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업 내 디자인 도입과 활용 확대를 위한 디자인 요소와 속성 추출 : Extraction of Design Elements and Attributes for Expansion of Design Adoption and Use in Company: Focused on cases of Non-consumable goods company
비소비재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목-
dc.contributor.author김우석-
dc.date.accessioned2022-04-20T07:44:17Z-
dc.date.available2022-04-20T07:44:17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759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83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9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1.8. 박영목.-
dc.description.abstract기업 내 디자인의 역할은 기존의 조형 중심에서 벗어나 기업의 프로세스와 전략을 다루는 요소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비소비재 기업에서는 식스시그마와 같은 기존의 경영관리 기법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워진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디자인을 도입하고 활용하려는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아웃소싱을 통해 주로 스타일링 영역의 디자인을 활용해 오던 비소비재 기업에서는 디자인의 자체적인 내부 도입과 활용 경험이 부족하여 디자인 인식 수준이 낮은 편이다. 반면 디자인 경영 분야에서는 기업 경영에 디자인을 도입하고 활용함으로써 성과를 창출하는 방안과 사례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해당 연구들이 다루는 대상이 주로 소비재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또는 대기업, 공간디자인(환경, 인테리어) 회사들로 한정되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도입하고자 하는 디자인 요소는 기업 아이덴티티를 수립하거나 자사의 신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품디자인과 설계 및 스타일링 등 특정 요소로 한정되어 있다. 이에, 일반 소비재 기업 뿐 아니라 비소비재 기업에서도 디자인 요소의 도입과 활용의 확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 디자인 도입과 활용 관점에서 디자인을 세분화 요소로 추출하고 이를 비소비재 기업의 경영요소와 연결함으로써 기업 내 디자인의 활용 영역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비소비재 기업에 디자인이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며, 기존에 디자인을 도입하고 활용하던 소비재 기업에게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의 추가적인 도입과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장 먼저 디자인 체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디자인 역량, 디자인 방법,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씽킹 등 기업의 경영 활동에 도입과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의 요소와 속성을 파악하였다. 첫 번째 디자인 역량의 경우 창발적 창의성, 논리적 창의성, 개방적 통찰력, 개념의 시각화 능력, 실물의 상품화 능력, 조화 능력을 대표적인 세부 요소로서 도출하였으며, 두 번째 디자인 방법의 경우 디자인 리서치, 아이디어 발상, 시각화, 프로토타이핑 등 조형 방법을 세부 요소로 도출하였다. 세 번째 디자인 프로세스의 경우, 발산과 수렴, 개념화와 실물화의 반복이라는 속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디자인 씽킹의 세부 요소로는 상호 보완성, 도전 추구, 개별성과 차별성의 존중, 혁신의 추구와 안정의 조화, 윤리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비소비재 기업의 경영 활동 요소 도출을 위해 경영학 분야의 선행연구를 수행하여 조직 구성, 경영자원, 그리고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이후 비소비재 기업에서의 디자인 인식 수준과 디자인에 기대하는 바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철강기업 A사 구성원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선 연구와 설문조사 내용을 종합하여 도출한 디자인 요소와 비소비재 기업의 경영 요소를 하나의 매트릭스로 제안하고, 매트릭스에 기재된 디자인 요소와 비소비재 기업 경영요소 간 도움이 되는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디자인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디자인의 전반적인 요소가 기업의 경영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경영 활동별로는 R&D, 홍보, 의사결정 프로세스 중 대안개발 단계, 마케팅 등의 순서로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의 결과 첫째, 비소비재 기업에서도 디자인 요소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디자인을 도입, 활용하지 않던 기업들도 디자인의 어떤 요소를 활용할 수 있을지를 제시하였고, 또한 비소비재 기업에서는 디자인의 어떠한 속성을 필요로 하는지도 제시하였다. 둘째, 기업 내에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확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디자인은 주로 소비재 기업 내 디자인 경영 관점에서 한정적으로 제시되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역량, 방법, 프로세스 등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때 기업 내에 도입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가 확대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기업 내 도입과 활용 대상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초적 가능성을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일부 디자인 요소가 디자이너들만의 고유한 능력인지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점, 기업 관점에서 디자인 요소를 어떻게 도입, 운영할 것인지에 관한 대안이 부재하다는 점, 그리고 디자인 요소들이 기업에서 실제로 도움이 되는지 실증 차원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roles of design within companies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form shaping-based ones to be expanded into the elements handling the company-wide process and strategies. Recently, many non- consumable goods companies attempt to adopt and use design to solve problems that can hardly be solved with the conventional management techniques. However, the non-consumable goods companies that have used the styling-based design primarily through outsourcing tend to be less aware of design due to a lack of experiences of adopting and using design for themselves. In contrast, in the field of design management areas, many preceding studies have discussed the ways and cases of creating good performances by adopting and using design for business management. However, the preceding studies may have been limited in that they targeted primarily at the small and medium or large companies or space design (environment, interior) companies that would produce the consumable goods mostly. Besides, the design elements they attempt to adopt are limited to such certain elements as product design, planning and styling to establish their identity or manufacture their new products.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examine the ways to adopt and expand the design elements not only for the general consumable goods companies but also for the non-consumable goods companies. Hence, this study is aimed at extracting the elements of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adopting and using design in company and thereby, associating them with the elements of the business management to identify the areas where the design could be used specifically. Moreover, this study is aimed to confirm that design would be useful for non-consumable goods company, whil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diverse design elements additionally for consumable goods companies that had already adopted and used design.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some preceding studies about design system to examine such design elements and attributes adopted and used for the business management as design ability, design methods, design process and design thinking. First, in case of design ability, the elements extracted were emergent creativity, logical creativity, open-minded insight, ability of visualizing concepts, ability of merchandising items and ability of harmonizing. Secondly, in case of design methods, the elements extracted were design research, idea generation, visualization, prototyping, etc. Thirdly, in case of design process, such attributes as divergence and convergence and repetition of conceptualization and materialization were extracted. Lastly, in case of design thinking, such elements as mutual complementarity, challenge, respect of individuality and difference, harmonizing between pursuit of innovation and stability, and morality. Next, in order to extract the business activity elements of non-consumable goods companies, the preceding studies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were reviewed to extract such elements as business organization, management resources and decision-making process. Then, in order to grasp non-consumable goods companies' level of design perception and their expectation of design, 103 business people working for A the steel company in Korea were sampled randomly for a questionnaire survey. Lastly,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re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summed up to extract the design elements and the management elements of non-consumable goods companies. And thereby, they were combined to be suggested as a matrix. Then, in order to assess the usefulness of design elements and non-consumable goods company's management elements listed on the matrix, 8 experts were recruited for the Delphi survey.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most of the design elements – design ability mostly - could be helpful for companies' management activities, and that the design elements were needed most for R&D, followed by public relation, development of alternatives – as a step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mark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sign elements can be useful to non-consumable goods companies. Namely, some of design elements can be used by the companies that have not adopted and used design, and furthermore, the attributes of design required by non-consumable goods companies have been suggested. Secondl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design elements that can be adopted and used for companies are suggested. While preceding studies suggest the design elements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in-house design company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design elements from the overall perspectives of design ability, methods, process, etc.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adoption and use of designs in companies. Merely,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it is unclear that some design elements belong to designers' own professionalism, that it does not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how' the design elements can be adopted and operated, and that the usefulness of the design elements have not been tested for compani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that will complement such limits of this study empiricall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5
1.3. 연구 방법 및 체계 7

