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봉사동기(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국회의원 보좌진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수영-
dc.contributor.author조병수-
dc.date.accessioned2022-06-22T08:18:50Z-
dc.date.available2022-06-22T08:18:50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041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301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41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2.2. 이수영.-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회의원 보좌진의 공공봉사동기(Personal Service Motiva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공공봉사동기는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요인으로 공무원 개인의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높아지면 직무 태도와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erry(2000)의 연구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내에서도 공공부문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연구되었었으며, 특히 민간부문 종사자들과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들은 대부분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특수직 공무원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모집단이 소수이거나 연구자들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직 공무원 중 하나인 국회의원 보좌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국회 내에서 국회의원 보좌진의 역할은 점차 더 중요해지고 있고, 이들의 성과에 따라 의회의 정치적, 정책적 질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회의원 보좌진을 대상으로 입직 전의 일반사회화 요인, 입직 후의 조직사회화 요인, 그리고 개인적 특성이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검증방법은 Perry(2000)의 이론을 바탕으로 검증된 설문 항목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현직 보좌진 103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일반사회화 요인 중 봉사경험은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사회와 요인 중에는 직장동료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전문가적 일체감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에는 직급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들에서 검증된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회의원 보좌진은 입직 전의 사회화 보다는 입직 이후의 사회화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회의원 보좌진의 업무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회 내의 보상 시스템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국회의원 보좌진이 업무를 습득하는 과정부터 업무 영역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교육시스템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f parliamentary assistant in Korea. PSM is a personal attribute that is often observed among those who work in the public sector. It explains ones desire to serve the public interest, and is conside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nes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Since the study of Perry (2000), much of scholar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PSM across the world. A large number of research have also been conducted in Korea in relation to PSM,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However, these studies are subject to a limitation in that they tend to rely on cases of general public officers, being relatively indifferent to those in special service. It is probably because of the low accessibility to public officials in special positions.

In this respect, this study makes original contribution to the overall research about PSM by analyzing data from those in special service, namely parliamentary assistants who work for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Parliamentary assistants are worthy object of the study of PSM since the roles of parliamentary assistants in policy-making are increasingly important these days, and their performance can lead to quality improvement of public policy as well as political process.

To be specific,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SM of parliamentary assistants is influenced by a range of factors such as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before entering offic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after entering offi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103 parliamentary assistants, using a questionnaire that had been revised based on the theory of Perry (2000).

The results show that volunteer experience, one of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SM.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ones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orking conditions, and the sense of professionalism are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Lastly, ones level of job position also appears to show positive relation with PSM. These findings are understood as supporting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liamentary assistants a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socialization after entering office than socialization before entering office. In this regard, improving the compensation system with in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as making an institutional effort to develop the expertise of parliamentary assistants seem to be of particular importance i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assistants. Especially, the education system for parliamentary assistants needs to be improved at the National Assembly-level so that the assistants can develop their expertise from the early stage of their career as assista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3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5
제 1 절 국회 보좌진 제도 및 역할 5
1. 국회의원 보좌진 제도 5
2. 국회의원 보좌진의 역할 6
3. 국회의원 보좌진의 전문성과 근속기간 10
제 2 절 공공봉사동기(PSM)이론 14
1. 공공봉사동기(PSM)의 개념 14
2. 공공봉사동기(PSM)의 차원 16
3. 공공봉사동기(PSM)의 측정 척도 18
4. 공공봉사동기(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제 3 절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관계 22

제 3 장 개념적 분석틀과 연구가설 23
제 1 절 연구문제와 개념적 분석틀 23
1. 연구문제 23
2. 개념적 분석틀 24
제 2 절 연구가설의 설정 25
1. 일반사회화 특성 요인과 공공봉사동기 26
2. 조직사회화 특성 요인과 공공봉사동기 28
3. 개인적 특성 요인과 공공봉사동기 30
제 3 절 자료의 수집 및 측정방법 31
1. 공공봉사동기의 측정 척도 31
2. 사회화 변수의 측정 척도 33
3.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35

제 4 장 연구결과 35
제 1 절 표본의 구성 및 특성 35
제 2 절 측정도구의 평가 39
1. 독립변수의 타당도 분석 39
2. 종속변수의 타당도 분석 41
3.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43
제 3 절 기술통계 분석 44
1. 일반사회화 요인들의 일반적인 경향 44
2. 조직사회화 요인들의 일반적인 경향 46
3. 공공봉사동기 요인들의 일반적인 경향 47
제 4 절 가설 검증 49
1.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49
2. 일반사회화 요인에 대한 가설검증 53
3. 조직사회화 요인에 대한 가설검증 54
4. 개인적 특성 요인에 대한 가설검증 57
5.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58
6. 공공봉사동기에 관한 보좌진 면접 결과 60

제 5 장 결론 65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정책적 제언 65
제 2 절 연구의 한계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9
-
dc.format.extentvi, 8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공봉사동기(PSM)-
dc.subject국회의원-
dc.subject보좌진-
dc.subject공무원-
dc.subject사회화-
dc.subject성과-
dc.subject.ddc350.0001-
dc.title공공봉사동기(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ies on Factors Affect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Byeong-Soo-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2-
dc.title.subtitle국회의원 보좌진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041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7▲000000000054▲00000017041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