급 학습자들은 하십시오체와 해라체를 매우 제한적인 맥락에서 사용하고 있었으며 화계의 전환 빈도도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영어권 고급 학습자들은 상대높임에 대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슷한 신념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특히 상대높임 체계의 기능과 화계에 대해 비슷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높임 사용에 대한 지식 즉, 어떠한 요인에 따라서 상대높임 체계의 사용이 결정된다고 판단하는지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지식과 상이한 면이 있었으며 상대높임에 대한 인지 및 사용은 영어권 고급 학습자들은 외국어로서의 정체성 또는 영어 모어 화자로서의 정체성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고급 단계에 이르러서도 한국언어문화의 핵심적 현상인 상대높임법 체계와 상대높임 사용의 실제 간에 격차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학습자의 자아 인식 및 신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연구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도 자아 인식과 신념/지식, 그리고 이에 따른 상대높임 체계에 대한 인지를 다룸으로써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자아 인식, 신념 그리고 경험에 기반하여 상대높임을 이해해가며, 더 나아가 자아 인식을 가지고 이를 자신의 의도에 맞게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4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1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