2. 기업 내 디자인 도입·활용 관련 연구의 특징 9
2.1. 기업 내 디자인 도입·활용 관련 연구 성향 9
2.2. 비소비재 기업에서의 디자인의 필요성 32

3. 비소비재 기업 내 도입을 위한 디자인 요소 34
3.1. 디자인의 세분화 관점 34
3.2. 비소비재 기업을 위한 디자인 요소 추출 37
3.2.1. 디자인의 영역 37
3.2.2. 디자인의 역량 42
3.2.3. 디자인의 방법 54
3.2.4. 디자인 프로세스 63
3.2.5. 디자인 씽킹 71
3.3. 디자인 세분화 요소와 속성 종합 88

4. 비소비재 기업 내 디자인 요소 적용을 위한 기업 경영활동, 디자인 이해도 및 니즈 조사 91
4.1. 기업의 경영활동 요소 91
4.1.1. 기업과 경영의 정의 91
4.1.2. 경영자의 역량 93
4.1.3. 기업의 경영자원 및 운영관리 영역 94
4.1.4. 기업 경영의 의사결정 프로세스 96
4.2. 비소비재 기업 사례 및 조직 구성 97
4.3. 비소비재 기업 대상 디자인 잠재 니즈 조사 102
4.3.1. 설문조사 설계 104
4.3.2. 설문조사 결과 105
4.4. 비소비재 기업 디자인 니즈 조사 결과 분석 113

5. 비소비재 기업의 디자인 요소 활용영역 제언 117
5.1. 비소비재 기업-디자인 요소 대응 매트릭스 117
5.2. 매트릭스 대상 전문가 평가 및 결과 분석 124
5.2.1. 델파이 기법을 통한 전문가 평가 124
5.2.2. 비소비재 기업 관점에서의 결과 분석 131
5.2.3. 디자인 요소 관점에서의 결과 분석 135
5.3. 비소비재 기업의 디자인 활용영역 제언 143

6. 결 론 146

참고문헌 150
부 록 155
Abstract 158
-
dc.format.extentix, 16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디자인 경영-
dc.subject디자인 도입-
dc.subject디자인 활용-
dc.subject디자인 요소-
dc.subjectDesign Management-
dc.subjectAdoption of Design-
dc.subjectUse of Design-
dc.subjectElements of Design-
dc.subject.ddc745.2-
dc.title기업 내 디자인 도입과 활용 확대를 위한 디자인 요소와 속성 추출-
dc.title.alternativeExtraction of Design Elements and Attributes for Expansion of Design Adoption and Use in Company: Focused on cases of Non-consumable goods compan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Wooseok-
dc.contributor.department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title.subtitle비소비재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산업디자인-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759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759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