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ic Surgery : A Structural Equation Mode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고진강-
dc.contributor.author설은미-
dc.date.accessioned2022-04-20T07:31:15Z-
dc.date.available2022-04-20T07:31:15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731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66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311ko_KR
dc.description.abstractThe importa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which is the most common type diagnosed in Korean, is rising due to a recent increase in early diagnosis and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However, most patients experience complications such as those affect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or cancer-related fatigue after undergoing surgery, some of which continue up to five years post-surgery and negatively impact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se complic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after surgery, and socially isolating them negatively impacts their quality of life. Thus, nursing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improv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Based on a previous study by Ferrans et al. (2005) that developed a model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designed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a hypothetical model that aims to provide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s post-surgery. Cancer-related factors, cancer-related fatigu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included as exogenous variables, while handgrip streng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us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3 to September 29, 2020, targeting adult patients over 18 years receiving outpatient care for recovery or postoperative care after having undergone surgery for gastric cancer, and discharg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pecifically, patients having undergone distal subtotal gastrectomy more than a year ago, but less than five years and who are not currently undergoing cancer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were included. Questionnaires, 24-hour recalls, and handgrip strength measured twice as well as clinical features from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Whi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0 patients, those from 17 were dropped due to incomplete data and 22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goodness of fit test on the hypothetical model yielded χ2 = 97.044, Normed χ2 = 2.037, GFI = 0.949, AGFI = 0.874, RMSEA = 0.066, NFI = 0.923, and CFI = 0.958 based on which the model was deemed suitable for research model design. The analysis on the hypothetical model resulted in support for 15 out of 23 hypothesis. Nutritional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perception had direct eff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with nutritional status having the greatest direct effect. Such factors explained 55.0%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after surgery. In contrast, cancer-related factors, cancer-related fatigue, handgrip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observed to have indirect eff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hile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ed as mediating variables of such effect. Thu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was higher when the severity of cancer-related factors and cancer-related fatigue was lower; and higher were the handgrip streng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nutritional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percept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improvements in the nutritional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well as adequate social support are crucial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undergone surgery. Therefore, long-term nutritional care through continuous intervention and education are deemed necessary. Monitoring of social support through a local-community-based program is needed for patients in their chronic phase after surgery, and the methods of ensuring these must be identified. Finally, the goal of improving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ost-surgery warrants not only mitigation of symptoms, but also programs facilitating improvement in muscle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
dc.description.abstract위암은 국내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최근 조기 위암 발병률의 증가와 함께 위암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치료를 넘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위암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들은 위장관 증상, 암성 피로와 같은 부정적 증상을 경험하고, 이러한 증상의 일부는 수술 후 5년이 경과한 시점까지 지속되어 이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위장관 증상과 암성 피로는 위암 수술 환자들의 영양 상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이들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건강관련 삶의 질에 더욱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위암 수술 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확인 및 영향 요인간의 관계 파악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간호 중재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Ferrans 등(2005)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델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외생변수로 암 관련 요인, 암성 피로, 위장관 증상을 포함하였고, 내생변수로는 악력, 일상생활 수행능력, 건강 인식, 영양 상태, 사회적 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을 포함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8월 3일부터 2020년 9월 29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하는 1개 대학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후 퇴원하여 치료나 추후 관리를 위해 외래를 방문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으로 위암 수술 방법 중 위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1년 이상, 5년 미만 경과한 환자로 현재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 작성, 24시간 회상법, 2회 악력 측정 및 의무기록을 통한 임상적 특성 조사로 이루어졌고, 총 240명의 대상자에 대해 자료 수집이 완료되었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7명의 자료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23명의 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2 = 97.044, Normed χ2 = 2.037, GFI = .949, AGFI = .874, RMSEA = .066, NFI = .923, CFI = .958로 확인되어 연구 모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고, 가설적 모형의 검증 결과 총 23개의 가설 중 15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해 영양 상태, 사회적 지지와 건강 인식은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었고, 그 중 영양 상태는 직접적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는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55.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암 관련 요인, 암성 피로, 악력,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영양 상태와 사회적 지지는 이들 변수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암 관련 요인의 중증도와 암성 피로가 낮을수록, 악력,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양 상태, 사회적 지지와 건강 인식이 높을수록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양 상태와 건강 인식을 향상시키고, 충분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영양 중재와 교육을 통해 장기적 차원에서의 영양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위암 수술 후 만성기에 있는 환자들을 위해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을 통한 지속적인 사회적 지지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이들에게 사회적 지지가 꾸준히 제공될 수 있도록 도울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증상 완화뿐만 아니라, 근력 강화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용어 정의 7


Ⅱ. 문헌고찰 11
1.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11
2.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7

Ⅲ. 이론적 기틀 34
1. Ferrans 등(2005)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델 34
2. 연구의 이론적 기틀 38
3. 가설적 모형 45
4. 연구 가설 47

Ⅳ. 연구 방법 49
1. 연구 설계 49
2. 연구 대상 49
3. 연구의 윤리적 측면 50
4. 연구 도구 51
5. 자료 수집 절차 58
6. 자료 분석 방법 59

Ⅴ. 연구 결과 61
1. 대상자의 특성 61
2. 가설적 모형 검정 74
3. 연구 가설의 검정 96

Ⅵ. 논의 100
1.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100
2.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102
3.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 113
4. 연구의 제한점 114

Ⅶ. 결론 및 제언 115
1. 결론 115
2. 제언 117

참고문헌 118
부록 147
Abstract 148
감사의 글 151
-
dc.format.extentⅵ, 152-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위암-
dc.subject위절제술-
dc.subject영양-
dc.subject사회적 지지-
dc.subject건강관련 삶의 질-
dc.subjectStomach neoplasms-
dc.subjectGastrectomy-
dc.subjectQuality of life-
dc.subjectNutritional status-
dc.subjectSocial support-
dc.subject.ddc610.73-
dc.title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dc.title.alternative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ic Surgery : A Structural Equation Model-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l Eun-Mi-
dc.contributor.department간호대학 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1-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731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731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