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Authentic Self and Holistic Healing Practitioners in the USA : 미국의 전인적 치유사와 진정한 자아 : 심리문화적 접근
A Psychocultural Approa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아나 카롤리나 아쎄이 사렘

Advisor
정향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holistic healingauthenticityselfspiritualityperformanceUS society전인적 치유진정성자아영성퍼포먼스미국 사회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1.8. 정향진.
Abstract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cultural narrative that motivates individuals to cultivate the self, a project in which the authentic self is a central concept. Influenced by the prevalent psychotherapeutic discourse, the quest for authenticity is understood as self-fulfillment, self-development, and self-help, all grounded on individualism. In this context, holistic healing provides an extra layer of meaning to the secular search for authenticity and personal success, with the addition of a spiritual understanding of life.
By interviewing 11 holistic healing practitioners based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zing their professional websites and social media pages, this study examines how being a holistic healing practitioner impacts their perception of the authentic self. Holistic healing practitioners share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ir practice, which is centered on the connection between mind-body-spirit. It is an approach to health that considers physical, emotional, and energetic factors, and focuses on nature and spirituality. Holistic healing has also been influenced by the psychotherapeutic tradition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reflected in the abundance of coaching services offered by the majority of holistic healers.
The practitioners socialization in the holistic healing field familiarizes them with spiritual concepts, marked by holistic spirituality.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nts shared similar pathways to become healers, which included going through an individual healing journey and learning healing modalit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ccording to the holistic worldview, healing does not simply mean curing an illness, it is a concept also used to describe ones journey towards authenticity and the unlearning of social conditionings.
The spirituality present in the holistic healing milieu influences the practices of healers, and many of these spiritual concepts have their origins in the New Age movement. However, holistic healers do not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term New Age and prefer to be addressed as spiritual, especially due to the criticism the New Age movement received in relation to cultural appropriation. Nonetheless, it is discussed in this thesis how an uncritical approach to holistic spirituality can lead contemporary healers to a similar pattern of appropriat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concept of authentic self is interpreted by holistic healers as the spiritual concept of the higher self. This concept represents an aspect of the individual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vine and that holds ones true essence unspoiled by societ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ir true self. Hence, living in alignment with ones higher self is believed to be a way of embodying their authentic self and fulfilling ones life purpose. For the holistic healing practitioners, their choice of becoming healers is already considered an expression of their authenticity, since it is a marginalized field that includes spirituality, centrality of emotional care and other elements traditionally deemed feminine. Thus, the most prominent way in which practitioners express their authentic self is by adopting and performing the persona of the healer as their primary identity in all areas of their lives.

Key words: holistic healing, authenticity, self, spirituality, performance, US society
Student Number: 2019-25374

The author of this thesis is a Global Korea Scholarship scholar sponsored by the Korean Government.
미국 사회에는, 개인이 자아의 완벽성의 프로젝트를 배양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문화적인 서사가 있다. 진정한 자아는 널리 퍼진 심리치료 담론, 자기 성취에 기초한 진정성의 윤리,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자기 계발과 자조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이 사회에 존재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인적 치유는 삶에 대한 영적 이해를 추가하여 진정성과 개인적인 성공을 위해 이미 존재하는 세속적 탐구에 추가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미국에 기반을 둔 11 명의 전인적 치유사를 인터뷰하고 전문 웹 사이트와 소셜 미디어 페이지를 분석함으로써, 전인적 치유사가 되는 것이 진정한 자아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다. 전인적 치유사들은 마음, 육체 및 정신 간의 연결에 중점을 둔 자신의 수행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공유한다. 전인적 치유는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요인을 고려한 건강에 대한 접근 방식이며 자연과 영성에 중점을 둔다. 게다가 전인적 치유는 미국의 심리 치료 전통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대다수의 전인적 치유사들이 제공하는 코칭 (coaching) 서비스의 풍부함에 반영되어 있다.
전인적 치유 분야에서 잠재적인 치유사들은 사회화를 통해 그들에게 전인적 영성이 특징인 영적 개념과 친숙해진다. 정보 제공자들은 개인적 치유 여정을 거치고 치유 양식을 배우는 등, 치유사가 되기 위해 유사한 경로를 거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인적 세계관에 따르면, 치유는 단순히 병을 고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성을 향한 여정과 사회적 조건화의 탈학습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인적 치유 환경에 존재하는 영성은 치유사들의 관행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적 개념의 대부분은 뉴 에이지 운동 (New Age movement)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전인적 치유사들은 뉴 에이지라는 용어로 자신을 식별하지 않고 영적이라는 말로 언급되는 것을 선호한다. 이는 특히 문화적 전유와 관련하여 뉴 에이지 운동이 받은 비판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에서는 전인적 영성에 대한 무비판적인 접근이 동시대 치유사들을 뉴 에이지와 비슷한 패턴의 전유로 어떻게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진정한 자아의 개념은 전인적 치유사들에 의해 상위 자아 (higher self)의 영적 개념으로 해석된다. 상위 자아는 신과 직접 접촉하고 사회에 의해 손상되지 않은 자신의 본질을 간직하고 있는 개인의 한 면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그들의 진정한 자아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자신의 상위 자아와 일치하는 삶은 진정한 자아를 구현하고 자신의 삶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이라고 믿어진다. 전인적 치유사가 된다는 것은 이미 그들의 진정성의 표현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그것은 영성, 감정적인 보살핌의 중심성, 그리고 전통적으로 여성적으로 여겨지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회적으로 주변화되는 직업이다. 그러나 치유사들은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표현하는 가장 두드러진 방법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치유사의 페르소나를 주요 정체성으로 채택하고 수행한다.

핵심 단어: 전인적 치유, 진정성, 자아, 영성, 퍼포먼스, 미국 사회

본 논문작성자는 한국정부초청장학금(Global Korea Scholarship)을 지원받은 장학생임.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904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8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