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인의 이상화를 통해 모호해지는 인물형상 조각 연구 : A study of figure sculptures that become ambiguous through individual idealiz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태욱

Advisor
이용덕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유포토제닉이상화허깨비탈색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조소과, 2022.2. 이용덕.
Abstract
본 연구는 인물 형상 작업 시 본인이 가진 태도와 작품에 나타나는 이중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조망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본인은 이것이 디지털화된 현대 공유 사회의 특성에서 비롯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오늘날은 자신을 표출하는 데 있어 무한한 가능성이 열린 시대이지만 그곳에 속한 개인들은 이 새롭게 변천해 가는 시대 정신에 자의로 참여한다기 보다는 강제로 편입되며, 그 과정에서 공허감을 갖는다. 동시에, 개인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수평적인 시대상은 엄격함이라는 디지털 논리의 특징을 만나 그 안에서 개인은 아이러니하게도 다시 좁아지고, 평범해지는 굴레에 들어가게 되는 듯하다. 본인의 지인들마저도 본인의 눈 앞에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불분명하게 인지하게 되는 경험을 하였다. 개인의 존재감은 마치 줄 없는 피노키오 1940년도에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영화 중 나는 줄이 없어요.라는 노래로 피노키오는 연극 무대에 선다. 줄에 매달린 다른 목각 인형들과 아직은 완전한 아이가 되지 못한 피노키오가 같이 무대에 오른다. 다른 인형들과는 다르게 자신만 줄이 없음을 이야기하며 본인의 특별함을 노래한다. 하지만 여느 인형들처럼 피노키오도 인형임은 마찬가지. 그런 피노키오를 보며 사람들은 환호하지만 그 안에는 조롱이 섞여 있다. 피노키오의 바람과 달리 그들과 같은 사람의 아이로 봐 주지 않는다. 줄이 없을 뿐인 똑같은 인형으로서.
와 같이 다가왔다. 이에 본인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사람들을 이전과 다르게 보게 되었다. 이것이 작품에 반영되어 기존의 강하고 우상적이었던 형상에서 모호한 존재감을 품기는 성향을 갖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개별 주체는 우상화된 모습을 형성토록 하지만 동시에 모두 비슷한 모습을 하게 된 시대상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본론으로 넘어와 본인 또한 이 시대에 살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일련의 시선을 통해 조각하는 인물 작품을 풀어내려 한다.

본인은 본 연구와 인물 형상 작업을 통해 불특정 '아무개'가 아닌, 실질적인 사람의 모습을 내포한 지인들을 통해 그 존재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항상 작업 후반에 맞이해 온 허무함에서 벗어나기 위함 때문이었다. 억지로 만들어낸 허상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찾고 싶었다. 비록 지인들 또한 대면하는 관계에서 파생된 채로 본인의 눈앞에 있지만 완전한 미지의 영역은 아니었다. 흙으로 빚으며 최대한으로 실체적인 개별 형상들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후에 모든 형상을 시멘트로 전환하고 그 물질과 같은 공간에 놓으며, 최종적으로 자연스러운 상태의 존재감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인물상을 마주하며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럽고 편안한 개인을 의식할 수 있도록 희망하는 바이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본인은 현 시대에서 개인의 드러내진 않지만 드러나는, 보여주진 않지만 보이는, 구별되나 모호한 반딧불이와 같은 존재감을 찾고자 한다. 그리고 그 모호한 존재감을 본인의 작품을 통해 형상화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begins with looking closely into my ambivalent attitude when creating human scupltures. This twofold attitude reveals itself not only in my life but also in my work, and I have realized that this comes from digitalized shared-society. Although we live in an era of infinite possibilities of expressing ourselves, I tried to trace down the vacuousness which we come across at the end. Each individual is brought in to the transitional spirit of the times, rather than participating with our own will. This, in turn, affected how I percieve people and also changed the tendency of my human-figure work from idol-like, strong impression to ambiguous presence.

I tried to examine how each individual naturally becomes part of the current of the times. Each of our novelty and diversity are easily accepted by the Horizontal Society, but also confront strict, rigorous atmosphere of Digital Logic. This, ironically, lead us to be more common rather than stay individual. Equally, there are times when my comrades seem to be obscure and ambiguous, even when I am facing them.

Every presence, to me, seems a lot like the Pinocchio without its strings In the 1940 Walt Disney's animated film 'Pinocchio', Pinocchio performs on the stage with the song, 'I've got no strings'. Unlike other wooden dolls, Pinocchio could perform without strings but he was not yet enough to be a real child. He sings and dances about his uniqueness - not having strings attached - however the fact that he is still a doll does not change. The audience cheers but with a little mockery. In spite of Pinocchio's aspiration, people see him as a common doll.

I would like to start my research by describing how our society let every individual to shape to be idolized version of ourselves, but eventually end up to form similarly. Then, moving on to the main topic, I will delineate my human-shape sculptural works which are originated and inspired by my own perception to surroundings.

I tried to explore the existence of people by looking closely into my comrades, rather than anyone unknown. It was to free myself from any possible emptiness I could encounter at the end of every work. I wanted to discover the real truth, without any glamorization or delusion. Inevitably, they were again derived from face-to-face relationship with myself, but it was not a completely unknown area. I focused on capturing these people's tangible, individualized figures and molded out of clay. After transforming forms into cement, I tried to represent the unaffected natural state of presence by laying in the same space of material. Afterwards all shapes were converted with cement, and left naturally as it is in the space which was consisted of same material. Ultimately, the process was to express the most natural state of presence. It is my highest aspiration that anyone who would face my work of human sculpture could appreciate the natural, comfortable aspects of human-being.

I desire to explore a 'firefly-like' presence of every human being - a presence that is not 'shown' but naturally 'seen' and 'exposed', a presence that is distinguished but at the same time 'dim' and 'ambiguous'. I wish to form these diverse aspects of presence into my work.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298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4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